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0.8℃
  • 맑음서울 -1.9℃
  • 구름조금대전 -1.2℃
  • 맑음대구 1.5℃
  • 맑음울산 2.0℃
  • 흐림광주 4.4℃
  • 맑음부산 3.8℃
  • 흐림고창 2.9℃
  • 제주 10.6℃
  • 맑음강화 -1.2℃
  • 맑음보은 -2.6℃
  • 맑음금산 -1.0℃
  • 흐림강진군 5.7℃
  • 맑음경주시 1.3℃
  • 맑음거제 4.7℃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불룩한 눈 밑·꺼진 눈 밑 ‘나는 노안일까’ ..,고민 전에 살펴보는 눈 밑 주름

노안으로 보이는 이유 다양해…눈 밑 주름은 가장 부각되는 노화 흔적

아직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또래보다 ‘나이 들어 보인다’라는 말을 듣는 사람들이 있다. 흔히 이러한 얼굴을 노안(老顔)이라 하는데, 어렸을 때의 나이 들어 보이는 얼굴이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오히려 나이를 먹은 후에는 젊어 보일 수 있다는 자조 섞인 농담도 들을 수 있다.


노안으로 보이게 하는 요소는 주름, 얼굴형, 피부 등 다양한데, 눈물 고랑, 인디언 주름과 같은 눈 밑 주름은 실제 나이보다 더 들어 보이게 만든다. 특히 눈 밑 주름은 볼처짐과 함께 정면에서 봤을 때 부각되기 때문에 가장 두드러지는 노화의 흔적이기도 하다.


사람마다 노화의 진행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눈 밑 주름 때문에 실제보다 더 나이 들어 보인다면 노화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눈 밑 주름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는데, 그에 따라 대처 방법도 달라진다.


눈 밑이 두툼하게 볼록해져서 그늘이 지는 것은 눈 밑의 안와지방을 둘러싸는 안와격막이 노화현상으로 인해 약해지면서 지방이 밀려 나와 점차 축적되기 때문이다. 눈 밑에 지방 주머니가 생기면 피곤해 보이는 인상이 되기 쉽고 본래의 모습과 달라지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눈밑지방재배치를 통해 불필요한 지방을 눈 밑 뼈 위쪽으로 재배치해 눈 밑을 매끈하게 만들 수 있다.


눈 밑에 지방 주머니가 생긴 단계에서 더 노화가 진행되면 눈 밑 피부가 탄력이 떨어지면서 피부가 늘어지고 눈물 고랑 및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에는 하안검수술로 개선할 수 있다. 아래 눈꺼풀의 속눈썹 뿌리 쪽을 절개해 늘어진 피부를 당기고, 눈 밑에 볼록하게 쌓인 지방은 적당히 제거 및 재배치해 주름, 지방, 피부톤 등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볼 중앙 부분의 지방이 처지면 눈 밑은 볼륨이 꺼지고 팔자주름 옆으로 주름이 생기면서 팔자주름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이는 중안면부 리프팅으로 개선할 수 있는데, 피부 조직을 끌어올려 고정하는 보형물로 처진 지방 조직과 근막을 당겨 고정하면서 볼 중앙의 볼륨을 살릴 수 있다.


눈 밑에 주름이 생기면서 처지는 등 눈 밑의 노화와 볼 부분의 조직의 노화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면 최근에는 중안면부 리프팅으로 볼 중앙의 볼륨을 살리면서 동시에 눈 밑 부분의 꺼진 부분을 개선하기도 한다. 눈 밑 지방주머니 및 피부 늘어짐과 볼 처짐 현상이 같이 일어난다면 하안검수술과 중안면부 리프팅을 동시에 진행해 하안검수술 시 간혹 생기는 아래 눈꺼풀 뒤집힘 등의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성형외과전문의인 반재상 대표원장은 “눈 밑 주름은 중안면부에서 두드러지는 부위라 많은 분들이 젊을 때부터 관리하는 눈가 주름, 이마 주름 못지않게 신경 쓰이는 부위”라며 “눈 밑 지방주머니가 더 커지는 등 노화가 많이 진행되기 전에 본인의 상태를 체크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 캠페인 운영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매년 11. 18.~11. 24.)」을 맞아, 항생제 내성의 심각성을 알리고 국민이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올바른 항생제 사용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홍보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부터 항생제 내성을 인류가 직면한 10대 공중보건 위협 중 하나로 지정하였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대중의 인식 제고를 강조하는 글로벌 캠페인*의 운영과 동참을 촉구하고 있다. 항생제 내성은 세균이 반복적인 항생제 노출로 약효에 적응하면서, 기존 치료제가 더 이상 듣지 않게 되는 현상으로, 질병의 치료 실패와 의료비 증가를 초래한다. 다만, 항생제 내성은 ‘예방이 가능한 위협’으로, 우리 모두가 함께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적정 사용을 위해 노력한다면 이러한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이번 인식주간을 기념하여, 올바른 항생제 사용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대국민 캠페인을 실시한다. 국민과 의료인이 함께 항생제 내성 예방관리를 위해 ‘함께’ 노력하고, ‘행동’과 ‘실천’을 강조하는 슬로건을 제작하여, 국민에게는 일상 속 올바른 항생제 사용 실천을, 의료인에게는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