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6 (목)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커피전문점,위생상태 개선되었다지만...

식약처는,세균수 등 기준 초과한 커피전문점 15곳 적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여름철을 맞아 커피전문점 등을 대상으로 식용얼음을 수거·검사한 결과, 15개 매장에서 사용 중인 얼음에서 세균수·과망간산칼륨·pH 기준이 초과된 사실을 확인하고 즉시 개선조치 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거‧검사는 ▲커피전문점 등에서 만드는 제빙기 얼음(362건)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컵얼음(55건) ▲더치커피 등 음료류(92건) 등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검사결과 커피전문점 제빙기 얼음 15건, 더치커피 1건(세균수)이 기준·규격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커피전문점 제빙기 얼음 15건 가운데 9건은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4건은 pH, 2건은 세균수 기준을 초과했으며, 부적합 판정을 받은 얼음을 사용한 15개 매장에 대해서는 관할 지자체를 통해 즉시 제빙기 사용을 중단시키고 세척·소독 및 필터 교체 후 기준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얼음만 사용하도록 조치했다. 


지난해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식용얼음을 수거·검사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부적합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여름철 제빙기 및 식용얼음의 위생관리 개선을 위해 업계와의 간담회, 제빙기 위생관리 요령 등을 제공하는 한편, 영업자 스스로도 제빙기 세척·소독 등 위생관리를 강화한 결과로 파악된다.



수거·검사 부적합 현황

연번

유형

부적합항목

결과

업소명

소재지

1

커피

세균수

(기준: n=5, c=1, m=100, M=1000)

24000, 23000, 28000, 29000, 25000

스탠딩커피로스터즈

* 제품명: 콜드브루 N1(200ML)

* 제조일자:‘20.6.25.

서울특별시 용산구 회나무로 54(지하1층 이태원동)

2

제빙기 얼음

세균수

 

(기준: 1 mL 1,000 이하)

1,700

카페베네

경기도 김포시 돌문로50-6(사우동,1필지 두손프라자 108,109,110)

3

1,500

할리스커피

인천광역시 중구 하늘달빛로 90-21(1,2층 중산동, KP타워)

4

pH

(기준: 5.8~8.5)

5.4

더벤티송정점

경상북도 구미시 백산로 66(1층 송정동)

5

5.6

이디야(남동구청점)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888(1층 일부호 만수동)

6

5.6

이디야

인천광역시 계양구 봉오대로 785(1층 일부호 작전동,이마트작전점 내)

7

5.4

투썸플레이스부평점

인천광역시 부평구 시장로30번길 3(부평동, 1, 2, 3)

8

과망간산칼륨

(기준: 10.0 mg/L이하)

19.5

더벤티사천점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읍내149(109)

9

32

메가커피 인천동춘점

인천광역시 연수구 앵고개로264번길 41(상가B동 지상1109 동춘동, 한양아파트)

10

11.7

메가커피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조동길 38(103)

11

24.3

빽다방명동중앙우체국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58-1(명동2, 1)

12

82.7

엔젤리너스

경상남도 통영시 무전616(101호 무전동, 신유빌딩)

13

17.8

이디아커피(중앙점)

전라북도 김제시 동서로 171(요촌동)

14

17.7

이디야커피사천시청점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용현로 31

15

23.1

커피베이 경주용강점

경상북도 경주시 용황로1014(용황빌딩 1105호 용강동)

16

41.2

투썸플레이스용산아이파크몰점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55(6층 한강로3, 아이파크몰 동관)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완치 없는 치매, 그렇다면 늦출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기억력 감퇴는 물론 언어, 판단력, 계산 능력,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병으로 누구나 걸릴 수 있다. 무엇보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통제 불가능한 말과 행동으로 가족에게 짐이 된다는 점이 큰 두려움을 준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국내 60세 이상 치매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며, 2050년에는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6%대 치매 유병률 또한 2050년에는 1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치매 환자의 약 27%가 경도인지장애를 진단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경도인지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시기임을 기억해야 한다. 박정훈 신경과 전문의는 “치매는 초기에 건망증과 증상이 비슷해 본인이 알아채기 어렵고,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회피하고 치료를 미루다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라며 “완치 가능한 치료제가 없으므로 중증 치매로 이환 되기 전 병증을 늦출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