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학술상 수상

심근경색증 환자 이상지질혈증 대한 획기적 연구발표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가 최근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의 2020년 학술상을 수상했다.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는 지난 30여년간 관상동맥질환 치료에 대한 연구를 펼쳐온 정명호 교수가 심근경색증 환자의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논문을 발표해 세계 심장학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등 의료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2005년부터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등록연구(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 KAMIR)를 통해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연구를 시작해 최근 5년간 126편의 SCI 교신저자 논문을 발표하는 등 뜨거운 연구 열정도 수상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번 수상 논문은 한국인 심근경색증 환자 중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C-C) 수치가 50mg/dL 이하인 경우 콜레스테롤 억제제(statin) 투여가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놀라운 연구결과로써, 지난 2017년 미국심장학회지(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7월호에 게재됐다.


특히 이번 논문은 정명호 교수가 지난 2011년 ‘LDC-C 수치 70mg/dL 이하 환자에 statin 투여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 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것이다.


2011년 연구결과는 당시 미국심장병학회지(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 실렸으며, 2013년 미국심장학회 심근경색증 치료지침(ACC/AHA STEMI guideline)에 반영되는 등 크게 화제가 됐었다.


또한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지(Journal Lipid and Atherosclerosis)에 총 16편(교신저자 11편)의 우수논문을 게재하면서 학회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 민·관 인공지능 협력 및 정책 지원 방안 논의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7월 29일, 헬스케어 분야 전문 기업과 인공지능 연구 개발을 위한 정책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정부의 ‘AI 3대 강국 실현’ 전략에 발맞추어 국내 인공지능 전문가가 헬스케어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국내외 현황 및 미래 전략을 발표하고, 질병관리청은 국립보건연구원이 보유한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 및 인공지능 사업을 소개한 뒤, 민관 협력 및 정책 지원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최대의 코호트 운영 기관으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을 비롯하여 다양한 정상군 및 질환 코호트를 운영하고 있다. 코호트를 통해 최장 25년간의 임상·역학 추적 정보와 유전체, 오믹스, 영상, 마이크로바이옴 등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를 구축·공개하여 인공지능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국내 헬스케어·인공지능 분야 연구개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코호트 기반 멀티모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및 코호트 연구 강화를 위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개발함으로써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제고와 전략적 기반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과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피서 뒤 찾아오는 눈의 불청객, '이질환' A씨는 최근 더위를 피해 바다로 피서를 다녀온 뒤 눈이 충혈된 것을 발견했다.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며칠이 지나도 이물감과 가려움이 가라앉지 않아 병원을 찾았고, 바이러스성 결막염을 진단받았다.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수영장, 계곡, 바다 등으로 떠나는 피서객들이 늘고 있다. 물놀이와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에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이 급증하는데, 이를 단순한 눈의 피로로 여기고 방치할 경우 만성화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결막염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바깥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점막인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세균성, 알레르기성으로 구분된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여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데, 아데노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며 수영장이나 워터파크 등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접촉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전염력이 높아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도 쉽게 옮을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도 여름철에 흔히 발생하는 형태다. 자외선 노출, 미세먼지, 꽃가루, 동물의 털 등이 원인이 되며, 냉방기 사용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건조하거나 자극적인 경우 증상이 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