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워터파크에서 생기기 쉬운 관절 부상은?

물놀이가 생각나는 무더위가 찾아왔다. 스릴 넘치는 놀이기구가 많은 워터파크는 바다나 계곡 등 멀리 휴가를 떠나기 어려운 사람도 당일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어 인기가 많다. 워터파크를 즐기다 자칫 방심하면 크고 작은 관절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 맨몸으로 짜릿함 즐기는 워터슬라이드, 안전 수칙 무시하다 ‘삐끗’
맨몸으로 빠른 속도를 즐기는 워터슬라이드를 탈 때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은 허리나 목의 부상이다. 평소 사용하지 않았던 근육을 쓰게 되고, 목을 움츠리거나 몸에 잔뜩 힘을 주는 등 근육의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작은 충격에도 통증이나 염좌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더 큰 스릴을 위해 위험한 자세로 타는 경우도 많아 사고에 대한 우려가 높다. 평소 디스크 증상을 겪던 사람들은 빠른 속도로 내려오면 가속도가 붙으면서 목뼈나 허리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평소보다 많은 압력을 받게 되어 디스크 탈출 가능성도 높아진다. 도착 지점에서 수면과의 마찰로 인한 충격도 더욱 크게 느낄 수 있다.


워터슬라이드를 즐길 때는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이완시켜주고 관절의 경직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안전요원의 지시에 따르고, 최대한 힘을 빼고 누워서 내려오며, 끝날 때까지 고개를 들지 말아야 한다. 팔은 가슴 앞쪽으로 모으거나 몸통 쪽으로 붙여야 타박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허리 근육과 인대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급성요통은 냉찜질을 하며 휴식을 취하거나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면 1~2주 이내 증상이 호전된다. 물놀이 후에 따뜻한 물로 뭉친 근육을 풀어주며 마무리하는 것도 근육 이완에 도움이 된다.


▲ 방심하다 ‘꽈당’… 미끄럼 사고로 발목부상, 골절사고 흔해
빙판길만큼 조심해야 하는 것이 물길이다. 워터파크 내 물이 고인 곳에서 발목을 접질려 통증이 생길 수 있고, 발목이 심하게 꺾이면서 인대가 파열되거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목동힘찬병원 진호선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발목을 삐면 처음에 많이 아프다가도 통증이 쉽게 가라앉는 경우도 있고, 처음에는 괜찮다가 오래 아픈 경우도 있어 다친 후 붓기와 통증이 없더라도 주의해야 한다”며 “처음 다쳤을 때 대부분 이상 없이 치료가 되지만 10~20% 가량은 만성적으로 관절이 불안정해 상당수 발목이 붓고 아픈 증세가 반복된다”고 설명했다.


물기로 인한 미끄럼 사고도 주의해야 한다. 넘어지면서 손으로 바닥을 지탱하면 체중의 몇 배에 달하는 충격이 집중되어 손목 인대 손상이나 골절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자녀나 손자들과 놀러 온 노년층의 경우 골밀도가 낮아 부상 위험이 높아지는데, 넘어지면서 손목과 발목, 무릎, 고관절 등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낙상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동할 때 보폭을 좁게 천천히 걷고, 신발은 슬리퍼보다는 발 전체를 감싸주고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아쿠아슈즈를 착용하는 것을 권한다.


만약 워터파크 이용 중 골절 사고를 당했다면, 구급요원이 오기 전에는 손상된 부위의 팔과 다리를 움직이지 말고, 만지지도 말아야 한다. 냉찜질팩을 손상 부위에 대 주고 심장보다 높게 위치하게 함으로써 출혈과 부종을 막아주는 처치도 필요하다.


이후에는 부목고정도 필요한데, 부목을 댈 때 각도를 교정해 똑바로 펴보려 하거나 뼈를 맞춰보겠다고 자꾸 움직이면 팔 또는 다리 혈류 순환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참으면 안되는 두통 있다"...그렇다고 진통제 습관 복용하면 "약물 과용성 두통"위험 여름철 냉방병 증상의 하나로 빈번히 나타나는 두통, 단순한 불편함으로 넘기기 쉽지만, 반복되거나 진통제에 의존할 정도로 증상이 심하다면, 뇌 건강 이상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잠깐 참으면 괜찮아진다?” 참으면 안 되는 두통도 있다두통은 인구의 70~80%가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다. 개인마다 통증 정도와 원인이 다르지만, 대부분 일상적인 불편으로 여겨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그냥 참고 넘기기 쉽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박중현 교수는 “흔히 나타나는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은 특별한 기저질환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두통인 경우가 많은 반면, 이차성 두통은 뇌막염, 뇌종양, 뇌출혈 등 심각한 뇌 질환의 경고 신호일 수 있다”며 “검사에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통증의 빈도, 양상, 동반 증상, 가족력 등을 면밀히 살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뇌 질환의 경고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는 두통의 특징으로는 ▲갑작스럽게 시작된 두통 ▲감각 이상이나 마비 증상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극심한 통증 ▲발열, 구역, 구토가 동반된 두통 등이 있다. 박중현 교수는 “이차성 두통은 언어장애, 운동장애, 복시(복시: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증상), 감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