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심평원

예방 가능한 자궁경부암으로 연간 9백명 사망.. 20·30대 정기검진 필요

예방접종, 정기검진 및 금연으로 예방·완치율 높일 수 있어 올해부터 국가 무료 검진 대상 ‘20세 이상’으로 확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자궁경부암'에 대해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매년 약 5만명 이상(2015년 5만5천명)이 진료를 받고 있으며,진료인원의 대부분(2015년 96.1%)은 30세 이상이지만 30세 미만 진료인원도 매년 약 2천명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2011년~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자궁경부암‘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진료인원은 2015년 기준 약 5만5천명이었으며 연평균 진료인원은 약 5만4천명이었다.총진료비는 2015년 기준 약 856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7.0%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7%로 나타났다.


표1 . <자궁경부암> 여성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현황 (2011년~2015년)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진료인원

()

53,131

52,996

53,956

57,521

54,603

총 진료비

(천원)

80,023,026

80,099,384

81,706,565

85,381,710

85,627,440

 ‘자궁경부암’ 진료인원 대부분은 30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2015년 기준 연령구간별 점유율은 전체 진료인원 중 40대 27.7% > 50대 25.0% > 30대 19.9% > 60대 14.5% 순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암은 30세 이후부터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30세 미만도 매년 2천명 이상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전체 암 진료인원(여성) 중 자궁경부암 진료인원 비중은 약 7.0% (2015년 기준)로 점점 낮아지고 있으나, 20‧30대에서 연령구간별 점유율은 전체 암 진료인원(여성) 중 자궁경부암 진료인원의 비중이 10% 이상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 사망자 수 및 사망률 (2011년~2014년)

                                                                                                                        (단위: 명, 명/10만명)

 구 분

2011

2012

2013

2014

전체 암(C00-C97)

사망자 수

71,579

73,759

75,334

76,611

조사망률

142.8

146.5

149.0

150.9

위암(C16)

사망자 수

9,719

9,342

9,180

8,917

조사망률

19.4

18.6

18.2

17.6

폐암(C33-C34)

사망자 수

15,867

16,654

17,177

17,440

조사망률

31.7

33.1

34.0

34.4

간암(C22)

사망자 수

10,946

11,335

11,405

11,566

조사망률

21.8

22.5

22.6

22.8

대장암(C18-C21)

사망자 수

7,721

8,198

8,270

8,397

조사망률

15.4

16.3

16.4

16.5

유방암(C50)

사망자 수

2,018

2,013

2,244

2,271

조사망률

4.0

4.0

4.4

4.5

자궁암(C53)

사망자 수

1,294

1,219

1,232

960

조사망률

2.6

2.4

2.4

1.9

기타 암(Re.C00-C97)

사망자 수

24,014

24,998

25,826

27,060

조사망률

47.9

49.7

51.1

53.3


‘자궁경부암’은 자궁 경부(입구)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증상으로는 질 출혈, 분비물 증가 등이 있다. 시간이 경과하여 병이 진행되면 혈뇨가 나올 수도 있으며, 자궁 경부뿐만 아니라 주위 장기에 번지면서 허리가 아프거나 다리로 통증이 퍼져 나갈 수 있다.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감염되면 모두 ‘자궁경부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감염 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검사해야 한다.  ‘자궁경부암’은 조기 검진 시 완치율이 높은 편이므로 조기에 진단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암이 되기 이전 단계인 ‘전암 단계’가 7~20년까지 지속되어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다면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자궁경부암’은 국가 암 검진 대상에 포함되어 무료 검진을 받을 수 있으며, 2016년부터는 대상 연령(기존 30대 이상)이 확대되어 20세 이상 여성은 2년 주기로 받을 수 있다.
   
‘자궁경부암’ 발생의 주된 원인인 고위험 HPV바이러스 중 16, 18형이70% 정도를 차지하는데 예방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하다.보건복지부는 오는 6월 중순부터 2003.1.1.~2004.12.31. 사이 출생한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을 6개월 간격으로 두 번 무료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자궁경부암 백신이 모든 유형의 HPV에 의한 질환을 예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했더라도 지속적인 정기검진을 통해 자궁경부암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김종욱 상근심사위원은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연간 900명에 이르지만 예방․완치가 가능하므로 적극적으로 예방접종, 정기검진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흡연도 위험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미사이언스, 백혈병어린이재단에 헌혈증 300매·히크만 주머니 100개 기부 “항암 치료를 받는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히크만 주머니’가 구하기 어렵고 자주 교체해야 한다는 이야기에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낯선 병원에서 투병 중인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정성껏 만들었고, 이 주머니가 따뜻한 위로와 희망이 됐으면 합니다.” (한미사이언스 서비스플랫폼그룹 한민혜) 한미그룹은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 중심으로 ‘전문경영인 체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면서 ESG 경영이 그룹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한미그룹은 임직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공감을 기반으로 한 ESG 실천을 조직 내에 깊이 내재화하며 지속 가능한 기업 문화를 구축하는데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한미그룹 사내에서는 ‘소아암 환아를 위한 히크만 주머니 만들기’ 봉사활동이 MZ세대 직원들 사이에서 폭넓은 공감과 높은 호응을 얻으며, 우리 사회의 따뜻한 온기를 높이는데 힘을 보태고 있다. 히크만 주머니는 항암 치료를 받는 소아암 환아에게 삽입되는 중심정맥관(히크만 카테터)을 보호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수 보조용품이다. 하지만 시중에는 판매처가 많지 않은데다 위생 관리를 위해 자주 교체해야 하는 만큼, 환아 1인당 여러 개의 주머니가 필요하다. 이번 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용인세브란스병원 손등 혈관 통한 고난도 최소 절개 시술법 안전성 입증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연구팀은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에서도 손등 부위 혈관을 이용한 ‘스너프박스 접근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손목을 통해 이뤄지던 기존의 심장혈관 시술과 달리 손등 부위의 원위 요골 혈관을 이용한 시술로, 시술 후 혈관 폐색 위험이 낮고 지혈이 쉬워 출혈 등 시술 부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손등 혈관은 직경이 작아 복잡한 시술에 필요한 굵은 기구 적용이 어려워 고난도 시술에는 거의 사용하지 못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주로 활용하던 6프렌치 도관보다 직경은 더 크지만, 벽 구조는 얇은 7프렌치 도관을 활용한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의 안전성을 분석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노지웅‧이오현 교수(공동 제1저자), 김용철‧조덕규 교수(공동 교신저자) 연구팀은 2021년 8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심장혈관시술을 받은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시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스너프박스 접근법을 통한 심장혈관 시술은 시술 난이도가 높고 합병증 위험이 큰 복잡 병변 환자를 포함한 참여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