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만성 B형 간염 치료제 장기 추적 결과...이정도 였어

'비리어드', 만성 B형 간염에 의한 간섬유증 및 간경화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 나타나 장기간의 추적관찰 결과, B형 간염 바이러스 저항성 도보이지 않아

길리어드사(Gilead Sciences, Inc.)는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비리어드(Viread®, 성분명 테노포비어)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주요한 두 개의 3상 임상시험 (시험 102 및 103)의 개방표지 단계의 새로운 5년 데이터를 지난 5일(샌프란시스코 현지시각) 발표했다.

 

연구 결과, 비리어드는 HBV의 장기적인 억제 상태를 유지해주고 간섬유증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간경화증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연구 모두에 참여한 환자들 중 대다수 (88%)에서 간의 전반적인 조직 소견이 향상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두 연구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가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간섬유증의 발생률이 감소함을 보여주는 가장 큰 데이터세트 중 하나이다. 이런 내용은11월 7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미국 간질환 학회의 제 62차 연례회의(The Liver Meeting 2011)에서 발표된다.

 

102 시험책임자 패트릭 맥클린(Patrick Marcellin, 프랑스 국립보건의학 연구소, 파리 드니 디드로대학)은  “우리는 장기적인 항바이러스 치료가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에서 바이러스를 억제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간섬유증 혹은 간경화증 발생률의 감소와 같은 임상적 결과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는 학설을 오래 전부터 세워왔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번 결과는 비리어드가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에서 간 손상의 징후를 감소시키거나 회복시켜 줄 잠재력이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기 때문에 HBV 치료에서 중요한 진전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시험 102 과 103은 B형간염e항원 음성 (시험 102) 및 B형간염e항원 양성 (시험 103)인 대상성 간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48주 동안 맹검화된 방식으로 비리어드와 헵세라(Hepsera®, 성분명 아데포비어 디피복실)를 비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두 연구에서 원래 헵세라 그룹에 무작위 배정된 환자들을 48주째에 비리어드 그룹으로 전환 배정하였고 비리어드 그룹에 무작위 배정되었던 환자들은 계속해서 비리어드 그룹에 남아 있게 했다.

 

시험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비리어드를 투여 받은 환자 대다수에서 혈중 HBV DNA (바이러스 용량)가 400 copies/mL 이하로 억제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102와 103에서 각각 83% 및 64%). 헵세라 그룹에 무작위 배정되었다가 48주째에 비리어드 그룹으로 전환되어 연속으로 192주 동안 비리어드를 투여 받은 환자들에서도 바이러스 억제 상태가 유지되었다(시험 102와 103에서 각각 84% 및 66%).

 

특히, 기저시점과 240주 모두에서 생검을 두 차례 받은 환자 331명 중 292명 (88%)에서 Knodell 섬유증 점수가 악화되지 않고 Knodell 괴사염증 점수가 최소 2점 향상되는 것으로 측정되는 등, 간의 전반적인 조직 소견이 향상되었다. 치료를 시작할 때 간경화증이 있던 (Ishak 섬유증 점수 ³ 5) 환자 94명 중 69명 (73%)에서 간경화증이 호전(regression)되었고 68명 (72%)에서 Ishak 섬유증 점수가 최소 2점 감소했다.

 

240주까지 비리어드를 투여 받은 B형간염e항원 양성 환자들 중에서 (시험 103), “s” 항원 소실 및 혈청전환의 누적률 (Two-State Markov 모델로 이 확률을 추정해봄)은 각각 9% 및 7%였다. 또한, 240주간의 치료 기간 동안 비리어드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103 시험 책임자 제니 히스코트(Jenny Heathcote, 캐나다 토론토 대학) “바이러스 저항성은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을 치료하는 의사들에게 큰 도전과제이다.”며,  “이번에 나온 5년 결과는 비리어드가HBV의 장기적인 치료 성공에 필수적인 저항성에 대한 유전자 장벽이 높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자료이다.”라고 말했다. 

 

미 식품의약청 (FDA)은 2008년에 비리어드를 HBV 치료제로 승인했고 그 이후로 비리어드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만성 HBV의 치료제가 되었다. 이 5년 데이터를 심사 받고 비리어드의 라벨에 포함시키고자 FDA와 유럽 의약품청에 제출했다.

 

길리어드사의 항레트로바이러스 제제인 비리어드(Viread®, 성분명 테노포비어)는 미국, 캐나다, EU등 선진국에서 약효와 경제성을 인정받아 B형 간염 치료제로 보험급여가 이뤄지고 있다. 또한, 최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청(KFDA)으로부터 에이즈 및 만성 B형 간염치료제로 승인 받아 현재 보험 급여 신청 중에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 수거·폐기 사업 실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가정에서 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의 오‧남용과 불법 유통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대한약사회 및 한국병원약사회와 협력하여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을 실시한다. 해당 사업은 참여약국이 마약류 의약품을 처방받은 환자에게 수거·폐기 사업을 안내하고 사용 후 남은 의료용 마약류를 반납받는 사업으로, 6대 광역시, 부천·전주시, 수원특례시 등 총 9개 지역 100개 약국이 참여할 예정이다. 국민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와 수거량을 높이기 위해 마약류 의약품을 반납하는 국민에게 친환경 가방도 증정한다. 이와 더불어 5개 종합병원 내 약국에서 펜타닐 등 마약류 의약품을 처방받는 환자에게 ▲처방받은 마약류의 안전하고 적절한 복용법 교육을 강화하고 ▲인근 지역의 수거·폐기 사업 참여약국을 안내하여 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의 반납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에 많은 국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마약류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지역은 해당 지자체별로 운영 중인 폐의약품 사업을 통해 해당 지역의 지정된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이 환자에게 면역항암제가 효과 있을까?’...의사와 AI 간 정밀 의료 협업 시대 개막 연세의대가 암환자 조직 병리 사진을 분석해 면역항암제 효과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위장관외과)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 밴더빌트대학교 메디컬센터 연구진과 함께 암세포를 분석해 면역항암제에 효과를 보이는 유형인지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npj 디지털 메디슨(npj digital medicine, IF 15.2)’ 최신호에 게재됐다. 면역항암제는 체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제다.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항암제와는 서로 다르다. 그렇기에 환자의 암세포 안에서 보이는 유전적 특성이 적합하지 않으면 면역항암제의 효과가 없다.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보이는 위암, 대장암 환자는 ‘MSI-H(고빈도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의 특성을 가진다. 유전자 돌연변이의 양이 많은 MSI-H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외부 침입자’로 더욱 쉽게 인식하게 할 수 있어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가 높아진다. 기존에는 MSI-H 보유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세포 조직을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면역조직화학염색 방법 등을 사용했지만, 암세포 내에서 MSI-H가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