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 소아에서 열탕화상이 늘고 있다.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성형외과 장영철 교수팀의 논문에 따르면 2005년 71.9%였던 열탕화상 비중이 매년 조금씩 증가하더니 2009년에는 86.5%로 지난 5년 동안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아화상 만1~3세 열탕화상이 가장 많아
장영철 교수팀이 2005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내원한 15세 미만의 급성 화상환자 2,795명을 대상으로 연령 및 화상 원인, 수상 부위 등을 조사한 결과, 1~3세 미만의 영아기 환자가 52.3%(1,463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81.9%(1,198명)에서 뜨거운 물이나 국물로 인한 열탕화상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증기화상이나 화염화상, 접촉 화상 등 다른 원인이 줄어드는 데 반해, 유독 열탕화상이 늘어나는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예방을 강화하는 것이 전체 소아 화상을 줄이는 해답이 될 것이다.
■ 국, 라면 등 특유의 식문화가 열탕화상 위험 높여
1~3세 미만의 유아들은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자 하는 호기심은 왕성하고 사리판단 능력이나 신체기능의 조절능력은 미숙하므로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이들 대부분이 가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호자의 순간적인 방심이나 부주의로 인해 영유아가 화상사고에 쉽게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어른들의 각별한 관찰과 주의가 필요하다.
■ 소아화상은 10%만 넘어도 중화상
소아화상은 치료 후에도 치명적인 외상과 신체적 기형, 정서와 사회성 발달장애 등의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일단 소아들은 피부의 두께가 얇아 같은 온도에 의해서도 더 깊게 손상을 입고, 적은 범위의 화상으로도 수분과 전해질 소실이 쉽게 발생한다.
■ 민간요법의 사용은 화상치료에 독
우선 화상 원인을 즉시 제거하고 2분 이내에 흐르는 차가운 물로 10~15분 정도 식혀준다. 얼음이 직접 피부에 접촉하게 되면 화상을 입은 피부 손상이 가중되므로 얼음 사용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 소아화상 예방 위해 보호자가 먼저 주의해야
어린 아이는 신체조절능력이 부족하고 판단력이 미숙하므로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자 선에서 적절한 주의가 필요하다.
열탕화상의 경우 온수의 유출구가 소아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설치하고, 구입시부터 안전장치가 되어 있는지 꼼꼼히 따져보고 구입한다면 화상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