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보건단체

암 예방 하려면...고지방식, 과로, 스트레스, 음주, 흡연과 단절해야

암 발생, 가족력이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불규칙한 생활습관도 원인

암에 잘 걸리는 사람이 따로 있을까? 암이 발생하는 데 가족력이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고지방식이, 과로, 스트레스, 음주, 흡연 등이 원인이다. 발생률과 사망위험이 높은 간암과 유방암을 예방하는 생활습관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오늘부터 시작해보자.  

 

2021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40대 이후 성인의 경우 1위는 단연 암으로 인한 사망이다. 또 2021년 우리나라 신규 암발생자수는 27만 7,523명으로, 이는 코로나19 유행으로 감소했던 암검진 등 의료기관 이용이 증가해 2020년 대비 10.8% 증가한 수치이다.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 대장암, 폐암, 위암, 유방암, 전립선암, 간암 순이다. 중 국가암검진 대상인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발생은 최근 10여 년간 감소 추세이며, 유방암 발생률은 최근 20년간 증가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암발생 위험은 나이 들어 체력이 떨어질수록 더 증가하지만,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대인 35~64세에는 간암과 유방암이 발생률과 사망위험이 높다. 

 

<적절한 휴식과 균형 잡힌 영양이 중요> 

국가암정보센터에서 발표한 간암의 발생위험요인을 보면 간암 환자의 72.3%, 11.6%는 B형, C형간염 바이러스가 원인이었고, 장기간의 과음이 원인인 경우는 약 10%, 간경변증이 원인인 경우는 1~7%였다. 바이러스 간염이 드문 서양에서는, 비만이 간암 발생 위험을 약 2배 이상 높이고, 주로 비만한 환자들에게 간암이 흔하다. 

 

반면, 우리나라 중장년층 환자는 비만뿐 아니라 정상 체중군에서 상대적으로 열량 섭취가 적고 신체활동이 많거나 직업상 과로하는 경우 간경변과 간암에 걸리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된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에서 국가검진자료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검진을 할 때마다 측정한 체중이 늘었다 줄었다 하는 등 체중 변화 폭이 큰 경우 간암 위험이 46% 증가했다.  

 

체중 변동이 큰 경우 암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은 특히 65세 이하, 체질량지수가 25kg/m2 미만의 정상 또는 저체중군에서 좀 더 두드러진 결과를 보였다. 한국인에서 간암 발생이 증가하는 경우는 비만하지 않고, 체중이 조금씩 감소되는 경우 좀 더 의미 있게 간암 위험이 증가했다.  

 

체중 변동이 큰 사람들은 고령이고 흡연과 과다 음주를 하는 경향이 있어, 만성염증이 잘 생기고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사람들이 체중이 적게 나가며 점점 줄어드는 경우 영양부족 상태가 되고, 염증을 없앨 수 있는 능력이 떨어져 간암이 더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나이가 들면서 정상체중인 경우는 과로와 지나친 운동으로 체중이 늘었다 줄었다 하지 않도록 적절한 휴식과 균형 잡힌 영양 상태를 유지해야 간암을 예방할 수 있다. 

 

<정기검진, 유방암 예방에 필수> 

여성에서는 유방암이 중년기에 가장 흔한 암으로 나타났다. 이른 초경, 늦은 폐경 등으로 여성호르몬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 때, 장기간의 호르몬치료, 늦은 출산 연령 등이 유방암 고위험군의 특성이고, 이 밖에 술 1~2잔 정도의 음주량으로도 유방암 위험은 8~11%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유방암은 유전적인 요인이 많이 작용하는 암 중 하나이다. 어머니 또는 자매가 유방암인 경우에는 위험이 2~3배, 양쪽 모두 유방암인 경우는 8~12배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된다. 비만도 유방암 위험과 관련 있어, 폐경 전에는 비만하지 않은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더 높고, 폐경 이후에는 비만한 여성에게서 유방암 발생 위험이 더 높아진다.  

 

미국 등 서구에서는 80세까지 지속적으로 유방암 발생이 증가해, 고령자에서 발생 비율이 더 높은 암인 반면, 우리나라 여성에서는 50대 전후에 유방암 발생률이 높고, 상대적으로 65세 이후의 연령에서는 유방암 위험이 절반 이하로 감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저출산, 서양식 등 고지방식을 불규칙하게 섭취하고 체력을 떨어뜨리는 경우, 또한 50대를 전후해 자녀 교육, 부모님의 병환 등으로 중년 여성층의 체력을 위협하는 상황이 많은 점 등이 이 연령대에서 유방암 발생위험이 커지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유방암 예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국가암검진 등 유방암 검진, 자가검진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체력이 떨어질수록 좀 더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하지 않은 연령층에서도 과로, 과음과 함께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체중 변동이 심할 정도로 무리하는 경우 암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따라서 고위험군은 규칙적인 검진, 일과 휴식의 균형, 일상생활에서 웃을 수 있는 여유를 갖도록 노력하는 것이 이 시기의 많은 간암, 유방암을 예방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출처 : 메디체크 건강소식 8월호 / 글 :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박민선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