전남대학교병원 광주·전남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센터장 김주한)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9월 1~7일)을 맞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와 연계해 ‘자기혈관 숫자 알기, 레드서클 캠페인’을 연다. ‘자기혈관 숫자’란 혈관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수치를 의미한다.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 치명적인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선 ‘자기혈관 숫자’ 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광주·전남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는 오는 15일 오후 2~4시까지 전남 무안군 전라남도청에서 ‘자기혈관 숫자 알기, 레드서클 캠페인’을 진행한다. 또 지난 5일엔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광장에서 1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번 캠페인은 ‘20대부터 꾸준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관리로 우리 모두 건강 동행!’이라는 슬로건으로 혈압, 혈당 측정 및 건강상담과 심방세동 검사, CO 측정 및 상담 등 다양한 검사와 이벤트는 물론 소정의 기념품도 제공한다. 김주한 센터장은 “심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규칙적인 치료 및 관리로도 심뇌혈관질환 예방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정기적인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확인 및 관리를 통해 심뇌혈관질환을 예
전남대병원, 새싹지킴이병원 우수사례 공모전서 우수상아동학대 전담의료기관으로서 전문성 및 협력체계 성과 인정받아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정 신)이 ‘2025년 새싹지킴이병원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아동권리보장원장상(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전남대병원이 아동학대 전담의료기관으로서 피해 아동 보호와 의료 지원에 탁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인정받은 결과다. 이번 공모전은 아동권리보장원 주최로 지난 4월18일~6월4일까지 전국 17개 광역 새싹지킴이병원을 대상으로 ▲의료지원 및 자문 사례 ▲아동학대 대응체계 내 협력 사례 등을 발굴하고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진행했다. 전남대병원 아동보호위원회는 이번 공모에서 아동학대 피해 아동을 위한 전문적인 의료 지원 및 자문 사례, 그리고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한 성과를 높이 평가받았다. 수상작들은 우수사례집으로 제작되어 전국 새싹지킴이병원 및 관련 기관에 배포되어 아동학대 대응의 모범 사례로 활용될 예정이다. 새싹지킴이병원으로 지정된 전남대병원은 피해아동의 초기 진단부터 치료, 심리 상담까지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경찰, 지자체 등과의 유기적인 협력으로 학대 피해
충북대학교병원 충북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센터장 방희제)는 9월 12일(금) 옥천군장애인복지관(관장 황명구)을 방문해 장애인 대상 건강관리 서비스 안내를 위한 홍보부스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날 부스에서는 센터 사업 소개와 건강 조사지 작성, 보건의료 및 복지 정보 제공, 카카오톡 채널 안내, 홍보물 배부 등이 진행됐다. 센터는 등록 대상자의 욕구에 맞춰 ▲맞춤형 건강관리 ▲보건의료 및 복지 서비스 연계 ▲건강관리 정보 제공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였다. 이번 협력은 도내 장애인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센터는 자체 분석을 통해 등록률이 낮은 지역을 확인했으며, 옥천군을 시작으로 오는 10월에는 제천시와 단양군 장애인복지관에도 방문 홍보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간 의료 정보 격차를 줄이고, 장애인이 필요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보다 손쉽게 안내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다.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양종철)이 환자와 이용자에게 보다 쉽고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페이지(https://www.jbuh.co.kr)를 전면 개편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이용자 중심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강화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보안 체계를 새롭게 도입하는 등 보다 안전한 정보환경 구축에 있다. 새롭게 개편된 홈페이지는 최신 웹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UX)을 반영해 병원 주요 기능을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모바일 중심의 이용환경에 맞춰 PC뿐 아니라 스마트폰·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진료, 교육, 연구 관련 주요 서비스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대표 홈페이지를 비롯해 센터와 연구소 등 22개 세션을 체계적으로 구성해 전문성과 정보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병원 소식과 건강정보, 아카이브 등 환자 참여형 콘텐츠를 확충해 환자와 병원간 소통을 한층 강화했으며, 다국어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 국내외 환자 모두에게 열린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병원장 어영) 사회사업팀 이혜민 파트장이 9월 8일 ‘제8회 생명나눔 주간’을 맞아 열린 기념식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이혜민 파트장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사회사업팀에 20년간 재직 중이며, 원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병원과 공공·민간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의료취약계층의 건강 회복과 복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또한, 2013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장기이식센터 개소부터 장기기증자와 수혜자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 상담, 국립장기이식센터 승인 업무 등을 수행하며 장기기증 인식 개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에 표창을 수상했다.
원광대학교병원(병원장 서일영)과 예수병원(병원장 신충식)은 지난 11일(목) 원광대학교병원 교수연구동 5층 은혜홀에서 ‘2025년 전북특별자치도 보건·의료·복지 종사자 재활 역량 강화 공동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2025년 책임의료기관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내 보건·의료·복지 분야 종사자 약 70여 명이 참석해 지역사회 재활의료체계 구축과 환자 맞춤형 서비스 강화를 위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다. 특히 원광대학교병원, 예수병원, 전북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전북특별자치도 보조기기센터,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공동주관으로 협력의 의미를 더했다. 워크숍은 오전과 오후 두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됐다. 오전 세션에서는 ▲슬기로운 재활치료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정책사업 추진사항 및 방향 ▲재활현장에서 활용가능한 보조기기 등 정책과 실무를 연결하는 발표가 이어졌다. 오후 세션에서는 ▲근감소증 임상적 적용 ▲근감소증 근거중심 운동치료 ▲재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등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강의가 마련됐다.
표적치료제가 거의 없는 삼중음성유방암에서 새로운 맞춤형 면역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 성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서울대·KAIST 공동 연구팀은 동물실험에서 환자 암세포에서 얻은 신항원이 포함된 자가종양유래물(TdL)이 강력한 종양 억제 효과를 보였을 뿐 아니라 폐 전이까지 줄이고, 기존 면역항암제와 병합했을 때는 단독 투여보다 치료 효과가 크게 강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암세포 돌연변이로만 생기는 특이 단백질 조각(신항원)을 나노입자(LNP)에 담아 투여했을 때도 종양 성장이 억제되는 효과가 관찰됐다. 서울대병원 유방내분비외과 문형곤 교수, 서울대 허유정 암생물학 협동과정 박사, KAIST 생명과학과 전상용·바이오및뇌공학과 최정균 교수팀(김정연 박사)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환자 종양 조직에서 도출한 TdL과 신항원을 활용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삼중음성유방암 동물모델에서 검증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12일 발표했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환자의 약 15%를 차지하는 아형으로, 암세포에 여성호르몬 수용체(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와 HER2 단백질이 모두 없어 호르몬 치료제나 HER2 표적치료제를 사용할 수 없다. 결국 항암화학요법에 의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송상헌·변석수 교수 연구팀은 지난 6일 서울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에서 개최된 ‘제38회 대한비뇨기종양학회 정기학술대회 및 총회’에서 학술상 공모논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수상 연구는 ‘Targeted Cascade Genetinc Testing in Korean Prostate Cancer Probands : High Detection Rate of Heritable Germline Variants in First-Degree Relatives’로, 전립선암 환자에서 BRCA2 등 관련 유전변이가 확인될 시 직계 가족에서도 상당히 높은 비율로 동일한 유전 변이가 확인된다는 사실을 입증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유전성 전립선암이 발생할 시 직계 가족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는 검진 전략이 전립선암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데 매우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향후 유전성 전립선암의 예방 및 조기 진단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 데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송상헌 교수는 “최근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매년 전립선암 발병 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BRCA2, HOXB13 등의 유전 변이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