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4 (화)

  • 구름많음동두천 -0.9℃
  • 구름많음강릉 4.4℃
  • 박무서울 1.2℃
  • 구름많음대전 4.4℃
  • 구름많음대구 1.0℃
  • 맑음울산 3.2℃
  • 박무광주 1.7℃
  • 맑음부산 5.6℃
  • 구름조금고창 -0.1℃
  • 구름많음제주 9.1℃
  • 구름많음강화 -2.8℃
  • 흐림보은 -0.2℃
  • 구름조금금산 1.1℃
  • 구름조금강진군 -1.5℃
  • 구름많음경주시 -2.4℃
  • 맑음거제 2.9℃
기상청 제공

순천향대 부천병원, 전이‧재발성 위암서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효과 정확하게 예측" 새 바이오마커 찾아

위암클리닉 최윤영‧윤진아 교수팀, 전이‧재발성 위암 면역관문억제제반응 예측 바이오마커 ‘데코린’ 역할 규명
위암 치료 효과 증진과 맞춤형 치료를 위해 이를 표적으로 하는 후속 연구 진행




순천향대 부천병원 위암클리닉 최윤영‧윤진아 교수 연구팀이 최근 전이‧재발성 위암 1차 치료 시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로 유전자 ‘데코린’의 역할을 밝혀냈다.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면역관문억제제가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약 20%의 환자만 효과를 보이는 한계가 있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발현하는 PD-L1 단백질과 면역세포의 PD-1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함으로써 면역반응을 활성화하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PD-L1 단백질 양성인 환자 중에서도 치료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있어 추가적인 바이오마커 발굴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최윤영‧윤진아 교수 연구팀(순천향대 부천병원 조인 교수,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학연구소 김기태 교수)은 순천향대 부천병원에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이‧재발성 위암의 1차 치료로 PD-L1 억제제인 ‘니볼루맙’ 치료를 받은 환자 12명의 종양에 대해 전엑솜‧전전사체 분석을 시행했다. 추가 검증을 위해 면역관문억제제 치료를 2‧3차 치료로 받은 62명 환자의 종양에 대해서도 전전사체 분석을 시행했다. 또, 다중오믹스 분석을 위해 단일세포전사체 및 공간전사체 분석을 추가 시행했다. 

 

그 결과,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효과가 좋았던 환자들은 종양에 면역 관련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나, 효과가 없었던 환자들은 암연관섬유아세포(CAF, Cancer-Associated Fibroblast)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종양에서 결합조직을 형성하는 암연관섬유아세포(dCAF, desmoplastic CAF)가 주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또, 유전자 데코린(Decorin)이 결합조직 형성 암연관섬유아세포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PD-L1 발현이 높더라도 유전자 데코린의 발현이 높은 경우 면역관문억제제에 효과가 없다는 것을 밝혔다. 

 

최윤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위암에서 면역관문억제제를 1차 치료로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첫 연구다. 이번에 발견한 데코린은 전이‧재발성 위암에서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효과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로서, 위암 치료 효과 증진과 맞춤형 치료를 위해 이를 표적으로 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데코린(Decorin)을 암 관련 섬유아세포의 결합조직 형성 핵심 표지자로서, 전이성 위암에서 1차 면역관문억제제 치료 저항성을 매개하는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세계위암학회 공식 학술지 ‘Gastric Cancer(IF:6.0)’ 최신 호에 게재됐으며, 대한위암학회 국제학술대회 ‘KINGCA WEEK 2024’에서 ‘우수 구연상’을 수상하며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앉지도 걷지도 못할 만큼 붓고 아픈 ‘복잡치루’ ..항문 고름 방치하면 발생 항문은 괄약근으로 이루어진 작은 구멍으로 우리 몸에 중요한 소화기관이자 배출기관이다. 그러나 연약해서 상처를 입을 경우 잘 회복되지 않으며, 대변과 접촉하는 특성상 세균감염도 쉬워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기관이기도 하다. 항문 내부 벽에는 원활한 배변을 위해 윤활 작용을 하는 분비물을 내보내는 항문샘이 존재한다. 항문샘은 움푹 파인 구조로 세균이나 이물질이 침투하기 쉬운 탓에 염증이 생겨 농양(고름)이 차기도 한다. 일종의 고름 주머니인 항문농양이 터지면 항문샘과 통로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을 ‘치루’라고 한다. 대체적으로 항문 농양이 생긴 환자의 70%가 치루를 겪게 되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치루는 쉽게 말해 괄약근을 지나는 염증과 고름의 ‘샛길’이 생기는 것으로, 발생하면 항문 주위가 반복적으로 붓고 매우 아프며 고름이 잡힌다. 또한, 주변에 볼록 튀어나온 구멍(외공)이 만져지며, 외공을 통해 고름이나 가스가 나오게 되며, 앉거나 걷는 것이 불편해 질만큼 일상생활에 적지 않은 지장을 준다. 치루는 괄약근 침범 정도에 따라 단순 치루와 복잡 치루로 구분한다. 단순 치루는 치루의 길이 하나뿐이고, 내괄약근 밖을 침범하지 않고 항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