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짝짝이 가슴 모두 ‘폴란드 증후군’?

대흉근의 저형성으로 가슴 비대칭 나타나기도

영국의 외과 의사 알프레드 폴란드 경의 이름을 따 명명된 폴란드 증후군은 한쪽 가슴 혹은 유두가 덜 발달하거나 소실되는 희귀 선천성질환이다. 폴란드 증후군 환자에서는 대흉근(pectorlais major) 이 저형성되어 오목 가슴의 형태를 보이거나 비대칭적인 유두 형태, 즉 소위 말하는 ‘짝가슴’이 가장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일부에서는 짧은 물갈퀴 모양의 손가락, 즉 단지증이나 합지증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폴란드 증후군은 7000명에서 만 명 당 한 명 꼴로 발생하는 비교적 희귀한 질환으로 많은 사람들이 폴란드 증후군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짝 가슴, 혹시 나도 폴란드 증후군? 대흉근의 저형성으로 가슴 비대칭 나타나

 모든 짝가슴이 폴란드 증후군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폴란드 증후군은 가슴 근육의 형성 저하를 컴퓨터 단층 촬영 (CT) 등 영상의학 소견과 임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할 수 있다. 폴란드 증후군의 발생 원인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태아 발달 시기인 임신 6주 정도에 쇄골하동맥(subclavian artery)으로 공급되는 혈류의 흐름에 방해를 받아, 이들이 공급하는 조직이 저형성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 혈류의 흐름이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인이 폴란드 증후군인지도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부터 수부의 기형이 생활에 지장을 주는 사람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희귀하고 복잡하지만 치료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폴란드 증후군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는 동반된 합지증이나 수부 기형을 우선적으로 치료하는 것이지만 짝가슴 역시 중요한 ‘치료’의 대상이다. 많은 폴란드 증후군 환자들이 대중목욕탕에 가거나 운동을 즐길 때 남모르는 심리적인 고충으로 고통받고 있다. 이런 폴란드 증후군 환자들의 짝가슴은 유방 보형물이나 지방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등근육을 이용하여 가슴근육을 만들어주는 재건술 역시 시행할 수 있다. 

-로봇 가슴 재건성형수술
고려대 안암병원 성형외과 윤을식 교수는 지난 2012년부터 국내 최초로 로봇을 이용한 흉터 없는 가슴재건술을 시행해 환자 만족도를 크게 높이고 있다. 윤 교수의 로봇 재건수술은 겨드랑이 절개 만으로 수술이 가능하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흉터를 최소화하고 신경 및 근육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지속적으로 수술방법을 개선해 나가면서 현재는 초기보다 수술시간은 현저히 줄이면서, 환자 만족도는 더욱 높아지는 최상의 치료 효과를 이끌어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독, 충청북도와 지역사회 상생을 위한 협약 체결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과 충청북도(도지사 김영환)는 6월 4일 충북산업장려관 첫 기업전시 '속 편한 연구소 in 충북' 개막과 더불어 지역사회 상생 발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두 가지 사항에 대해 진행됐다. 첫 번째로 한독과 충청북도, 충북무형유산보전협회는 충청북도 지정 무형유산 보유자 대상 건강검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한독이 2009년부터 국가무형유산 보유자에게 건강검진을 지원하는 ‘인간문화재 지킴이’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이다. 한독은 고연령으로 건강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국가무형유산 보유자에게 종합건강검진(짝/홀수년 격년제 검진)을 지원해오고 있다. 한독은 이번 협약으로 ‘인간문화재 지킴이’ 사회공헌 활동의 대상을 충청북도 지정 무형유산 보유자까지 확대한다. 이와 더불어, 한독과 충청북도약사회, 충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충청북도의 일하는 밥퍼 활동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일하는 밥퍼’ 사업은 60세 이상 노인과 사회참여 취약계층이 생산적 자원봉사에 참여함으로써 자존감을 회복하고, 지역사회의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충청북도의 혁신적인 노인복지 정책이다. 충청북도약사회는 일하는 밥퍼 참여자 대상 의료봉사를 진행하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