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의약외품 탈모방지제 유효성 재평가

허가된 탈모방지 제품 135개사 328품목에 대한 재평가 실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국내에서 의약외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탈모방지제의 유효성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대상 품목을 홈페이지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재평가는 최근 ‘탈모 방지 또는 모발의 굵기 증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탈모방지제의 효과에 대한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탈모방지제의 유효성을 최신의 과학기술로 다시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다.


재평가 대상 품목은 샴푸, 헤어토닉 등 국내 허가되어 있는 탈모방지 의약외품 전체에 해당되며 135개사 328제품이다.
   
의약외품 탈모방지제는 ‘탈모방지제의 효력시험’과 ‘외국의 사용 현황’ 등의 자료로 재평가하게 된다. 효력시험의 경우에는 해당 품목의 효능·효과입증을 위한 인체시험계획서를 의약외품 허가․심사 규정과 식약처장이 정한 관련 효력시험법 가이드라인에 적합하게 작성하여 '16.03.31.까지 제출하고, 그 결과는 ‘17.05.31일까지 제출하여야 한다.


외국 사용현황 관련 자료의 경우 해당제품의 효능‧효과 등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른 나라의 사용현황 등에 관한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평가는 식약처가 제출된 자료 및 전문가 의견 등을 종합평가하여 기존의 효능‧효과를 변경하거나 품목의 허가 취소 등의 조치를 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이번 재평가를 통해 탈모방지제로 사용되는 의약외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강화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의약외품을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2014년 국내 허가되어 있는 의약외품 살충제에 6개 성분, 160개 제품(45개 업체)에 대하여 안전성을 재검토하여 1개 성분은 판매를 중지하고 5개 성분에 대해서는 사용 시 주의사항을 강화한 바 있으며, 현재 모기기피제의 안전성 등에 대해서는 재평가 중에 있다.


재평가 대상 유효성분

 

연번

유효성분

품목수

업체수

1

니코틴산아미드, 덱스판테놀, 비오틴, 피리티온아연액

97

88

2

L-멘톨, 덱스판테놀, 살리실산

85

82

3

니코틴산아미드, 살리실산, 토코페롤아세테이트

50

47

4

덱스판테놀, 살리실산, 피리티온아연액

37

28

5

니코틴산아미드, 덱스판테놀, 살리실산

13

13

6

니코틴산아미드, 살리실산

7

7

7

당약틴크, 레소르시놀, 히노키티올

5

5

8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펜타데칸산글리세리드

3

1

9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당약에탄올추출액

인삼50%에탄올추출액

3

3

10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인삼90%에탄올엑스

3

3

11

당약추출물, 백자인추출물, 판토테닐에칠에텔

3

2

12

6-벤질아미노퓨린,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펜타데칸산글리세리드

2

2

13

감광소301, 살리실산, 에치닐에스트라디올

용성시스틴, 토코페롤아세테이트

2

2

14

L-멘톨, 고삼틴크, 고추틴크,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당약틴크, 살리실산,히노키티올

2

2

15

L-멘톨, 고삼틴크, 고추틴크,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세신틴크, 히노키티올

2

1

 

 

 

연번

유효성분

품목수

업체수

16

니코틴산아미드, 덱스판테놀, 백자인추출물

피리티온아연액

2

1

17

감초엑스, 백자인추출물, 피리티온아연액

황금연조엑스

1

1

18

감초엑스, 덱스판테놀, 피리티온아연액

황금연조엑스

1

1

19

홍삼사포닌

1

1

20

인삼엑스

1

1

21

청피엑스산

1

1

22

니코틴산아미드, 덱스판테놀, 피리티온아연액

1

1

23

니코틴산아미드, 덱스판테놀, 판토테닐에칠에텔

피리티온아연액

1

1

24

1-히드록시-2-메칠-4-아세틸아미노나프탈렌

니코틴산벤질, 살리실산

1

1

25

레소르시놀, 모노니트로구아이야콜나트륨

살리실산, 염산디펜히드라민, 콜레스테롤

판토텐산칼슘, 피리독신염산염

1

1

26

L-멘톨, 고추틴크,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당약틴크, 살리실산, 히노키티올

1

1

27

L-멘톨, 당약추출물, 토코페롤아세테이트

피리독신염산염, 히노키티올

1

1

28

곤포, 니코틴산아미드, 살리실산, 해대

1

1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완치 없는 치매, 그렇다면 늦출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기억력 감퇴는 물론 언어, 판단력, 계산 능력,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병으로 누구나 걸릴 수 있다. 무엇보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통제 불가능한 말과 행동으로 가족에게 짐이 된다는 점이 큰 두려움을 준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국내 60세 이상 치매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며, 2050년에는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6%대 치매 유병률 또한 2050년에는 1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치매 환자의 약 27%가 경도인지장애를 진단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경도인지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시기임을 기억해야 한다. 박정훈 신경과 전문의는 “치매는 초기에 건망증과 증상이 비슷해 본인이 알아채기 어렵고,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회피하고 치료를 미루다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라며 “완치 가능한 치료제가 없으므로 중증 치매로 이환 되기 전 병증을 늦출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