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1 (화)

  • 맑음동두천 -2.8℃
  • 맑음강릉 1.8℃
  • 맑음서울 0.2℃
  • 박무대전 -1.1℃
  • 연무대구 -1.4℃
  • 연무울산 3.1℃
  • 연무광주 1.7℃
  • 연무부산 4.7℃
  • 맑음고창 -1.0℃
  • 구름많음제주 7.0℃
  • 맑음강화 -2.6℃
  • 맑음보은 -5.2℃
  • 맑음금산 -3.9℃
  • 맑음강진군 -0.8℃
  • 맑음경주시 -2.9℃
  • 맑음거제 1.7℃
기상청 제공

경희대병원,한국형 염증성 장질환 진단 지표 개발

지아이바이옴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마커 발굴

염증성 장질환은 소화관의 만성 면역 매개 염증성 질환으로 한국에서도 환자가 급증 추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2019년(7만 814명)부터 2023년(9만 2665명)까지 5년 새 30% 이상 환자가 급증했다. 

최근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마커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 군집과 유전체의 합성어로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들과 미생물 유전체 정보를 말한다.

경희대병원(원장 오주형) 염증성장질환센터 이창균 교수팀은 한국인 장 마이크로바이옴 특성과 진단적 역할을 연구한 성과를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 10월호에 게재했다. 해당 연구는 경희대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와 지아이바이옴 간 ‘염증성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통하여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연구는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 523명(크론병 223명, 궤양성대장염 300명)과 건강인 117명 등 총 64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들로부터 수집된 분변 샘플로부터 메타지놈(metagenome)분석하고 비교 연구했고, 한국인 염증성 장질환 분야의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장내 미생물들간 기능적 불균형이 질병의 중증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질병 악화와 장내 미생물 집단의 기능적 균형이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크론병 환자에서 미생물 다양성이 더욱 낮게 나타났다. 또한, 염증성 장질환 환자 세부 진단이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마커(진단표지) 집합을 발굴했다. 

이창균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인에게도 적용 가능한 결과를 도출한 중요한 연구 성과”라며 기쁨을 전했다. 지아이바이옴 양보기 대표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기술과 임상 데이터를 결합해 얻은 성과로, 염증성 장질환 진단 도구 개발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고관절 질환 소아 환자 치료 획기적 전기 마련 되나...2차골화중심이 비구 발달에 미치는 영향 확인 국내 연구진이 소아청소년기의 골반뼈 성장이 비구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다. 청소년기 전후로 골반뼈의 2차골화중심이 비구의 테두리를 따라 나타나고, 그에 따라 비구 후방 부위의 면적이 점점 넓어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결과는 고관절 성장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고관절 질환 예후 예측과 치료 방침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정형외과 신창호 교수팀은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서울대어린이병원에서 골반 및 복부 CT를 촬영한 9-13세 소아청소년 132명을 대상으로, 골반뼈의 2차골화중심 발달에 따른 비구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골반뼈의 ‘비구(Acetabulum)’는 허벅지뼈의 대퇴골두를 덮고 있는 오목한 모양의 뼈 구조다. 비구 주변에는 청소년기 전후로 2차골화중심이 나타나고, 여기서부터 골반뼈를 구성하는 장골·치골·좌골 3개의 뼈가 형성된다. 이런 성장을 거치며 비구의 면적도 증가하는데, 만약 비구가 대퇴골두를 과도하게 덮으면 대퇴비구충돌증후군을, 반대로 충분히 덮지 않으면 고관절 이형성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고관절 질환 예방과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려면 2차골화중심의 출현과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