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모든 고형암서 높은 치료, 낮은 부작용 품은 면역항암제 개발 되나.. 암세포 스스로 항암면역기능 강화 새 기전 찾아

아주대 의대 김유선 교수팀, 네크롭토시스에 의한 암세포 사멸 통해 항암면역기능을 향상 새로운 기전으로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 스스로 항암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새로운 기전을 찾아 고형암 등에서  높은 치료호과를 보이는 새 타입의   면역항암제  개발에 디딤돌이  될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면역항암제는 높은 치료효과와 낮은 부작용으로 항암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대부분의 고형암에서 낮은 반응성을 보이며 제한된 타입의 암들에서만 높은 치료효과를 보이는 한계로 면역항암제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T세포 활성화 전략 등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주대 의대 생화학교실 김유선 교수(사진 좌)·박한희 대학원생 연구팀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이  ’RIPK3 activation induces TRIM28 derepression in cancer cells and enhances the anti-tumor microenvironment(RIPK3 활성화에 의한 암세포의 TRIM28 탈억제를 통해 항종양 미세환경의 강화)‘을  8월 ‘분자암(Molecular Cancer)’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Molecular Cancer는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가 27.4의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국제 학술지로, 이번 연구결과는 많은 연구자들에게 주목되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암세포가 세포막을 파괴하고 사멸하는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의 핵심 단백질인 ‘RIPK3’의 활성화로 면역활성 사이토카인(Immunostimulatory cytokine)의 분비를 억제하고 있던 ‘TRIM28(전사활성조절인자)’의 기능을 무력화함으로써, 면역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켜 수지상세포(면역세포)의 면역원성 증진을 유도하여 항암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네크롭토시스가 종양내 면역원성을 부여하는 면역원성 세포사(Immunogenic Cell Death)로 인식되면서 종양의 면역원성 확보방안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데, 연구팀이 단백질 ‘RIPK3’의 활성화에 의해 항암면역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면역활성 사이토카인 분비의 새로운 분자기전을 밝힌 것이다.

최근 네크롭토시스에 의한 암세포 사멸이 종양미세환경을 Cold tumor(면역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암)에서 Hot tumor(면역항암제에 반응하는 암)로 전환시키는 항암면역 활성화의 가능성을 제시해 네크롭토시스 조절에 대한 분자기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김유선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항암면역 활성화를 기존의 T세포 활성만을 타깃하는 전략이 아닌 네크롭토시스에 의한 암세포 사멸을 통해 항암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전으로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및 연구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과제, 기초연구실 (BRL: 면역원성 세포사멸 프로그램 연구실) 지원사업으로 수행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