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노인 당뇨병 환자, 근감소증 유병률 높아

국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의료진 연구결과 발표..."식이요법 , 운동 통해 근손실 최소화 노력 필요"

2형 당뇨병(이하, 당뇨병) 환자는 ‘근육량’이 중요하다는 연구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체질량지수, 골밀도, 근감소증 유병율 등을 분석한 결과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은 내분비내과 연구팀(원영준, 김세화, 김유미 교수)이 최근 ‘제2형 당뇨병과 체성분, 골다공증의 상관관계(Associ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osteoporosis and diabetes in korean elderly subjects)’란 제목의 연구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08년~2010년)를 토대로 국내 65세 이상 당뇨병 환자 533명과 정상인 2000명의 ▲체질량지수(BMI) ▲골밀도 ▲근감소증 및 근감소성 비만율 등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고령 당뇨병 환자의 체질량 지수는 평균 24.6으로 동 나이대 정상인(23.4)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뇨병 환자의 27.2%가 근육량이 부족해지는 근감소증을 앓고 있었으며, 16.5%는 이로 인한 근감소성 비만 환자였다. 이는 정상인보다 각각 1.6배, 1.7배 높은 수치였다.


다만 골밀도 점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 당뇨병 환자군이 정상인군보다 약간 높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해 원영준 교수는 “당뇨병 환자가 골절 확률이 높은 이유는 골밀도보다는 골의 질, 당뇨합병증, 낙상, 근감소증 등으로 인한 경우가 더 많다”고 말했다.


이어 원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중요한 것은 당뇨병 환자의 근육량 감소에 있다”며 “특히 고령의 당뇨병 환자는 동 나이대의 정상인 보다 근감소증과 근감소성 비만의 발병률이 높아 식이요법 및 운동을 통해 근손실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지난 5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2019 유럽골대사학회(ECTS)’에서 연구상을 받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힙하게, 감도 높게! MZ세대 일상에 스며드는 ‘요즘 캠페인’ 최근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생활 밀착형’ 캠페인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단순한 광고가 아닌, 일상 속에서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감각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캠페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제품만을 강조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계절감과 공간, 그리고 체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소비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전략이 눈에 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오프라인 공간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팝업스토어나 전시 등 오프라인 현장에서 브랜드를 노출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인지도를 높이고 캠페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MZ세대의 일상에 감각적으로 스며든 브랜드들의 캠페인 사례를 함께 살펴보자. ■ 동아제약 파티온, 대학 축제 현장에 뜬 트러블 케어 순찰대 과제와 시험, 잦은 음주 등으로 피부 고민이 많아지는 대학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동아제약의 트러블 케어 브랜드 파티온은 대학 축제 시즌을 활용한 오프라인 캠페인을 진행한다. 캠퍼스 스쿨어택 형식으로 기획된 ‘트러블 최강 순찰대전’ 캠페인은, 홍익대학교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