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구개열,"인두성형술과 연구개연장술 함께 시행하면 정상적 언어발달 도움"

순천향대 부천병원 성형외과 남승민 교수팀,구개열 수술 합병증 ‘구개인두기능부전’에 효과적인 새 치료법 제시

순천향대 부천병원 성형외과 남승민 교수팀(정세아 언어치료사)이 구개열 수술 합병증 ‘구개인두기능부전’에 효과적인 새 치료법을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구개열은 입천장이 뚫려 코와 입이 통하는 선천성 기형으로, 보통 만 1세 전후로 입천장을 닫아주는 ‘구개성형술’을 시행한다. 수술 후에는 적절한 언어치료와 언어 자극을 주면서 환아가 정상적인 언어발달이 이뤄지도록 돕는다. 문제는 수술 후 적절한 언어치료와 언어 자극에도 불구하고, 환아의 약 10%에서 언어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구개인두기능부전’이 발생한다.


‘구개인두기능부전’을 치료하려면 구개열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언어치료사와 함께 ‘비음 측정기’와 ‘비인두내시경’을 이용해 정확히 진단 후, 적절한 교정 수술법을 결정한다. 비인두내시경 결과, 구강(입 안의 공간)과 비강(코 안의 빈 공간)을 폐쇄하는 움직임의 문제점에 따라 인두피판술, 연구개연장술, 인두성형술 등의 교정 수술법을 정하는데, 모든 방향에서 움직임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는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정하기 어려웠다.


남승민 교수팀은 구개인두기능부전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인두 부위의 점막과 근육을 떼어 돌리고, 근육을 당겨서 재부착하는 ‘인두성형술’과 입천장올림근을 다시 정상적인 위치에 재위치시키고, Z-성형술(Z-plasty)을 이용하여 입천장을 연장하는 ‘연구개연장술’을 함께 시행하고, 약 1년간 언어치료를 시행했다. 그 결과, 수술 전·후 비음치 및 비인두내시경 검사 결과가 유의미하게 향상됐고 추가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성형외과 학술지 ‘Annals of Plastic Surgery’에 발표했다.


남승민 교수는 “구개열 수술 합병증인 ‘구개인두기능부전’으로 인해 그동안 구개열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또 한 번의 고통을 겪어야 했다”며 “인두성형술과 연구개연장술을 함께 시행하는 새 치료법이 구개열 환자의 정상적인 언어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순천향대 부천병원 성형외과는 구개열 환자만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언어치료사’와 비음측정기, 비인두내시경 등 전문 검사장비를 보유하고,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구개열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공공성만으로 지역의료 지속 가능하지 않아…다양한 해법 모색 해야” 의료정책연구원(원장 안덕선)은 오는 10월 17일(금) 오후 2시, 대한의사협회 회관 4층 대회의실에서‘지역의사제, 지역 필수의료 문제 해결이 가능한가?’를 주제로 제43-8차 의료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정부의 지역의사제 도입 추진에 대한 의료계의 우려와 함께, 외국의 사례를 통해 제도의 실효성과 쟁점을 재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최근 정부는 보건의료분야 국정과제로 ▲지역의사제 도입 ▲공공의료사관학교 설립 ▲의대 신설 등을 제시하며,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와 필수의료 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대해 의료현장에서는 단순한 의무 복무나 의료인력 배치 중심의 접근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지역의료체계 구축이 어렵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제도 설계의 정합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행 논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지역의사제는 장기간 의무 복무를 조건으로 한 특정 지역 지정과 복무 강제를 전제로 하며, 자발성과 직업 선택권, 의학 교육의 질 저하, 전문성과 진료 연속성 훼손 등의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비판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도 유사 제도의 효과성에 대해 회의적인 평가가 존재하며, 복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