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구름조금동두천 13.0℃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3.9℃
  • 구름조금대전 11.9℃
  • 맑음대구 9.3℃
  • 맑음울산 10.9℃
  • 맑음광주 11.9℃
  • 맑음부산 15.1℃
  • 맑음고창 8.9℃
  • 맑음제주 16.0℃
  • 맑음강화 10.7℃
  • 구름많음보은 4.7℃
  • 구름많음금산 10.7℃
  • 맑음강진군 9.2℃
  • 맑음경주시 7.8℃
  • 맑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문화와 레저.신간

경희대, 국제 하계 협력 프로그램 GC 2024 진행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의 대표적 국제 협력 프로그램인 ‘Global Collaborative 2024 Summer Program(이하 GC 2024)’이 7월 1일(월)부터 26일(금)까지 진행된다. GC는 해외 석학과 국제기구 고위 실무자들의 차별화된 강의를 통해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경희 캠퍼스에서 만나는 특별한 계절학기다. 올해는 온오프라인 강의와 대면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데, 12개국의 131명의 학생이 경희 캠퍼스를 찾는다.

GC 2024는 7월 1일(월) 11시 청운관 B117에서 개최된 입학식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올해 주제는 ‘세계 평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 갈림길에 선 미래(Global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Future at a Crossroad)’로 △평화와 국제 거버넌스(Peace and Global Governance) △국제 CSR과 지속 가능한 발전(Global CSR and Sustainable Development) △인류와 문명(Humanity and Civilization) 등 세 트랙으로 나눠 총 11개 강좌를 준비했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수강생들이 세계 시민의 역할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리더로 성장할 기반을 쌓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강생의 시야를 확장할 수 있는 강의를 준비했다. 이론과 실천 사례를 융합한 강의로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고, 강의실 안팎의 소통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올해는 GC가 집중해 온 평화와 글로벌 거버넌스, 인류와 문명 등의 주제를 유지하며 그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책임 경영(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과 같은 주제를 추가했다.

평화와 국제 거버넌스 트랙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상을 위한 미학적 리더십 △변화하는 세상의 미래 정치 △미래와 변혁적 리더십의 재구성 등의 강의를 준비했다. 이 트랙에서는 전환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십의 형태와 역할, 미래 정치의 모습 등을 다룬다. 펜실베이니아대 페미나 헨디, 램 크난 교수와 프린스턴대의 존 아이켄베리 교수 등의 세계적 석학과 경희대 김수진, 문돈, 신충식, 정민영 교수 등 관련 분야의 최고 전문가가 함께한다.

올해 신설한 국제 CSR과 지속 가능한 발전 트랙에서는 △지속 가능 개발 목표: 격차 해소와 평등 강화 △ESG와 UN 글로벌 콤팩트 △UN: 글로벌 도전 과제와 시민사회의 역할 △미래인가 붕괴인가: 기후변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 등의 강의가 진행된다. 강의는 국제기구 전문가들과 석학, 경희대 교수진이 맡는다. 경희대 이리나 보코바 석좌교수(전 유네스코 사무총장)와 노트르담대 올리버 윌리엄스 교수, 김찬우 전 기후변화 대사 등과 경희대 박환희, 박용승 교수 등이다. 이들은 기후변화와 같은 지구적 난제로 시작해 지속 가능 개발 목표(SDGs), ESG 등 인류와 사회적 책임 등과 관련한 국제적 노력과 정책 등을 살핀다.

인류와 문명 트랙은 최근의 학문 흐름과 한국문화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트랙이다. △AI와 인문학: 기술, 생태, 문화 △한국 대중문화의 세계적 매력과 독창성 △현대 한국의 다양성 이해 △한국어 Ⅰ·Ⅱ 등으로 구성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K-MEDI hub. ㈜이롭과 「2025 한국기술혁신학회 」 동시 수상 K-MEDI hub(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와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기업 ㈜이롭이 소노캄 제주에서 열린 「2025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술혁신상 시상식에서 동시 수상의 쾌거를 이뤘다. 재단은 ㈜이롭의 수술로봇개발 지원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기술혁신지원상을, ㈜이롭은 국산 최초 복강경 수술용 로봇 ‘이롭틱스’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술혁신상을 수상했다. 재단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의 일환으로 진행된 디지털 헬스케어·의료기기 특화 제품 개발 과제를 통해 ㈜이롭의 로봇기술 고도화를 지원했다. 특히 ‘이롭틱스’의 공인시험을 지원했으며, 전기·기계적 안정성 및 전자파 적합성, 성능시험 등 27건의 시험지원과 전자파 디버깅, 실무교육을 통해 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부분을 인정받았다. 더불어 협동로봇 카트 및 액세서리 기능 개선과 복강경 수술로봇 공동 디자인 출원 이후 기술이전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을 수행했다. 수상을 통해 ㈜이롭은 국내 1호 수술 협동로봇 ‘이롭틱스’에 이어 2세대 수술로봇 개발 및 전임상 성공을 통해 기술혁신을 인정받았다. 특히 2세대 수술보조 협동로봇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범대위 위원장 "성분명 처방 강행..곧 의약분업 파기 선언" 대한의사협회 오늘 (16일) 오후 2시 여의도 국회 앞에서 '국민건강수호 및 의료악법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 대표자 궐기대회' 개최했다. 김택우 범대위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수급 불안정 의약품 문제는 마땅히 국가가 책임져야 할 일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그 책임을 방기한 채 의약품 수급 불안이라는 핑계 뒤에 숨어 성분명 처방을 강제하려 하고 있다"며 " 이 법안은 성분명 처방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의사들에게 형사 처벌까지 강제하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며 이는 과잉 입법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는 의사와 환자 간의 신뢰를 깨뜨리고 환자 안전을 위협하며, 책임 구조를 붕괴시키는 명백한 의료악법이다.동일 성분이라는 이유로 의사의 판단 없이 약제가 대체된다면, 그로 인한 의사의 처방 권한과 환자의 안전은 누가 책임질 것" 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지난 2000년 의약분업 이후, 우리는 처방과 조제의 경계를 묵묵히 지켜왔다. 그러나 지금 국회와 정부가 강행하는 성분명 처방은, 지난 20여 년간 지켜온 의약분업의 원칙을 명백히 무너뜨리는 행위"라고 지적하고 "성분명 처방 강행은, 곧 의약분업 파기 선언"이라고 못박았다. 김 위원은 이어 "법원 판결을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