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걸그룹의 직업병, 보기만 해도 안타까운 이 사진

얼마 전 온라인 게시판에는 '킬힐에 혹사당하고 있는 아이돌의 발가락'이라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높은 굽의 신발을 신고 고난도의 안무를 펼쳐야 하는 여성 아이돌의 혹사당하는 발을 모아둔 사진이다.


한눈에 봐도 걸그룹의 고통이 한눈에 드러나는 이 사진은 많은 팬들, 특히 여성들의 공감을 샀다. 그런데 문제는 킬힐의 고통이 '통증'만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예뻐보이기 위해, 혹은 어쩔 수 없이 굽 높은 신발을 신어야 하는 이들의 상당수는 무지외반증으로 대표되는 족부질환을 겪고 있다.


실제 한 방송에서 트와이스 멤버 다현은 현장에 출연한 의사에게 발을 내보인 뒤 무지외반증 진단을 받은 바 있다. 전 원더걸스 멤버이자 '24시간이 모자라'로 유명했던 가수 선미는 무지외반증이 악화되어 고생했다는 사실을 털어놓기도 했다. 선미가 원더걸스를 탈퇴한 주요 원인 중 하나도 바로 이 무지외반증이었다. 그렇다면 '킬힐'과 무지외반증은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


장철영 원장(족부질환 전문의) 은 “무지외반증을 유발하는 주원인이 바로 발볼이 좁고 높은 신발"이라고 지목한다. 장 원장은 “킬힐처럼 발 끝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신게 되면 체중이 엄지발가락에 쏠리게 되는데 이런 상황이 장시간 지속되면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무지외반증’으로 발전한다"고 설명한다.


장 원장의 말은 과장이 아니다. 실제로 201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무지외반증으로 진료받은 환자의 83%가 여성이다. 패션을 위해 하이힐이나 구두처럼 굽이 높고 불편한 신발 착용하는 여성에게서 무지외반증이 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여성 아이돌의 경우 높은 킬힐이나 하이힐을 신는것 뿐 아니라 그 상태로 무대에서 격렬한 춤을 추기까지 한다. 그냥 킬힐을 신는 여성보다 체중부하가 더 심하다. 전문가들은 여성 아이돌 상당수가 무지외반증 같은 족부질환을 겪고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문제는 합병증이다. 무지외반증이 생기면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밑으로 들어가거나 다른 발가락의 변형까지 일으킨다는 것이 장철영 원장의 설명이다. 여기에 몸 전체를 지탱하는 발에 통증이 오기 때문에 서 있거나 걸을 때 자세가 구부정해지고 이 때문에 허리, 무릎, 골반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심하면 걷는 것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가급적이면 하이힐이나 킬힐을 시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업무상, 미용상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착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장철영 원장은 “하이힐을 꼭 신어야 한다면 일주일에 하루 이틀 정도, 힐의 길이도 다양하게 변화를 주고 발바닥 앞쪽에 쿠션감이 있는 신발, 앞쪽이 조금 넓은 하이힐을 5시간 이내로 착용하면 건강에 비교적 무리를 덜 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하이힐 착용시) 갈아 신을 신발을 준비하고 미끄러운 양말이나 스타킹을 피하면서 가급적 계단을 이용하지 않으면 하이힐 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피로·빈혈 방치 말아야… 골수형성이상증후군 일수도 혈액은 우리 몸 곳곳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면역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액은 골수에서 만들어진다. 골수에 문제가 생기면, 건강한 혈액세포가 충분히 생성되지 못해 다양한 신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골수형성이상증후군은 골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세포의 생성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빈혈, 감염, 출혈 위험을 증가시키고, 일부는 급성백혈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 골수형성이상증후군은 조혈모세포가 변형되거나 기능을 상실해 혈액세포가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하면서 발생한다. 주로 5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남성에게서 더 흔하다.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노화와 관련된 유전자 돌연변이의 축적이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항암 치료나 방사선 치료 이력, 재생불량성빈혈 같은 기저질환, 특정 유전 질환도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소다. 주요 증상으로는 빈혈로 인한 피로감과 어지럼증, 창백한 피부 등이 있다. 혈소판 감소로 인해 쉽게 멍이 들거나 코피, 잇몸 출혈 같은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백혈구 감소는 면역력을 떨어뜨려 감염에 취약하게 만든다. 하지만 전체 환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