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0.3℃
  • 맑음강릉 2.9℃
  • 구름많음서울 2.1℃
  • 흐림대전 3.3℃
  • 맑음대구 4.8℃
  • 맑음울산 3.1℃
  • 흐림광주 5.5℃
  • 맑음부산 5.2℃
  • 구름많음고창 3.5℃
  • 제주 10.2℃
  • 구름많음강화 0.9℃
  • 흐림보은 1.0℃
  • 흐림금산 2.0℃
  • 흐림강진군 6.0℃
  • 맑음경주시 -0.1℃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보건단체

체중을 약 5% 정도 감량하면...간 수치가 좋아지는 것 확인

흔한 지방간이라고 방치하지 낭패 볼수도

지방간은 간세포에 지방이 쌓인 것을 말한다. 정상 간에는 지방이 5% 정도인데, 지방간은 지방이 간에 침착돼 간 무게의 5%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단순한 지방간은 대부분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축적된 지방에서 간에 해로운 물질(사이토카인)이 분비되어 10명 중 2~4명은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 심각한 병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간에 쌓이는 지방은 대부분 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이며 음식섭취로 몸 안에 들어온 지방질을 원활하게 처리하지 못해 발생한다. 지방간의 4대 원인은 과도한 음주, 비만(복부비만), 당뇨병, 고지혈증이다. 

지방간은 원인에 따라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분류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하루에 40g(4잔) 이하의 음주를 하는 사람에게 생기는 지방간을 말한다. 원인은 대부분 과체중, 비만(복부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다. 
드물게 피임약 등 여성호르몬이나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여러 가지 약제를 오래 복용한 사람에게 지방간이 나타나기도 하며 갑자기 과도하게 체중을 감량하거나 체중을 줄이려고 수술을 하는 경우에도 지방간이 발생할 수 있다. 

지방간 자체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며 건강검진에서 간수치(ALT, AST)의 이상이 확인되거나, 복부 초음파검사에서 지방간으로 판정받기도 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이라면 술을 자제해야 하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이라면 비만, 특히 복부비만과 당뇨병, 고지혈증 등 원인을 교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식습관 교정과 운동이 답이다. 체중을 약 5% 정도 감량하면 간 수치가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니 오늘부터 시작해보자.출처: 메디체크 건강소식 7월호 / 글: 편집실 / 참고: 국가암정보센터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정부와 국민, 의료계, 제약업계 모여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재조명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손수정)은 ‘약의 날’을 맞아 국민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의약품 사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2025년 포스터‧카툰 공모전 시상식’과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전문가 세미나’를 11월 18일에 서울 JW 메리어트 동대문(서울시 종로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공모전 시상식 수상작 < 포스터‧카툰 공모전 > 의약품 안전사용 포스터‧카툰 공모전*은 지난 8월 18일부터 9월 23일까지 국민이 안전한 의약품 사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할 수 있도록 ‘포스터’와 ‘카툰’ 두 분야로 개최되었다. ▲안전한 의약품 환경을 선도하는 전문기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부작용 피해구제, 국민의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줍니다 ▲올바른 약 복용을 위한 기준을 만들어 갑니다 등 총 5개 주제 진행 이번 공모전에는 총 80점의 작품이 응모했으며, 대국민 표절 검증 및 심사를 거쳐 대상 1점, 최우수상 2점, 우수상 4점 등 총 7점의 수상작이 선정되었다. 대상은 포스터 부문에서 ‘국민 건강이 길을 잃지 않도록(박진영)’이 수상했으며, 나침반을 모티브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국민의 올바른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