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릴리(대표: 야니 윗스트허이슨)는 최근 전세계 13개국, 34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성생활 패턴 조사 >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성생활 현황 및 특징’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성관계 횟수는 매주 1.04회로 조사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한 반면, 파트너로부터 성관계를 회피 당한 경험률은 48%로 가장 높아 ‘가장 저조한 성생활을 누리는 국가’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생활에 대한 전문의와의 상담률은 가장 낮아 성기능 문제를 비전문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데에 따른 위험성이 다른 국가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34세 이상 한국 성인남녀 중 3분의 1 정도가(33%) ‘성생활에 문제가 있으면서도 이에 대해 의사와 얘기하는 것이 부끄러워 의학상담을 꺼렸다’고 답했다. 실제로 자신의 발기부전에 대해 전문의와 상담한 경우는 고작 8%로, 전체 국가평균인 23%에 크게 못 미쳤다.
반면, 한국을 포함해 체코, 루마니아 등 성문제에 대한 전문의와의 상담률이 낮은 국가에서는 인터넷에 의한 성 관련 정보 탐색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의 경우, 절반 이상(51%)이 ‘인터넷을 통해 성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들이 주로 성관계를 갖는 때는 토요일(62%), 금요일(43%), 일요일(28%) 등 주말 동안이었으며, 시간대로는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56%)가 가장 많았다.
계절별로는 대부분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성생활에 있어 선호하는 계절은 따로 없다’고 답한 경우가 대다수(63%)였으나 봄(10%), 여름(5%)보다는 가을(19%)이나 겨울(14%)과 같은 추운 계절을 약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