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엄마가 알면 좋은 상식, 우리 아이 얼굴 점 언제 빼는 게 좋을까?

‘선천성 멜라닌 세포모반’,악성 흑색종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 필요

#저도 여기저기 점이 많은 편인데, 유전인지 모르겠지만 7살짜리 우리 딸 아이도 얼굴에 점이 생겨나더라고요. 처음엔 작게 뭔가 묻은 것처럼 보였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더 커져가는 것 같아요. 아이가 이제 곧 초등학교에 입학하는데 학교에서 친구들한테 놀림 받을까 봐 미리 점을 빼주고 싶지만 아직 어리기도 하고... 지금 딸 아이 점을 빼줘도 괜찮을까요?”


7살 딸을 둔 엄마 이지현씨(가명, 35세)의 걱정이다. 어릴 땐 없었던 아이의 얼굴에 하나 둘 점이 생기기 시작하면 이를 걱정하는 엄마들의 우려가 적잖다. 일상생활을 하는데 큰 지장은 없지만 미용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점이 더 많아질까 봐 혹은 더 커질까 봐 걱정돼서다.


예전엔 없었지만 성장기 과정에서 우리 아이들의 얼굴에 문득 점이 생기기도 한다. 건강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깨끗한 얼굴을 위해 제거는 불가피하다. 아이 얼굴에 생긴 점, 언제 빼는 게 좋을까.


김선지 원장(피부과 전문의)은 “일반적으로 점을 뺄 때는 사춘기 이후에 시술 받는 것을 권장한다. 피지선은 상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사춘기 이전에는 털피지샘단위가 발달하지 않아 피부 재생능력이 떨어져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에서 흉터로 변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선천성 멜라닌 세포모반’이라고 불리는 점은 악성 흑색종으로 발전할 소지가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신생아의 약 1% 정도에서 발견되는 ‘선천성 멜라닌 세포모반’은 출생 시 보통 갈색 반점 형태로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의 색깔이 진해지고 두꺼워지면서 털도 굵게 자라는 경우가 있다.


치료가 늦어지면 상당히 넓은 부위의 피부 치료가 필요하거나 악성 병변으로 이어질 수 있어 피부과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김선지 원장은 “일반적으로 점은 갈색, 검은색, 청회색 등 여러 가지 색깔을 가지고 있고, 편평한 점은 물론 돌출된 점 등 형태가 다양하다.


점의 색깔이나 모양, 크기가 각양각색이고 형태에 따라 혹은 점 세포 깊이의 정도에 따라 그에 맞게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또한 아이가 점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적절한 치료 시기에 대해서는 전문의와의 상의 후 고려해보는 걸 권유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점을 제거한 후에는 관리도 중요하다. 점을 뺀 부위에 재생 테이프를 붙이고 약 일주일 동안은 사우나, 찜질방, 수영장의 이용은 삼가는 것이 좋다. 재생 테이프를 뗀 이후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 상처 부위의 색소가 침착 되는 것을 예방해 주는 것을 권장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심창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명예교수,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 부채표 가송재단(이사장 윤도준, 동화약품 회장)과 대한약학회(회장 김형식, 성균관대 약대 교수)는 ‘제7회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자로 심창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명예교수를 ‘제18회 윤광열 약학상’ 수상자로 권영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상식은 10월 23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약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만찬행사에서 진행됐다. ‘윤광열 약학공로상’은 10년 이상 국민 건강 증진에 헌신하고, 국내 약학 발전에 큰 공로를 세운 대한약학회 회원에게 수여되며, ‘윤광열 약학상’은 국내 약계의 학술 발전에 기여하고 10년 이상 탁월한 연구업적을 이룬 회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제7회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된 심창구 교수는 2005~2008년 대한약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약학의 국제화와 학문적 성장에 크게 이바지했다. 또한 2005~2011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약사시험위원장으로 재직하며 약사 국가고시 제도 개선에 힘쓰는 등 제도적 기반을 다졌다. 심 교수는 약물동태학, 생물약제학, 약물송달학 등 약제학의 세 핵심 분야를 국내에 정립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국내 최초로 관련 교과서를 집필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