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흐림동두천 5.5℃
  • 맑음강릉 11.4℃
  • 구름많음서울 7.7℃
  • 박무대전 2.9℃
  • 구름많음대구 5.4℃
  • 흐림울산 10.2℃
  • 구름조금광주 5.4℃
  • 흐림부산 11.8℃
  • 맑음고창 3.4℃
  • 구름많음제주 13.6℃
  • 맑음강화 6.3℃
  • 맑음보은 0.0℃
  • 맑음금산 0.6℃
  • 구름많음강진군 4.9℃
  • 구름많음경주시 11.3℃
  • 흐림거제 9.5℃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걸그룹의 직업병, 보기만 해도 안타까운 이 사진

얼마 전 온라인 게시판에는 '킬힐에 혹사당하고 있는 아이돌의 발가락'이라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높은 굽의 신발을 신고 고난도의 안무를 펼쳐야 하는 여성 아이돌의 혹사당하는 발을 모아둔 사진이다.


한눈에 봐도 걸그룹의 고통이 한눈에 드러나는 이 사진은 많은 팬들, 특히 여성들의 공감을 샀다. 그런데 문제는 킬힐의 고통이 '통증'만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예뻐보이기 위해, 혹은 어쩔 수 없이 굽 높은 신발을 신어야 하는 이들의 상당수는 무지외반증으로 대표되는 족부질환을 겪고 있다.


실제 한 방송에서 트와이스 멤버 다현은 현장에 출연한 의사에게 발을 내보인 뒤 무지외반증 진단을 받은 바 있다. 전 원더걸스 멤버이자 '24시간이 모자라'로 유명했던 가수 선미는 무지외반증이 악화되어 고생했다는 사실을 털어놓기도 했다. 선미가 원더걸스를 탈퇴한 주요 원인 중 하나도 바로 이 무지외반증이었다. 그렇다면 '킬힐'과 무지외반증은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


장철영 원장(족부질환 전문의) 은 “무지외반증을 유발하는 주원인이 바로 발볼이 좁고 높은 신발"이라고 지목한다. 장 원장은 “킬힐처럼 발 끝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신게 되면 체중이 엄지발가락에 쏠리게 되는데 이런 상황이 장시간 지속되면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무지외반증’으로 발전한다"고 설명한다.


장 원장의 말은 과장이 아니다. 실제로 201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무지외반증으로 진료받은 환자의 83%가 여성이다. 패션을 위해 하이힐이나 구두처럼 굽이 높고 불편한 신발 착용하는 여성에게서 무지외반증이 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여성 아이돌의 경우 높은 킬힐이나 하이힐을 신는것 뿐 아니라 그 상태로 무대에서 격렬한 춤을 추기까지 한다. 그냥 킬힐을 신는 여성보다 체중부하가 더 심하다. 전문가들은 여성 아이돌 상당수가 무지외반증 같은 족부질환을 겪고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문제는 합병증이다. 무지외반증이 생기면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밑으로 들어가거나 다른 발가락의 변형까지 일으킨다는 것이 장철영 원장의 설명이다. 여기에 몸 전체를 지탱하는 발에 통증이 오기 때문에 서 있거나 걸을 때 자세가 구부정해지고 이 때문에 허리, 무릎, 골반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심하면 걷는 것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가급적이면 하이힐이나 킬힐을 시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업무상, 미용상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착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장철영 원장은 “하이힐을 꼭 신어야 한다면 일주일에 하루 이틀 정도, 힐의 길이도 다양하게 변화를 주고 발바닥 앞쪽에 쿠션감이 있는 신발, 앞쪽이 조금 넓은 하이힐을 5시간 이내로 착용하면 건강에 비교적 무리를 덜 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하이힐 착용시) 갈아 신을 신발을 준비하고 미끄러운 양말이나 스타킹을 피하면서 가급적 계단을 이용하지 않으면 하이힐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종근당홀딩스,ESG 문화계까지..2025 메세나대상 ‘문화공헌상’ 수상 종근당홀딩스(대표 최희남)는 11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메세나대상’에서 ‘문화공헌상’을 수상했다. 한국메세나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메세나대상은 1999년부터 국내 기업 중 문화예술 분야 발전에 헌신한 기업을 뽑아 매해 시상하는 행사다. 종근당홀딩스는 한국 화단을 이끌어갈 유망 신진작가를 발굴·후원하고 문화소외 계층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여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종근당홀딩스는 2012년부터 '종근당 예술지상'을 운영하여 매년 유망 회화작가 3명을 선정해 3년간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42명의 작가를 배출했으며, 선정 작가들은 후원 마지막 해에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2011년부터는 '오페라 희망이야기'를 통해 대학병원과 소아병동을 찾아 클래식과 오페라 공연을 선보이며 환자와 가족들에게 음악으로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종근당홀딩스 최희남 대표는 "예술은 사람을 위로하고 사회를 바꾸는 힘"이라며 "’Better Life Through Better Medicine’이라는 제약기업 종근당의 사명을 바탕으로 예술이 가진 공감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허리 통증, 단순 근육통 아닐 수 있어…디스크로 악화되는 경고 신호? 현대인의 생활방식은 점점 척추에 부담을 주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장시간 앉아서 일하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늘고, 운동 부족과 잘못된 자세가 더해지면서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처음에는 단순 근육통으로 여기기 쉽지만, 방치할 경우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가 진행돼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으로 악화될 수 있다.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하는 추간판이 손상돼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오면서 신경근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염증과 압박이 더해지면 요통뿐 아니라 다리로 내려가는 방사통, 감각 이상, 근력 저하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 추간판은 나이가 들수록 수분이 줄고 탄력이 떨어지면서 퇴행성 변화를 겪는다. 이로 인해 외부 압력에 쉽게 손상되고,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자극한다. 유전적 요인, 비만, 흡연도 퇴행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흡연은 추간판 내 혈류를 감소시켜 영양 공급을 방해하고, 체중 증가는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높인다. 젊은 층이라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앉거나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들면 추간판에 부담이 누적돼 탈출 위험이 커진다. 대표적인 증상은 요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