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로봇 및 내시경 수술 어디까지 가능?

세브란스병원, 국제심포지엄 통해 최신 지견 소개 두경부 로봇수술 교과서도 발간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는 최근 ‘제1회 내시경 및 로봇 두경부 수술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두경부 로봇수술 교과서도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대한 갑상선 두경부외과학회 후원으로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이비인후과 전문의들이 모여 두경부 외과 영역에서의 로봇 및 내시경 수술에 대한 최신 지견을 나눴다.

16개국 100여 명의 두경부외과 의사가 참석한 가운데 심포지엄 첫 날에는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고윤우 교수의 집도로 로봇내시경하 갑상선 수술 및 경부절제술 시연이 있었다.
 

특히 후이개 절개법을 이용한 로봇 경부절제술은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개발한 수술법으로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처음 생중계 시연된 것이다.

두 번째 날에는 로봇 갑상선 수술의 정웅윤 교수(세브란스병원 외과), 로봇 수술의 권위자인 랄프 터파노(미국 존스 홉킨스 의대 병원), 제레미 리치몬 박사의 강연을 비롯해 전 세계 로봇 및 내시경 수술의 권위자들이 두경부외과 영역에 대한 내시경 및 로봇 수술의 최신 지견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의 시간을 가졌다.

심포지엄을 준비한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최은창 교수는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세계 최초로 시도한 경부절제술이 지난 100년간 경부절제술의 교과서로 여겨지던 미국의 수술법 패러다임의 혁신을 가져왔으며 앞으로도 더욱 활발하게 영역을 확장시키며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심포지엄에 맞춰 로봇 및 내시경을 이용한 두경부 수술에 대한 교과서인 “Atlas book of Head and Neck Surgery: Endoscopic and Robotic Neck Surgery” 도 출간됐다.
 

총 17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개발해 기존의 교과서에 소개되지 않은 다양한 내시경 및 로봇 경부수술에 대한 내용이 정리됐고 각 장마다 수술동영상을 온라인에서 볼 수 있도록 제작됐다.

한편, 두경부 외과 영역에 로봇 및 내시경 수술이 도입된 이후로 최근에는 내시경적 갑상선 수술과 경구 로봇 수술 등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최은창, 고윤우 교수팀은 최소침습수술의 개념을 확장해 세계 최초로 후이개(귓바퀴 뒤) 접근법을 이용한 경부 절제 수술법을 개발한 바 있다.
 

이 수술법은 기존의 고식적인 경부절제술의 근본 패러다임을 바꾼 수술법으로서 수술 후 환자의 기능과 미용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세계 유수의 기관과 의학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최은창, 고윤우 교수팀은 이러한 개념을 갑상선 수술에 확대 적용시켜 우수한 효과를 입증하기도 했으며 이 수술방법은 미국에서 발행되는 5개의 교과서에도 게재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가볍게 여긴 어지럼증, '이것' 이상 신호일 수 있어 일상 속에서 한두 번 느끼는 어지럼증은 대부분 피로나 빈혈로 인한 일시적인 증상으로 여기기 쉽다. 그러나 증상이 반복되거나 도는 듯한 느낌이 동반된다면 단순한 생리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 어지럼증은 자신이나 주변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상태를 포괄하는 용어로, 두통과 함께 신경과 외래에서 가장 흔히 호소 되는 증상 중 하나다. 대부분은 비교적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일부는 뇌질환이나 심혈관계 이상 등 중대한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 있다. 나승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는 “어지럼증은 단일 질환이 아닌 여러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복합적 상태”라며 “특히 반복되거나 강도가 심하고, 복시 등 다른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경우 전정질환 또는 뇌졸중 등 신경계 이상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어지럼증은 생리적 요인부터 말초 전정기관 이상, 중추신경계 질환, 심혈관 및 자율신경계 이상, 심리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말초성 어지럼증 질환으로는 전정기관의 이석이 잘못된 위치로 이동해 발생하는 이석증(양성돌발성체위현훈), 내림프액 이상으로 인한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