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4 (화)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18.9℃
  • 맑음서울 12.7℃
  • 맑음대전 10.5℃
  • 맑음대구 11.2℃
  • 맑음울산 11.0℃
  • 맑음광주 12.0℃
  • 맑음부산 13.8℃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7℃
  • 맑음강화 9.4℃
  • 맑음보은 7.4℃
  • 맑음금산 7.9℃
  • 맑음강진군 9.2℃
  • 맑음경주시 8.1℃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최근 5년 새 20·30대 우울증 환자 급증...왜?

명지병원 장진구 교수 “청년층에 귀 기울이고 지원 연계 시급”

우울증 환자 100만 시대현대인들에게 우울과 불안은 감기와도 같다고 말한다그만큼 우리 주변에서 이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흔하고많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는 2018년 약 75만 명에서 2022년 약100만 명으로 33%로 급증했으며같은 기간 불안장애 환자도 약 69만 명에서 약 87만 명으로 26% 늘었다.

 

특히 다른 연령대보다 20·30대 청년층 증가폭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는데전체 우울증 환자 중 20·30대 환자 비율이 2018년 26%에서 2022년 36%로 증가했다.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장진구 교수는 청년 우울증 증가는 극심한 취업 스트레스와 부의 양극화그로인한 상대적 박탈감은 물론코로나19로 3년 간 거리두기를 거치며 인간관계나 시간 활용이 어려웠던 사회적 요인들이 반영됐을 것이라고 진단했다이어 특히 봄은 1년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시기인 만큼 보다 적극적인 정신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스프링피크누구에게나 봄이 따뜻한 건 아니다

봄철 자살률이 증가하는 것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를 스프링피크(Spring Peak)’라고 부른다국가통계포털(KOSIS)에 등록된 자료에도 최근 3년간 매해 자살률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2021년 3, 2022년 4, 2023년 5월이었다.

 

일반적으로 해가 빨리 지고 바깥활동이 적은 겨울철이 더 우울하고 자살률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오히려 봄철 자살률이 겨울철에 비해 20~30% 더 높다정확한 원인은 연구 중이지만 의학계에서는 일조량 증가와 새 학기졸업인사이동 등 사회적으로 큰 변화봄을 만끽하는 사람들에 비해 그렇지 못하다는 상대적 박탈감 등이 이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약물·심리치료 시행... 임산부도 가능한 Deep TMS치료 각광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 관리는 자신의 상태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또 어느 질환이나 마찬가지로 조기 치료가 중요한데정신과 치료를 받는다고 하면 주변의 오해나 편견 등을 걱정해 치료를 미루다 시기를 놓쳐 감당하기 힘든 우울상태에 빠질 수 있다.

 

우울증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심리치료뇌 국소자극기기를 이용한 치료 등으로 이루어진다약물치료는 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으로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를 사용해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등과 같은 뇌 화학 물질 수치를 조절해 우울·불안감을 줄인다.

 

심리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를 진행하는데환자의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수정하면서 건강한 행동으로 변화를 촉진해 증상을 개선한다.

 

약물치료가 어렵거나 거부감을 보이는 환자를 위해 뇌 국소자극기기를 이용한 치료도 활발한데대표 치료법으로 경두개자기자극술(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or, TMS)이 있다이 방법은 자기장을 발산하는 헬멧을 착용해 뇌의 신경활동특히 전전두엽 피질을 활성화하고 도파민과 세로토닌 등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원리다최근에는 더 넓고 깊은 뇌 영역에 직접 도달할 수 있는 Deep TMS장비로 약물치료에 비해 부작용 없이 빠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특히 임산부나 성별·연령에 관계없이 치료받을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건강하고 규칙적인 일상으로 단계적 변화 권장

이밖에도 심리교육을 받거나 햇볕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야외활동규칙적인 운동건강한 식습관충분한 휴식과 수면 등의 생활방식을 유지하면 우울·불안 증상을 줄일 수 있다다만 갑작스런 일상의 변화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 만큼 단계적으로 느린 변화를 권장한다.

 

장진구 교수는 우울·불안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마음의 병인만큼 먼저 환자 스스로 벗어나려는 강한 의지가 요구된다, “또 주변에서는 환자를 탓하기보다 지지와 지원을 통해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도와야하며사회적으로는 청년층의 어려움에 귀 기울이고 이를 지원할 정책이나 지원기관의 연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조현병 증상 새로운 원인 지표, 뇌 속 ‘반응성 별아교세포’ 활성 증가...새 치료제 개발 단초 되나 조현병의 원인 규명에 한 걸음 다가선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진이 조현병 환자의 뇌에서 ‘반응성 별아교세포’의 활성 증가를 뇌영상 촬영을 통해 최초로 밝혀냈다. 이 별아교세포들이 조현병의 병리생리에 관여하며, 특히 전측대상피질에서 반응성 별아교세포 활성화가 큰 환자일수록 조현병 증상이 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는 반응성 별아교세포가 조현병 환자의 뇌에서 어떻게 활동하는지를 시각화하고, 이 세포들이 조현병의 양성 증상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조현병 연구에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김민아 교수팀이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통해 측정한 뇌 속 반응성 별아교세포의 활성 증가와 조현병 환자에서 환청, 망상 등 양성 증상 심각도와의 연관성을 밝혀낸 연구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과거에 정신분열병으로도 불렸던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및 행동과 같은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대표적인 중증 정신질환이다. ‘별아교세포’는 뇌세포의 절반을 차지하는 주요 신경교세포로,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노폐물 제거 및 식세포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세포들은 뇌의 글루타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