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13년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7조9,720억원으로 ‘12년(7조1,227억원)에 비해 11.9% 증가하였고 수출은 12억 8,341만달러로 같은 기간 20.3% 급증하였다고 밝혔다.
생산실적의 경우 최근 5년간 평균 성장률이 11.4%로 증가하였고 수출은 2년 연속 20%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20%가 넘는 수출 증가와 소폭 감소한 수입이 맞물려 지난해 국내 화장품 무역수지는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한 ‘12년(8,926만달러)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3억1,145만달러 흑자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화장품 시장규모도 7조6,309억원으로 조사되어 ‘12년(7조221억원)에 비해 8.7% 상승하여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구 분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생산업체(개)* |
526 |
591 |
640 |
1810 |
1,895 |
생산품목(개) |
76,099 |
85,533 |
93,682 |
101,296 |
88,806 |
생산금액 (억원) (성장률%) |
51,686 (9.50%) |
60,146 (16.37%) |
63,856 (6.17%) |
71,227 (11.54%) |
79,720 (11.92%) |
국내 시장규모(억원) |
55,342 |
63,084 |
65,898 |
70,221 |
76,309 |
* : 생산실적이 있는 업체 수, 시장규모=생산+수입-수출 |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중국, 홍콩에 수출 큰 폭 증가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등이다.
수출 성장세로 무역흑자 지속
‘13년 화장품 수출실적은 12억8,341만달러였으며, 수입은 9억7,196만달러로 무역수지는 3억1,145만달러 흑자로 조사되었다.
수출 증가율은 ’12년에 이어 2년 연속 20% 이상 성장률을 보인데 반해, 수입은 0.6% 감소해 ‘12년(9억7,774만달러)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화장품 무역수지가 `12년에 이후 연속 흑자로 나타난 것은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 대한 수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구 분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수출금액(천달러) |
416,002 |
596,934 |
804,503 |
1,067,002 |
1,283,414 |
수입금액(천달러) |
702,434 |
851,085 |
988,762 |
977,739 |
971,963 |
수입품목(개) |
66,504 |
71,734 |
73,737 |
76,562 |
73,648 |
무역지수(천달러) |
-286,432 |
-254,151 |
-184,259 |
89,263 |
311,451 |
중국, 홍콩 수출 큰 폭 증가
지난해 국산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나라는 중국(2억8,581만달러)이었으며, 그 뒤로 홍콩(2억6,672만달러), 일본(2억1,785만달러), 미국(9,217만달러), 대만(8,415만달러), 태국(7,264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특히, 중국의 경우 ‘12년(2억961만달러)에 비해 36.4%나 증가하여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여 순위도 2위(’12년)에서 1위(‘13년)로 올랐고, 홍콩도 3위에서 2위로 올라 이 두 나라에 대한 수출실적 점유율이 43.1%나 되었다.
반면, 일본은 지난해 3위로 조사되어 1위 자리를 내주었으며 ‘13년 수출 상위 10개국에 대한 수출실적이 11억5,392만달러로 전체 수출실적(12억8,341만달러)의 89.9%나 되었다.
지속적인 화장품 수출 증가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발전과 함께 품질향상, 한류 열풍의 영향으로 중국,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단위 : 천달러) | ||||||
순위 |
국 가 |
‘12년 |
‘13년 | |||
수출금액 |
점유율 |
수출금액 |
점유율 | |||
|
총 계 |
1,067,002 |
100% |
1,283,414 |
100% | |
소 계(상위 10위) |
956,970 |
89.69% |
1,153,916 |
89.91% | ||
1 |
중국 |
China |
209,613 |
19.65% |
285,806 |
22.27% |
2 |
홍콩 |
Hong Kong |
188,639 |
17.68% |
266,715 |
20.78% |
3 |
일본 |
Japan |
250,084 |
23.44% |
217,854 |
16.97% |
4 |
미국 |
USA |
70,169 |
6.58% |
92,171 |
7.18% |
5 |
대만 |
Taiwan |
58,777 |
5.51% |
84,154 |
6.56% |
6 |
태국 |
Thailand |
65,171 |
6.11% |
72,642 |
5.66% |
7 |
싱가포르 |
Singapore |
40,589 |
3.80% |
42,095 |
3.28% |
8 |
베트남 |
Vietnam |
25,496 |
2.39% |
36,557 |
2.85% |
9 |
말레이지아 |
Malaysia |
32,775 |
3.07% |
34,978 |
2.73% |
10 |
러시아 |
Russia |
15,657 |
1.47% |
20,944 |
1.63% |
기능성 화장품 생산 비중 증가
지난해 기능성화장품의 생산실적은 2조5,638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32.2%로 조사되어, ‘11년 1조6,418억원(25.7%), ’12년 2조1,483억원(30.2%)에 이어 생산실적과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기능성화장품 중에서는 2개 기능 이상을 갖는 복합기능성 화장품의 생산실적이 1조2,259억원(기능성화장품 중 47.8%)으로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주름개선(6,903억원), 자외선차단(3,809억원), 미백 기능(2,667억원)의 순이었다.
각각의 기능성 제품을 사용하는 대신에 복합된 기능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바쁜 현대인에게 더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위 : 억원) | ||||||
구분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3년 점유율 |
총 계 |
12,402 |
15,189 |
16,418 |
21,483 |
25,638 |
100% |
복합기능성 |
3,178 |
4,180 |
5,935 |
7,804 |
12,259 |
47.8% |
주름개선 |
2,858 |
3,423 |
3,231 |
6,665 |
6,903 |
26.9% |
자외선차단 |
4,060 |
4,721 |
4,138 |
4,027 |
3,809 |
14.9% |
미백 |
2,306 |
2,865 |
3,113 |
2,987 |
2,667 |
10.4% |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 화장용 제품이 4조5,180억원(56.7%)로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두발용 제품류(1조2,227억원(15.3%)), 색조화장용(1조1,202억원(14.1%)), 인체세정용(6,070억원(7.6%)) 등이 그 뒤를 따랐다.
기초 화장용 제품 중에서는 로션·크림제의 생산실적이 1조7,038억원(37.7%), 에센스·오일이 9,545억원(21.1%), 수렴·유연·영양 화장수가 7,143억원(15.8%)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단위 : 억원) | |||||
구 분 |
유형 |
`12년 |
`13년 | ||
생산금액 |
점유율 |
생산금액 |
점유율 | ||
|
총 계 |
71,227 |
100% |
79,720 |
100% |
1 |
기초화장용 제품류 |
43,012 |
60.39% |
45,180 |
56.67% |
2 |
두발용 제품류 |
10,555 |
14.82% |
12,227 |
15.34% |
3 |
색조화장용 제품류 |
8,883 |
12.47% |
11,202 |
14.05% |
4 |
인체세정용 제품류 |
4,659 |
6.54% |
6,070 |
7.61% |
5 |
면도용 제품류 |
1,006 |
1.41% |
1,796 |
2.25% |
6 |
눈화장용 제품류 |
1,445 |
2.03% |
1,639 |
2.06% |
9 |
손발톱용 제품류 |
508 |
0.71% |
641 |
0.80% |
7 |
영.유아용 제품류 |
568 |
0.80% |
481 |
0.60% |
8 |
방향용 제품류 |
223 |
0.31% |
239 |
0.30% |
10 |
두발염색용 제품류 |
144 |
0.20% |
168 |
0.21% |
11 |
목욕용 제품류 |
192 |
0.27% |
48 |
0.06% |
12 |
체취방지용 제품류 |
32 |
0.04% |
30 |
0.04% |
생산실적 1위는 아모레퍼시픽, 제품은 ‘설화수 자음생 크림’
‘13년에 화장품을 생산실적이 있는 제조판매업자는 총 1,895개소였으며, 이들 중 생산액이 1,000억 이상인 8개 사의 생산실적은 5조9,040억원으로 전체의 74.1%를 점유하고 있었다.
‘아모레퍼시픽’이 3조73억원을 생산하여 37.7%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엘지생활건강’이 1조8,114억원(22.7%), ‘에이블씨엔씨’가 4,290억원(5.4%), ‘애터미’ 1,565억원(1.96%), ‘더페이스샵’ 1,546억원(1.94%) 등의 순이었다.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제품은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자음생크림(60ml)’(708억원)이었으며, 그 다음은 ’설화수 자음유액(125ml)‘( 568억원), ’설화수 자음수(125ml)‘(561억원), ’미샤초보양수액(30ml)‘(423억원), ’리엔 자윤비책 중건성 샴푸‘(400ml)(423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
순위 |
제조판매업자 |
‘12년 |
‘13년 | ||
생산금액 |
점유율 |
생산금액 |
점유율 | ||
|
총 계 |
71,227 |
100% |
79,720 |
100% |
|
소계(상위 10위) |
52,363 |
73.52% |
60,953 |
76.46% |
1 |
(주)아모레퍼시픽 |
28,031 |
39.35% |
30,073 |
37.72% |
2 |
(주)엘지생활건강 |
15,560 |
21.85% |
18,114 |
22.72% |
3 |
(주)에이블씨엔씨 |
793 |
1.11% |
4,290 |
5.38% |
4 |
애터미(주) |
772 |
1.08% |
1,565 |
1.96% |
5 |
(주)더페이스샵 |
1,060 |
1.49% |
1,546 |
1.94% |
6 |
애경산업(주) |
1,472 |
2.07% |
1,265 |
1.59% |
7 |
(주)에뛰드 |
868 |
1.22% |
1,136 |
1.42% |
8 |
(주)참존 |
1,068 |
1.50% |
1,052 |
1.32% |
9 |
(주)마임 |
1,147 |
1.61% |
966 |
1.21% |
10 |
(주)이니스프리 |
1,592 |
2.24% |
946 |
1.19% |
(단위 : 억원) | ||||||
순위 |
구분 |
회사명 |
‘12년 |
‘13년 | ||
생산금액 |
점유율 |
생산금액 |
점유율 | |||
|
총 계 |
71,227 |
100% |
79,720 |
100% | |
소계(상위 10위) |
3,731 |
5.24% |
4,435 |
5.56% | ||
1 |
설화수자음생크림 (60ml) |
㈜아모레퍼시픽 |
731 |
1.03% |
708 |
0.89% |
2 |
설화수자음유액 (125ml) |
㈜아모레퍼시픽 |
568 |
0.80% |
568 |
0.71% |
3 |
설화수자음수 (125ml) |
㈜아모레퍼시픽 |
577 |
0.81% |
561 |
0.70% |
4 |
미사초보양수액 (30ml) |
㈜에이블씨엔씨 |
0.10 |
0.00% |
423 |
0.53% |
5 |
리엔 자윤비책 중건성 샴푸(400ml) |
㈜엘지생활건강 |
254 |
0.36% |
423 |
0.53% |
6 |
아이오페에어쿠션XP내추럴21호(30g) |
㈜아모레퍼시픽 |
- |
- |
413 |
0.52% |
7 |
라네즈워터슬리핑팩EX(80ml) |
㈜아모레퍼시픽 |
0.003 |
0.00% |
349 |
0.44% |
8 |
설화수윤조에센스 (90ml) |
㈜아모레퍼시픽 |
211 |
0.30% |
348 |
0.44% |
9 |
설화수탄력크림 (75ml) |
㈜아모레퍼시픽 |
396 |
0.56% |
320 |
0.40% |
10 |
타임레볼루션화이트큐어로션NW(30ml) |
㈜에이블씨엔씨 |
0.25 |
0.00% |
320 |
0.40% |
수입품의 69.7%는 미국, 프랑스, 일본산
지난해 화장품 수입실적은 9억7,196만달러였으며, 수입 상위 10개국으로부터 9억485만달러가 수입되어 전체의 93.1%를 차지해 ‘12년(9억64만달러(92.7%))에 비해 0.17% 감소했다.
상위 10개국의 순서는 미국(2억8,543만달러), 프랑스(2억5,772만달러), 일본(1억3,453만달러), 이태리, 영국 등이었으며, 상위 3개국의 수입실적이 전체의 69.7%를 차지했다.
(단위 : 천달러) | ||||||
순위 |
국 가 |
`12년 |
‘13년 | |||
수입금액 |
점유율 |
수입금액 |
점유율 | |||
|
총 계 |
977,739 |
100% |
971,963 |
100% | |
소 계(상위 10위) |
906,366 |
92.70% |
904,848 |
93.09% | ||
1 |
미국 |
USA |
270,033 |
27.62% |
285,432 |
29.37% |
2 |
프랑스 |
France |
244,515 |
25.01% |
257,715 |
26.51% |
3 |
일본 |
Japan |
180,297 |
18.44% |
134,527 |
13.84% |
4 |
이태리 |
Italy |
44,199 |
4.52% |
57,107 |
5.88% |
5 |
영국 |
UK |
41,966 |
4.29% |
46,075 |
4.74% |
6 |
태국 |
Thailand |
40,135 |
4.10% |
35,541 |
3.66% |
7 |
캐나다 |
Canada |
31,453 |
3.22% |
31,806 |
3.27% |
8 |
독일 |
Germany |
27,556 |
2.82% |
28,859 |
2.97% |
9 |
아일랜드 |
Ireland |
14,967 |
1.53% |
14,682 |
1.51% |
10 |
중국 |
CHINA |
11,245 |
1.15% |
13,103 |
1.35% |
식약처는 국내 화장품 수출을 포함한 생산실적이 급증하는 것은 국산 화장품의 안전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향후에도,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제도의 국제 조화 및 합리화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산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중국, 홍콩, 동남아 시장 뿐 아니라 유럽, 호주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글로벌 시장에 부합하는 우수한 브랜드와 다양한 품목 개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