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한국화이자제약, 국가예방접종 도입 5주년 기념 켐페인

국내 영유아 접종 1위,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접종한 국내 영유아 10명 중 8.5명이 프리베나® 13을 접종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 www.pfizer.co.kr)은 지난 18일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13의 영유아 대상 국가예방접종 도입 5주년을 맞아,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알리는 ‘프리베나®13으로 폭넓게 예방’을 주제로 사내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소아에서 발생하는 균혈증, 수막염, 폐렴 및 중이염의 주요 원인균인 폐렴구균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마련되었다. 국가예방접종 사업의 혜택을 받아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추가 접종까지 완전 접종한 임직원 자녀들이 함께 참석해, 프리베나®13의 영유아 대상 국가예방접종 도입 5주년을 기념하고, 프리베나®13을 통해 7가 단백접합백신인 프리베나® 대비 추가된 6가지 혈청형(1,3,5,6A, 7F, 19A)을 통해 폭넓게 폐렴구균 질환을 예방 가능하다는 의미를 전달했다.


지난 2014년 영유아 대상 국가예방접종에 도입된 프리베나®13은2 생후 2개월부터 만 59개월 이하의 영유아라면 전국 7000여개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접종 받을 수 있으며, 접종 시 생후 2·4·6개월의 3회 기초접종과 12~15개월 사이의 추가접종까지 총 4회 접종이 권장된다.


이날 행사에서는 프리베나®13이 그동안 쌓아온 성과가 담긴 대형 퍼즐을 임직원 자녀들이 함께 완성하는 퍼포먼스가 펼쳐졌다. 대형 퍼즐 위 그려진 지구 이미지를 통해 세계접종 1위 폐렴구균백신 (2018 1QMAT, Global IQVIA data, 전 연령대상 폐렴구균 백신 기준) 프리베나®13의 글로벌 리더십을 표현했다. 폐렴구균으로부터 전 세계 아이들을 보호하는 프리베나®13의 이미지가 어린이들의 손끝에서 완성되며, 폐렴구균백신의 선두주자로서 자리매김한 프리베나®13이 지켜온 공중보건학적 가치를 형상화했다.


또한, 이번 행사를 통해 평소 주사를 무서워하는 아이들이 주사기를 친근하게 느끼고, 폐렴구균으로부터 건강하게 보호해주는 예방접종의 가치를 배울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화이자제약 백신사업부 임소명 전무는 “프리베나®13이 2014년 영유아 대상 국가예방접종으로 도입된 이래 지속적으로 국내 영유아 접종1위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으로써 수많은 아이들의 건강을 지키는 데 앞장설 수 있어 기쁘다”며 “폐렴구균이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침습성 세균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만큼, 이번 행사를 통해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중요성이 잘 전달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프리베나®13은 세계접종 1위의 폐렴구균 백신이며, 국내에서도 영유아 접종 1위의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으로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한 국내 영유아 10명 중 8.5명이 프리베나®13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났다.1 프리베나®13은 최초의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인 프리베나® (PCV7)에 6개 혈청형(1,3,5,6A, 7F, 19A)를 추가한 13가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으로 폭넓은 혈청형 커버리지를 가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젊은 나이 ‘급성 심장사’ 일으키는. ‘비후성 심근병증’이란 비후성 심근병증은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젊은 나이 급성 심장사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다. 최근 국내 유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비후성 심근병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심장내과 문인기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비후성 심근병증은 고혈압 등 심실에 부하 발생 조건 없이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상태로, 좌심실의 여러 부위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심실중격이 두꺼워지면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보내는 ‘좌심실 유출로’에 협착이 발생해 실신, 흉통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심장 근육이 두꺼워지고 유연성이 떨어져 움직이면 숨이 차는 호흡곤란이 발생하고 부정맥도 빈발할 수 있다. 문인기 교수는 “비후성 심근병증은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급성 심장사가 발생하거나 심부전이 악화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국내 유병률은 2010년 0.016%였으나 2016년 0.03%로 상당히 증가했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환자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적절한 관리를 위해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외 연구에 따르면,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의 40~60%에서 심장횡문근 관련 유전자 변이가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 유전적 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