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와 레저.신간

경희대, 국제 하계 협력 프로그램 GC 2024 진행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의 대표적 국제 협력 프로그램인 ‘Global Collaborative 2024 Summer Program(이하 GC 2024)’이 7월 1일(월)부터 26일(금)까지 진행된다. GC는 해외 석학과 국제기구 고위 실무자들의 차별화된 강의를 통해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경희 캠퍼스에서 만나는 특별한 계절학기다. 올해는 온오프라인 강의와 대면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데, 12개국의 131명의 학생이 경희 캠퍼스를 찾는다.

GC 2024는 7월 1일(월) 11시 청운관 B117에서 개최된 입학식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올해 주제는 ‘세계 평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 갈림길에 선 미래(Global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Future at a Crossroad)’로 △평화와 국제 거버넌스(Peace and Global Governance) △국제 CSR과 지속 가능한 발전(Global CSR and Sustainable Development) △인류와 문명(Humanity and Civilization) 등 세 트랙으로 나눠 총 11개 강좌를 준비했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수강생들이 세계 시민의 역할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리더로 성장할 기반을 쌓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강생의 시야를 확장할 수 있는 강의를 준비했다. 이론과 실천 사례를 융합한 강의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 강의실 안팎의 소통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올해는 GC가 집중해 온 평화와 글로벌 거버넌스, 인류와 문명 등의 주제를 유지하며 그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경영(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과 같은 주제를 추가했다.

평화와 국제 거버넌스 트랙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상을 위한 미학적 리더십 △변화하는 세상의 미래 정치 △미래와 변혁적 리더십의 재구성 등의 강의를 준비했다. 이 트랙에서는 전환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십의 형태와 역할, 미래 정치의 모습 등을 다룬다. 펜실베이니아대 페미나 헨디, 램 크난 교수와 프린스턴대의 존 아이켄베리 교수 등의 세계적 석학과 경희대 김수진, 문돈, 신충식, 정민영 교수 등 관련 분야의 최고 전문가가 함께한다.

올해 신설한 국제 CSR과 지속 가능한 발전 트랙에서는 △지속 가능 개발 목표: 격차 해소와 평등 강화 △ESG와 UN 글로벌 콤팩트 △UN: 글로벌 도전 과제와 시민사회의 역할 △미래인가 붕괴인가: 기후변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 등의 강의가 진행된다. 강의는 국제기구 전문가들과 석학, 경희대 교수진이 맡는다. 경희대 이리나 보코바 석좌교수(전 유네스코 사무총장)와 노트르담대 올리버 윌리엄스 교수, 김찬우 전 기후변화 대사 등과 경희대 박환희, 박용승 교수 등이다. 이들은 기후변화와 같은 지구적 난제로 시작해 지속 가능 개발 목표(SDGs), ESG 등 인류와 사회적 책임 등과 관련한 국제적 노력과 정책 등을 살핀다.

인류와 문명 트랙은 최근의 학문 흐름과 한국문화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트랙이다. △AI와 인문학: 기술, 생태, 문화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적 매력과 독창성 △현대 한국의 다양성 이해 △한국어 Ⅰ·Ⅱ 등으로 구성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