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뇌 혈관 막히는 '뇌경색' 고연령 일수록 위험...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환자 주의해야

국민건강보험공단 분석결과,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수 남성은 50∼70대, 여성은 70대 이상에서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1-2015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 하여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뇌경색’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적용인구의 진료인원은 43만 3,022명(2011년)에서 44만 1,469명(2015년)으로 4년 간 8,447명 증가(2.0%↑)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는 4년 간 8,740억 원(2011년)에서 1조 1,181억 원(2015년)으로 2,441억 원(27.9%↑)증가하였다.
                                                                                                                          (단위 : 명, 백만원)

구분

진료인원

진료비

‘11

433,022

874,023

‘12

435,689

919,449

‘13

436,725

964,226

‘14

434,168

1,032,090

‘15

441,469

1,118,102

5개년 간 증가율(%)

2.0%

27.9%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뇌경색’ 환자의 성별 진료현황을 파악해본 결과, 2015년 기준 전체 진료인원(44만 1,469명)의 53.6%(23만 6,549명)가 남성, 46.4%(20만 4,920명)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진료인원은 `11년 대비 1만 3,707명(6.2%) 증가한 반면에 여성 진료인원은 `11년 대비 5,260명(2.5%) 감소하였다.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수를 비교해 보면, 남성은 932명으로 여성 816명에 비해 116명 더 많았다.하지만 1인당 진료비를 분석해보면, 여성은 279만원으로 남성 231만원 대비 48만원 더 많았다.
                                                                                                                              (단위 : 명, 천원)

구분

11

12

13

14

15

증감

진료인원

남자

222,842

226,661

229,169

230,579

236,549

13,707

여자

210,180

209,028

207,556

203,589

204,920

(5,260)

진료비

남자

433,379,292

450,469,679

472,368,328

502,597,304

545,994,417

112,615,125

여자

440,643,306

468,979,477

491,857,317

529,492,871

572,107,517

131,464,210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남자

897

907

912

911

932

35

여자

859

847

835

814

816

(43)

1인당 진료비

남자

1,945

1,987

2,061

2,180

2,308

363

여자

2,097

2,244

2,370

2,601

2,792

695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2015년 기준 ‘뇌경색’ 진료현황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 중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95%이상 차지하였는데, 70대가 15만 6,078명(35.4%)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60대가 10만 8,609명(24.6%), 80대 이상이 9만 5,714명(21.7%), 50대가 5만 9,720명(13.5%) 순이었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수를 살펴보면, 50대 이후부터 연령대가 높을수록 크게 증가하는데 50대 734명에서 60대 2,226명, 70대 5,333명, 80대이상 7,874명으로 고연령대에서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단위 : 명)

구분

진료인원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

11

12

13

14

15

11

12

13

14

15

433,022

435,689

436,725

434,168

441,469

878

877

874

863

874

9세이하

212

248

229

234

227

5

5

5

5

5

10

289

249

252

251

215

5

4

4

4

4

20

925

856

796

828

797

14

13

12

12

12

30

4,023

3,920

3,741

3,606

3,511

49

48

46

46

45

40

18,852

17,943

17,513

16,983

16,598

219

208

200

193

190

50

66,195

64,326

62,890

61,181

59,720

910

851

805

763

734

60

116,351

110,355

107,176

105,572

108,609

2,898

2,665

2,496

2,329

2,226

70

154,642

160,405

161,472

157,445

156,078

6,120

5,882

5,699

5,411

5,333

80대이상

71,533

77,387

82,656

88,068

95,714

8,205

8,194

8,085

7,884

7,874

 

2015년 기준 성별/연령대별 진료인원의 분포를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70대에서 가장 많으나, 남성에서는 60대(28.5%), 50대(17.1%)의 순으로 나타났고 여성에서는 80세 이상(29.0%), 60대(20.1%)의 순으로 나타나 여성에서 고령층 진료인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15년 기준 성별/연령대별 진료인원 분포>

구 분

전체

9세 이하

10

20

30

40

50

60

70

80세 이상

남성

100.0%

0.0%

0.0%

0.2%

1.0%

4.9%

17.1%

28.5%

33.0%

15.3%

여성

100.0%

0.1%

0.0%

0.2%

0.6%

2.5%

9.4%

20.1%

38.1%

29.0%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이준홍 교수는 ‘뇌경색’ 질환이 연령이 높아질수록 진료인원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이유에 대해서  “ 고혈압, 당뇨, 동맥경화는 뇌경색의 주요원인으로, 이와 같은 질환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생빈도가 증가하게 되며 그에 따라 뇌경색 질환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라고 설명하였다.


최근 4년간 요양기관 종별 진료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비의 47.3%(5,283억 원)가 병원 급에서 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약국 23.0%(2,572억 원), 종합병원 16.9%(1,885억 원), 상급종합병원 12.0%(1,344억 원) 순이었다.


병원 급의 진료비 증가율이 두드러졌는데 2011년 3,393억 원에서 5,283억 원으로 1,890억 원(55.7%) 증가하여 타 종별에 비해 많이 증가하였다.1인당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5년 기준 병원이 655만 원으로 그 뒤를 잇는 종합병원 진료비 98만 원보다 6.7배 높았다.


구분

진료비(백만원)

1인당 진료비(천원)

11(A)

15(B)

 

증감액(B-A)

11(C)

15(D)

증감액(D-C)

종별 점유율

(%)

전체

874,023

1,118,102

100%

244,079

2,018

2,533

514

상급종합병원

117,963

134,385

12.0%

16,422

831

895

65

종합병원

156,304

188,489

16.9%

32,185

853

975

122

병원

339,339

528,318

47.3%

188,980

4,165

6,551

2,387

의원

13,375

9,566

0.9%

(3,808)

191

158

(32)

보건기관

95

117

0.0%

22

43

70

27

약국

246,947

257,226

23.0%

10,279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입원・외래별 ‘뇌경색’ 환자의 진료비를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입원 진료비는 7,940억 원이고 외래 진료비는 668억 원으로 입원 진료비가 11.9배 더 많았다.입원비는 2011년 5,570억 원에서 2,370억 원(42.5%) 늘어난 반면에, 외래 진료비는 2011년 700억 원에서 32억 원(4.6%) 줄어들었다.
                                                                                                                         (단위 : 천원, 일)

구분

11

12

13

14

15

5개년 간 증감

진료비

입원

합계

557,049,851

610,196,063

658,034,317

717,397,413

794,037,741

236,987,890

(비율)

88.8%

90.0%

91.0%

91.6%

92.2%

3.4%p

남자

263,162,196

283,741,906

305,994,140

330,037,841

366,527,898

103,365,703

여자

293,887,655

326,454,158

352,040,177

387,359,572

427,509,842

133,622,187

외래

합계

70,025,953

67,512,768

65,215,560

66,160,759

66,838,115

(3,187,838)

남자

37,465,676

36,389,098

35,601,757

36,608,306

37,055,017

(410,659)

여자

32,560,277

31,123,671

29,613,804

29,552,453

29,783,098

(2,777,179)

평균

입내원일수

입원

평균

56.3

59.7

63.3

66.2

69.4

13.1

남자

46.3

48.4

51.4

53.2

55.7

9.3

여자

66.9

71.8

76.1

80.3

84.1

17.2

외래

평균

5.3

5.3

5.2

5.2

5.1

(0.2)

남자

5.4

5.4

5.3

5.3

5.1

(0.3)

여자

5.2

5.2

5.2

5.2

5.1

(0.1)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입원일수를 살펴보면, 전체 입원일수는 2015년 기준 69.4일로 2011년 56.3일 대비 13.1일 증가하였고, 외래내원일수는 2015년 5.1일로 2011년 5.3일 대비 0.2일 감소로 거의 같았다.

  

또한 입원일수를 성별로 비교해 보면, 2015년 기준으로 여성은 84.1일, 남성은 55.7일 입원하여 여성이 남성보다 28.4일 더 입원하였다.


-뇌경색 진료현황

(단위 : , 천원, %)

구분

진료인원수

진료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1

2012

2013

2014

2015

전체

상급종합병원

141,989

142,115

144,773

145,150

150,091

117,963,049

118,234,281

117,887,641

119,887,928

134,385,373

종합병원

183,160

184,686

188,489

191,293

193,317

156,304,098

158,477,014

162,861,756

177,460,164

188,488,957

병원

81,483

85,339

84,282

81,281

80,642

339,338,654

389,010,903

431,933,173

476,081,859

528,317,722

의원

70,124

67,544

64,235

60,845

60,450

13,374,600

11,900,033

10,487,928

10,028,320

9,566,448

보건기관

2,226

1,783

1,614

1,665

1,675

95,402

86,601

79,380

99,901

117,355

약국

 

 

 

 

 

246,946,795

241,740,325

240,975,767

248,532,003

257,226,078

남자

상급종합병원

78,549

79,665

82,120

83,053

86,746

69,697,496

69,016,018

68,846,036

69,397,762

78,122,758

종합병원

97,758

99,975

102,874

105,889

107,780

87,739,497

89,177,249

91,136,220

100,350,481

106,759,655

병원

37,344

39,314

38,974

37,496

37,344

136,746,676

156,311,779

176,704,250

192,253,889

214,285,015

의원

32,735

31,562

29,692

27,976

28,103

6,393,119

5,580,909

4,869,125

4,598,051

4,359,266

보건기관

1,193

932

854

902

873

51,084

45,048

40,266

45,963

56,220

약국

 

 

 

 

 

132,751,420

130,338,676

130,772,431

135,951,158

142,411,502

여자

상급종합병원

63,440

62,450

62,653

62,097

63,345

48,265,553

49,218,263

49,041,604

50,490,166

56,262,614

종합병원

85,402

84,711

85,615

85,404

85,537

68,564,601

69,299,765

71,725,536

77,109,683

81,729,302

병원

44,139

46,025

45,308

43,785

43,298

202,591,978

232,699,124

255,228,923

283,827,969

314,032,707

의원

37,389

35,982

34,543

32,869

32,347

6,981,481

6,319,124

5,618,803

5,430,270

5,207,182

보건기관

37,389

35,982

34,543

32,869

32,347

44,318

41,553

39,114

53,938

61,135

약국

 

 

 

 

 

114,195,374

111,401,649

110,203,336

112,580,845

114,814,577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이준홍 교수의 도움을 받아 뇌경색(I63) 증상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알본다.

 ❍ 뇌경색이란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것으로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과 함께 뇌졸중(뇌혈관질환)에 속고, 이러한 기전에 의하여 손상된 뇌부위의 신경학적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슷한 증상을 미리 경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도 전조증상이라기 보다는 뇌졸중이 발생하고 연이어 재발한 것으로 생각하고 치료를 해야 한다.

 

❍ 치료 및 관리
일단 뇌경색이 발생하면 증상발생 후 치료시작을 얼마나 빨리 할 수 있는지가 예후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뇌졸중 증상이 발생하면 최대한 빨리 급성기 뇌졸중 치료 시설 및 인력을 갖추고 있는 병원을 방문하면 혈전용해술, 혈관확장술, 혈전제거술 등의 초급성기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급성기 치료 후에는 뇌졸중 원인에 따라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방침을 선택하게 되며, 후유증에 대한 재활치료도 가능한 빨리 시행하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된다.

 

❍ 예방법
뇌경색은 생활병이라고 할 만큼 이의 예방은 위험요인의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의 심장질환,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 등의 조기발견 및 관리에 힘쓰는 것이 뇌경색의 예방에 필수적이다.

   

규칙적인 혈압 측정과 혈압관리, 당뇨 관리, 금연과 절주가 중요하며 또한 동물성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을 싱겁게 먹는 건강한 식사습관을 유지하고, 적어도 일주일에 4일은 하루에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또한, 심방세동 등의 심장병이나 목동맥 협착증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암·희귀질환 환자,11,822명 진단, 5,512명 치료, 29,379건의 코호트 데이터 등록 “저는 곤충학자가 되는 게 꿈이에요. 어느 날 사슴벌레를 보았는데, 그때부터 곤충의 매력에 빠졌어요. 어린이날에는 동생과 함께 커다란 테라리움을 만들고 싶어요.” 11살 김현우 군(가명)은 자신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최근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진단받고 치료제를 사용하며 외래 추적 관찰을 받고 있는 현우 군은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을 통해 소아 혈액암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 향상을 위한 유전체 분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치료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치료 플랫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현우 군은 아픔에서 멈추지 않으며 성장하고, 꿈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고 있다. 현우 군처럼, 병마와 싸우면서도 자신만의 꿈을 키워가는 많은 어린이들이 있다. 이러한 어린이들에게 뜻깊은 어린이날을 선물하기 위해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단장 최은화)은 5월 2일, 서울대어린이병원 CJ홀에서 ‘우리들은 자란다’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바랐던 고(故) 이건희 회장의 유지를 이어 받아, 소아암 및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기 위해 진행됐다. 사업단은 이번 행사에서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