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김치유산균 CJLP243," 장 불편증상 개선 효과 입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국제심포지엄에서 김치유산균 ‘CJLP243’ 연구결과 발표

김치에서 분리한 243번째 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243(이하 CJLP243)’이 스트레스성 설사 등과 같은 장 불편증상 개선에 탁월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25일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개최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국제심포지엄 및 정기학술대회의 ‘프로바이오틱스와 건강’ 세미나에서 CJ제일제당은 ‘CJLP243의 스트레스성 장트러블 개선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김치에서 분리한 식물성 유산균인 ‘CJLP243’은 자체 시험결과, PH2.5의 산성 및 담즙산 조건에서 유명 균주인 동물성 유산균에 비해 우수한 내산성과 내담즙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은 섭취하는 것보다 장까지 도달해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가 중요하다. 이에 ‘CJLP243’은 강한 산도의 위산과 담즙산에서도 잘 견뎌내 장 끝까지 살아가는 생명력을 지녔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CJLP243’은 '장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특허받은 균주로 특히 스트레스로 장이 예민할 때에도 효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대상인 흰쥐에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설사에 대한 효과를 관찰한 결과, ‘CJLP243’을 투여한 시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대해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건강식품팀 여말희 수석연구원은 “흰쥐를 대상으로 한 시험은CJLP243이 많은 유산균들과 달리 스트레스로 속이 불편하거나 장건강에 문제가 있을 때 장건강 개선기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CJLP243은 건강한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한 2주간의 시험에서도 섭취 전에 비해 섭취 후에 배변증상 및 장 불편감 등 모든 증상에서 개선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은 장 건강에 특화된 ‘BYO 장유산균 CJLP243’을 출시하며, ‘BYO 유산균’의 라인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BYO 장유산균 CJLP243’은 한국인의 장 건강에 초점을 맞춰 개발된 유산균 제품이다. 배변활동을 원활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 회식이 잦은 직장인이나 오랜 시간 앉아있는 수험생 등 장트러블로 고생하는 온 가족의 장건강을 위한 제품이다.


한편, CJ제일제당 ‘BYO 장유산균 CJLP243’은 대형마트에서 구매 가능하며, 가격은 34,900원(30포, 1개월 분)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2025 식품안전나라 20초 영상공모전' 개최...4건 우수작 선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국민을 대상으로 ‘2025 식품안전나라 20초 영상공모전’을 개최하고 9월 30일 4건의 우수작을 선정했다. 이번 공모전은 생성형 AI와 식품안전나라 캐릭터인 ‘미어로’를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식품안전나라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숏폼 형태의 모바일 친화적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대상 수상작인 ‘밥상 히어로즈’ 팀의 ‘우리 가족의 안전한 식탁’과 최우수상 수상작인 강동우’님의 ‘국민의 식탁을 설계하는 곳, 식품안전나라’는 식품 알레르기와 같은 일상 속 식품안전에 관한 고민을 식품안전나라의 식품·수입식품·건강기능식품 정보, 우리동네 정보 및 공공데이터 활용 기능을 통해 해결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우수상 수상작인 ‘정지윤·김수현’님의 ‘오늘은 안전하게, 내일은 건강하게’와 ‘박현수’님의 ‘내손안에 볼 수 있는 신뢰’는 식품안전나라가 제공하는 식품안전정보의 중요성을 표현하고, ‘내손안 식품안전정보’ 앱을 통해 편리하게 식품안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번 공모전에서 수상한 영상물은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유동 인구가 많은 서울역 맞이방에서 10월 3일부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BRF2 변이로 인한 질병 발생 기전 세계 최초 규명..."희귀질환 극복 실마리 제시" 원인을 모르는 면역결핍, 발달장애, 림프종을 앓아 왔던 환자와 가족이 16년만에 유전적 원인을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세포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BRF2 유전자’와 희귀질환의 연관성을 새롭게 발굴하고, 발병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는 원인이 불명확해 진단과 치료가 어려웠던 환자들에게 치료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향후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이승복 교수, 서울의대 권해윤 학생)와 중앙대 생명과학과 김근필 교수(윤서빈 박사) 공동 연구팀은 미진단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의 유전체 및 세포 데이터를 분석하고, BRF2 변이가 면역결핍 및 발달장애 희귀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해 30일 발표했다. BRF2는 세포의 생존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다. 다른 유전자들과 함께 복합체를 이루어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셀레노시스테인 tRNA(SeCys tRNA) 생성을 유도한다. SeCys tRNA를 기반으로 합성된 단백질들은 활성산소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산화-환원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BRF2 관련 질환에 대해선 그동안 연구가 드물었고, 이 변이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