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6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턱관절장애',20대 여성 환자 급증..스트레스, 불안감 등 영향

국민건강보험공단 분석결과, 2015년 건강보험 진료인원 35만명 ( 남성 14만명, 여성 21만명) 중 20대가 5만 5천명으로 여성 전체환자의 26.4% 차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진단명으로 '턱관절장애'을 진료 받은 환자는 2010년 25만 명에서 2015년 35만 명으로 40.5% 증가하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1.5배정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성별·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20대(9만 4천명, 26.9%)가 가장 많았고, 10대(6만명, 17.1%), 30대(5만 6천명, 16.1%) 순이었으며,젊은 연령층의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성이 5만 5천명으로 같은 연령대 남성 3만 8천명의 1.4배였으며, 30대와 40대는 1.7배 등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여성 진료인원이 많았다.


< 2015년 건강보험 ‘턱관절장애’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현황 >
                                                                                                                               (단위 : 명, %)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전체

248,052

274,439

293,713

316,992

338,949

348,413

남성

98,078

108,786

116,248

125,641

134,799

138,939

여성

149,974

165,653

177,465

191,351

204,150

209,474

9 세 이하

1,556

1,806

1,889

1,872

1,816

1,929

남성

833

951

1,016

962

932

1,046

여성

723

855

873

910

884

883

10

51,355

56,372

56,757

59,794

61,147

59,661

남성

23,696

25,862

25,280

25,877

26,838

25,987

여성

27,659

30,510

31,477

33,917

34,309

33,674

20

69,016

75,797

80,518

85,471

90,837

93,848

남성

26,866

30,198

32,089

34,548

37,397

38,478

여성

42,150

45,599

48,429

50,923

53,440

55,370

30

43,487

47,294

50,835

53,945

56,203

56,130

남성

15,811

17,047

18,613

19,977

20,845

21,147

여성

27,676

30,247

32,222

33,968

35,358

34,983

40

31,527

34,784

38,032

42,250

45,734

47,371

남성

11,855

13,058

14,412

16,005

17,034

17,541

여성

19,672

21,726

23,620

26,245

28,700

29,830

50

24,921

28,779

32,492

35,996

39,990

42,095

남성

9,296

10,717

12,309

13,838

15,112

16,099

여성

15,625

18,062

20,183

22,158

24,878

25,996

60

14,958

16,445

18,282

20,432

23,733

26,339

남성

5,849

6,430

7,360

8,284

9,676

10,782

여성

9,109

10,015

10,922

12,148

14,057

15,557

70

9,157

10,803

12,157

13,895

15,536

16,567

남성

3,286

3,850

4,347

5,088

5,683

6,404

여성

5,871

6,953

7,810

8,807

9,853

10,163

80세 이상

2,075

2,359

2,751

3,337

3,953

4,473

남성

586

673

822

1,062

1,282

1,455

여성

1,489

1,686

1,929

2,275

2,671

3,018

진료 형태별로 ‘턱관절장애’ 진료인원을 비교해 본 결과, 외래 진료인원은 2010년 24만 8천명에서 2015년 34만 8천명으로 40.4%으로 증가하였고, 입원 진료자수도 2010년 322명에서 2015년 445명으로 38.2% 증가하였다.


턱관절장애 관련 진료비 현황을 살펴보면, 입원보다는 외래 진료비가 대부분으로 2010년 대비 7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전체 진료비는 2010년 173억 원에서 2015년 303억 원으로 130억 원이 증가하여, 2010년 대비 74.9% 증가 하였다.

<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형태별 ‘턱관절’ 진료비 현황 >

                                                                                                                          (단위: 백만원)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전체

17,335

19,110

20,776

23,692

27,795

30,315

남성

5,911

6,483

7,060

8,057

9,507

10,526

여성

11,424

12,627

13,716

15,634

18,288

19,789

9세 이하

55

56

64

63

66

73

남성

27

29

32

33

34

40

여성

28

27

32

30

32

33

10

3,434

3,742

3,775

4,263

4,785

4,926

남성

1,402

1,497

1,479

1,603

1,810

1,896

여성

2,032

2,245

2,295

2,661

2,975

3,031

20

4,926

5,453

5,895

6,610

7,778

8,587

남성

1,699

1,913

2,065

2,338

2,796

3,109

여성

3,227

3,540

3,830

4,272

4,983

5,477

30

2,823

3,146

3,435

3,876

4,511

4,795

남성

877

947

1,060

1,225

1,440

1,581

여성

1,945

2,198

2,375

2,651

3,071

3,213

40

2,072

2,231

2,478

2,964

3,513

3,877

남성

653

702

790

949

1,131

1,235

여성

1,419

1,529

1,688

2,015

2,382

2,641

50

1,915

2,146

2,432

2,797

3,334

3,733

남성

562

633

733

853

1,003

1,154

여성

1,353

1,514

1,700

1,944

2,331

2,579

60

1,182

1,273

1,440

1,681

2,066

2,413

남성

396

425

492

587

715

848

여성

786

847

948

1,094

1,351

1,565

70

763

881

1,035

1,159

1,391

1,518

남성

252

286

342

386

456

548

여성

512

595

694

774

935

970

80세 이상

164

183

223

278

351

393

남성

43

50

67

85

123

115

여성

121

133

156

193

228

279

턱관절 장애는 영상의학 검사를 보조적으로 이용하나 주로 임상적 증상(주관적)이나 징후(객관적) 등에 의해 진단을 하게 된다. 즉, 아래턱의 운동이나 기능 제한, 턱관절 부위의 통증 및 관절음, 주위 근육(저작근) 부위의 동통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한다.

 
잘못된 행동이나 습관도 턱관절장애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것들로는 이갈이, 긴장 시 이 악물기, 편측 저작, 손톱 깨물기, 혀 내밀기, 껌 오래 씹기, 과도하게 입을 크게 벌리기 등이 있다.

 

이러한 행동 기여요인이 과도한 근육 긴장 및 피로를 야기하거나 턱관절에 장기간에 걸쳐 오랫동안 미세한 외상 등을 야기하여 턱관절 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다.

 

잘못된 구강 습관 등이 있을 때는 행동요법 치료로 이러한 습관을 인지하고 개선하도록 노력하며 스트레스를 경감하여 저작근 등의 과도한 긴장을 완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성장기에서 턱관절 장애가 발생한 채로 방치하여 악화될 경우, 관절 부위 뼈 모양이 변하거나 심한 경우 뼈가 덜 자라, 편측일 경우 얼굴이 비뚤어지는 안면비대칭을 초래되거나 양측일 경우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성장기 때는 회복력이 아주 뛰어나 통증을 심하게 못 느낄 수 있어 환자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냥 지나칠 수 있으므로 특히 보호자의 주의 깊은 관찰과 함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아쏘시오홀딩스, 그룹 임직원 가족 초청 에버랜드 나들이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5월 가정의 달을 맞아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과 가족을 용인 에버랜드에 초청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구성원의 행복한 몰입을 바탕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 및 가족 친화 경영 실천, 임직원과 자녀 등 가족에게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했다. 3일 오전부터 임직원과 가족 등 800여명은 에버랜드에서 놀이기구를 타고 사파리를 구경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아울러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 대상 경상북도 상주에서 즐기는 힐링캠프 ‘:D FAMILY CAMPING FESTIVAL(디 패밀리 캠핑 페스티벌)’을 5월 4일부터 6일까지 2박 3일간 실시한다. 참여한 임직원과 가족들에게 웰컴 기프트 및 어린이날 선물을 전달하고, 굿모닝 보물찾기, 버블매직쇼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소중한 추억을 선사한다. 이외에도 동아쏘시오그룹은 연간 휴무 및 패밀리데이 일정이 담긴 연간 휴무일을 미리 공지하여 직원들이 휴가 계획을 미리 세울 수 있도록 한다. 또 여름, 연말 휴가 기간 직원과 가족들의 휴식 공간과 재충전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리조트 추첨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동아쏘시오홀딩스는 2022년 가족친화 우수 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인천세종병원, 중증 심장질환 환자 치료 역량 주목 인천세종병원(병원장 오병희)의 중증 심장질환 환자 치료 역량이 주목받고 있다. 인천세종병원은 대한민국 유일 심장 전문병원인 부천세종병원과 ‘심장병 없는 세상을 위하여’라는 설립이념을 같이 한다. 아울러 수십년 심장치료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인천세종병원은 심장치료와 직접적인 연관 진료과인 심장혈관흉부외과·심장내과 전문의만 16명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중 이영탁 과장(심장혈관흉부외과), 박표원 과장(심장혈관흉부외과), 오병희 병원장(심장내과) 등 국내 심장치료 부분에서 내로라하는 명의들이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 이 과장은 지난 1996년 국내 최초로 인공심폐기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심박동하우회술(무심폐기 관상동맥우회술)을 성공시켰다. 박 과장은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인천세종병원은 장비 면에서도 단연 앞선다. 지난해 9월 경인 지역 종합병원 최초로 4세대 모델 중에서도 최신인 다빈치SP 로봇수술 장비를 도입하는 동시에 로봇수술센터를 출범했다. 인공지능(AI) 기반 심정지 사전 예측, 심부전 가능성 진단, 스마트워치 연동 원격 심전도 진단 등 프로그램, 자기공명영상(MRI), X-ray 장비 등도 도입하며 진료 수준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