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불룩한 눈 밑·꺼진 눈 밑 ‘나는 노안일까’ ..,고민 전에 살펴보는 눈 밑 주름

노안으로 보이는 이유 다양해…눈 밑 주름은 가장 부각되는 노화 흔적

아직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또래보다 ‘나이 들어 보인다’라는 말을 듣는 사람들이 있다. 흔히 이러한 얼굴을 노안(老顔)이라 하는데, 어렸을 때의 나이 들어 보이는 얼굴이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오히려 나이를 먹은 후에는 젊어 보일 수 있다는 자조 섞인 농담도 들을 수 있다.


노안으로 보이게 하는 요소는 주름, 얼굴형, 피부 등 다양한데, 눈물 고랑, 인디언 주름과 같은 눈 밑 주름은 실제 나이보다 더 들어 보이게 만든다. 특히 눈 밑 주름은 볼처짐과 함께 정면에서 봤을 때 부각되기 때문에 가장 두드러지는 노화의 흔적이기도 하다.


사람마다 노화의 진행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눈 밑 주름 때문에 실제보다 더 나이 들어 보인다면 노화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눈 밑 주름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는데, 그에 따라 대처 방법도 달라진다.


눈 밑이 두툼하게 볼록해져서 그늘이 지는 것은 눈 밑의 안와지방을 둘러싸는 안와격막이 노화현상으로 인해 약해지면서 지방이 밀려 나와 점차 축적되기 때문이다. 눈 밑에 지방 주머니가 생기면 피곤해 보이는 인상이 되기 쉽고 본래의 모습과 달라지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눈밑지방재배치를 통해 불필요한 지방을 눈 밑 뼈 위쪽으로 재배치해 눈 밑을 매끈하게 만들 수 있다.


눈 밑에 지방 주머니가 생긴 단계에서 더 노화가 진행되면 눈 밑 피부가 탄력이 떨어지면서 피부가 늘어지고 눈물 고랑 및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에는 하안검수술로 개선할 수 있다. 아래 눈꺼풀의 속눈썹 뿌리 쪽을 절개해 늘어진 피부를 당기고, 눈 밑에 볼록하게 쌓인 지방은 적당히 제거 및 재배치해 주름, 지방, 피부톤 등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볼 중앙 부분의 지방이 처지면 눈 밑은 볼륨이 꺼지고 팔자주름 옆으로 주름이 생기면서 팔자주름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이는 중안면부 리프팅으로 개선할 수 있는데, 피부 조직을 끌어올려 고정하는 보형물로 처진 지방 조직과 근막을 당겨 고정하면서 볼 중앙의 볼륨을 살릴 수 있다.


눈 밑에 주름이 생기면서 처지는 등 눈 밑의 노화와 볼 부분의 조직의 노화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면 최근에는 중안면부 리프팅으로 볼 중앙의 볼륨을 살리면서 동시에 눈 밑 부분의 꺼진 부분을 개선하기도 한다. 눈 밑 지방주머니 및 피부 늘어짐과 볼 처짐 현상이 같이 일어난다면 하안검수술과 중안면부 리프팅을 동시에 진행해 하안검수술 시 간혹 생기는 아래 눈꺼풀 뒤집힘 등의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성형외과전문의인 반재상 대표원장은 “눈 밑 주름은 중안면부에서 두드러지는 부위라 많은 분들이 젊을 때부터 관리하는 눈가 주름, 이마 주름 못지않게 신경 쓰이는 부위”라며 “눈 밑 지방주머니가 더 커지는 등 노화가 많이 진행되기 전에 본인의 상태를 체크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김민관 회장 "공공의대 문제, 성분명 처방 문제, 건보공단 특사경 문제 등 난제 슬기롭게 극복" 경상남도의사회(회장 김민관)는 5월 31일(토) 14시,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4층 이정자홀에서 제26회 경남의사의 날 기념 종합학술대회를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성황리에 개최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정착된 이번 행사는 1천 1백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여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학술대회는 김지현 학술대회 준비위원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조민우 교수(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대한의사협회 자문위원): 환자안전의 이해를 비롯 차라리 교수(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역류성 식도염 진단 및 치료의 최신 지견, 박정현 교수(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내분비내과): 우리는 왜 살찌는가? 비만치료제의 변신, 조현태 변호사(경상남도의사회 법제이사): 판례를 중심으로 한 의료법 위반의 유형별 정리 등 총 4개의 강의가 마련됐다. 이날 학술대회 행사 중간에는 김양수 총무이사의 진행으로 제26회 기념식이 진행되었다.김민관 회장의 기념사, 조재홍 의장의 격려사, 박은실 준비위원장의 인사에 이어 다양한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김민관 회장은 기념사에서 “공공의대 문제, 성분명 처방 문제, 건보공단 특사경 문제 등 하반기에도 난제가 예상되지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