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대형마트에서 가장 잘 나가는 건강기능식품은 “싱글 비타민”

비타민 제품 성장률이 오메가 3, 글루코사민, 미네랄 성장률 앞질러

 최근 건강기능식품 판매량이 전년 대비 240%  넘게 고성장 했으며, 특히 싱글 비타민과 발포 비타민 제품이 이러한 고성장을 견인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닐슨코리아 (대표 신은희) 소매유통조사본부는 최근 3대 할인마트(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를 포함한 전국 403개의 할인마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판매 트렌드를 발표했다.

싱글 비타민, 대형마트 건강기능식품 코너에선  “내가 제일 잘 나가”!
대형마트 내 건강기능식품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싱글 비타민 카테고리 제품인 것으로 드러났다. 싱글 비타민은 판매량 기준으로 12배나 늘었으며 판매액 기준으로도 21% 상승했다. 멀티비타민 제품류는 판매량 기준으로 28% 늘었지만, 판매액 기준으로는 14% 가량 마이너스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포 비타민 시장은 아직 타 비타민 시장에 비해 규모는 크게 뒤지지만 판매량 기준 380%가량 성장했고, 비타피즈, 리베로, 비오라보, 소나 등 신규 브랜드들이 올해 들어 활발히 입점되며 더욱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군으로 대형마트를 찾는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오메가 3, 글루코사민, 미네랄보다는 비타민이 각광
싱글 미네랄과 글루코사민 제품은 판매량 기준으로 각각 3.8%, 6.8% 성장하는데 그쳤으며 오메가3는 8.5%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오메가3는 작년 판매량 기준(2012년 7월~2013년 6월)으로 멀티비타민 뒤를 이어 여전히 높은 비중(21.1%)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올해 싱글 비타민 제품 카테고리가 크게 성장하면서 비중이 5.7%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싱글 미네랄과 글루코사민 제품도 판매량이 줄어들면서 대형마트 건강기능식품 매장에서는 주로 싱글 비타민과 멀티 비타민 판매 비중(78%)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닐슨코리아 소매유통조사본부 조동희 상무는 “최근 셀프 메디케이션의 열풍으로 인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대형마트에서도 건강기능식품 제품군의 성장률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닐슨코리아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질적 발전을 위한 표준화된 판매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2012년부터 ‘리테일 인덱스 (Retail Index)’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판매 데이터를 측정해 오고 있으며 향후에는 전국 2만여개의 약국을 포함한 건강식품 판매 데이터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