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심혈관센터 설립시 예방을 통한 심혈관질환 유병률이 80% 감소하고, 만성질환의 체계적인 관리로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간 12조 8,300억원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윤 대한심장학회장(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은 18일(월)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국립심혈관센터 설립을 위한 정책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포럼을 주관한 이낙연 국회의원(민주당)도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 우리나라에서도 암에 이어 사망원인 2위”라며 “이제는 우리도 연구와 진료, 정책개발, 국내외 의료기관과의 협력 등 심혈관질환 관리에 중추적 역할을 할 국립심혈관센터를 설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국가 차원의 관리체계를 갖춰야 할 때이다”고 심혈관센터의 필요성을 설파했다.
임 회장은 “국립심혈관센터의 필요성”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국립심혈관센터는 ▲심혈관질환 국가통합 관리 ▲연구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 ▲임상, 예방 및 재활치료 ▲심혈관계 의료산업 활성화의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심혈관질환 감소 ▲연구역량 강화 ▲의료시장 선점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역균형 발전 및 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내다보았다.
또한 임 회장은 심혈관센터의 설립을 통해 ▲관련 의료기기 및 치료법 연구개발 능력 강화 ▲의료서비스 시장의 질적․양적 확대 ▲동북아시아 의료관광 허브로서 글로벌 경쟁력 강화 ▲국가 관리를 통한 심혈관질환의 확대 등의 기대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아울러 그는 심혈관센터의 설립을 통해 연구․치료․임상․예방․재활을 통한 국민 건강증진을 꾀하고 동북아시아 중심의 의료 선진 국가에 진입하여 최종적으로 의료과학 발전을 통한 인류사회 공헌을 비전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