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12.8℃
  • 흐림강릉 11.6℃
  • 흐림서울 14.9℃
  • 흐림대전 13.0℃
  • 흐림대구 10.9℃
  • 흐림울산 16.8℃
  • 흐림광주 16.1℃
  • 흐림부산 17.8℃
  • 흐림고창 16.7℃
  • 제주 19.4℃
  • 흐림강화 13.2℃
  • 흐림보은 11.4℃
  • 흐림금산 9.9℃
  • 흐림강진군 16.7℃
  • 흐림경주시 11.5℃
  • 흐림거제 17.1℃
기상청 제공

서울대학교치과병원,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 성료

 

서울대학교치과병원(병원장 이용무)은 지난 11월 3일(일), 8층 한화 홀에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이 주관하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 총동창회 후원으로 개최된 이번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는 동창회 및 일반 치과의사, 전공의, 학생 등 370여명이 넘는 인원이 등록하고 참여하여 성황을 이뤘다.  

 서울대치과병원 이용무 병원장은 개회사에서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은 지난  100년의 시간 동안 교육과 연구, 진료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치의료를 이끌어 왔다. 오늘 학술대회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최신 지식과 기술을 함께 나누는 귀한 자리로 임상 현장에서 활동하는 모든 치과의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 치의학계의 미래를 밝히는 지침이 될 것임을 기대한다.” 고 말했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 정상철 총동창회장은 축사에서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은 지난 100년 동안 치의학 발전을 선도하며 수많은 인재를 양성해 왔다. 이는 곧 우리나라 치의학 발전은 물론이고 세계 치의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고 말하고 “9천여 명의 동문들도 서울대학교치과병원과 함께 변함없이 치과 의료의 혁신과 발전을 위해 기여 하고 힘을 보탤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총 11개의 연제, 다섯 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신 치의학의 다양한 분야를 폭넓게 다루어 큰 호응을 이끌었다. 

 첫 번째 세션에서 ‘맹출장애, 매복치 관리’라는 연제로 소아치과 장기택 교수와 ‘Orthodontic Treatment with Orthodontic Mini-implant and Clear Aligner Therapy’라는 연제로 치과교정과 백승학 교수가 풍부한 경험과 통찰력을 더한 발표를 통해 참가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임플란트 관련 상악동 합병증의 예방과 처치’를 연제로 구강악안면외과 한정준 교수, ‘임플란트주위염 개선을 위한 합리적 방안’에 대해 치주과 구기태 교수가 임플란트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난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었다. 

이어지는 세 번째 세션에서는 ‘Will Bioceramic Cements be the Promising Root Canal Filling Materials?’라는 주제로 치과보존과 금기연 교수, ‘골반응 향상을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 조절법 고찰’을 주제로 치과보철과 여인성 교수가, 네 번째 세션에서는 ‘턱관절장애환자의 신체활동과 수명, DC/TMD 진단 그 너머’라는 주제로 구강내과 박지운 교수, ‘영상치의학 검사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영상치의학과 김조은 교수가 발표하여 장내 열띤 호응을 이끌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치과진정법에서 에미마졸람을 이용한 자가진정조절법의 적용’에 대해 치과마취과 서광석 교수와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디지털’을 주제로 서울라인치과 이수영 원장, 그리고 ‘치과의료분쟁의 실상과 문제점, 대응방안’에 대해 강치과의원 이강운 원장이 개원가에서 꼭 알아야 할 중요한 핵심포인트를 짚어 참가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한편, 서울대치과병원은 치의학 임상교육을 위해 설립된 1924년 경성치과의학교 부속의원을 거쳐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원하였다. 1978년 서울대학교병원으로 통합되었다가 2004년 서울대학교치과병원으로 독립하여 특수법인을 출범하였다. 지난 20년간 국민에게 최상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내외 의료진에 대한 교육 및 연수를 통한 인재 양성, 치의생명과학분야 연구를 통한 전 세계 치의학을 선도하며 국가중앙치과병원으로 위상을 제고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탄력 받나…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한미약품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국내 인공지능(AI) 전주기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책사업의 핵심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한미약품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 신규 과제에 참여하는 공동 연구기관으로 지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멀티모달 데이터셋 구축을 목표로, 전임상과 임상 데이터를 통합해 분석할 수 있는 ‘역이행 연구 설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역이행 연구는 임상 시험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전임상 단계로 환류시켜 신약개발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접근을 말한다. 과제 수행은 국내 병원과 제약기업, 학계 등이 협력하는 다기관 공동연구 형태로 운영되며, 한미약품은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는 ‘역이행 연구 설계 AI SW 개발’ 분야의 공동 기관으로 참여한다. 이 컨소시엄에는 삼성서울병원(주관)과 강북삼성병원(공동)을 비롯해 한미약품 등 대형 제약사들이 참여해 AI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에 힘을 모은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한미약품은 오랜 기간 항암, 대사질환 분야에서 신약 연구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나아가 새로운 전임상 멀티모달 데이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