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방문규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6월 2일(금) 14: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23년 제5회 마약류대책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교육부, 외교부, 법무부, 대검찰청,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경찰청, 해경청, 관세청, 방통위, 국과수, 권익위, 국정원 등이 참석 사실상 마약과의 전쟁에 역량을 총결집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번 회의에서는 「마약류 관리 종합대책 추진성과 및 향후계획(23.4.18 발표)」에 따른 그 간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특히 최근 미국에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펜타닐’의 국내·외 동향 및 관리 방안을 심층 논의했다.
또한, 범정부 차원의 마약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약류 수사·치료·재활 등에 필요한 조직·인력·예산 확충도 논의하는 등 국내 마약 확산을 차단하고 마약범죄에 엄정하게 대처하는 동시에,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치료·재활 및 교육·홍보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서울병원 안과 마약류 관리법 위반 내역

이런 가운데 일부 의료기관들의 마약 관리가 허술 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식약처는 지난 5월 삼성서울병원 안과를 비롯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에 대해 마약류 관리법 위반 혐의로 행정조치 했다.
이들 병원 진료과들은 마약류를 보관 사용하면서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고 있다가 식약처의 약사감시에 적발 됐다.
행정조치는 대부분 담당자 주의조치로 이뤄졌지만 그렇다고 병원과 진료과의 책임이 없다고 할수 없어, 이번 기회에 병원 차원의 보다 세심한 관리와 메뉴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