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보건복지부

신생아집중치료센터 지원사업,·영아사망률 감소 등 성과도 있지만...지역 간 편차· 인력 부족은 '숙제'

보건복지부,연구용역 결과 토대로 신생아집중치료 병상(1,299개→1,716개), 시설 및 장비 확충 예정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가 2008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신생아집중치료센터 지원사업”이 고위험 신생아 치료인프라 확산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2016년 실시한 연구용역(  을 통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 지원 사업 대상 병원의 센터 개소 전후 시설ㆍ장비ㆍ인력의 변화를 확인했고, 이를 통해 지역 신생아집중치료의 질적 향상 정도 및 미숙아 입원량 변화 등을 평가하였다. 


-신생아집중치료실 지원사업 현황

연도

개소수 (병상수)

예산

지원기관

2008

3개소 (30병상)

45억원

충북대병원, 전남대병원, 경상대병원

2009

2개소 (20병상)

30억원

인제대부산백병원, 충남대병원

2010

3개소 (30병상)

45억원

제주대병원, 가천의대길병원, 인제대일산백병원

2011

5개소 (50병상)

75억원

고려대안산병원, 연세대원주기독병원, 순천향대천안병원, 원광대병원, 계명대동산의료원

2012

5개소 (50병상)

75억원

분당서울대병원, 인하대병원, 단국대병원, 조선대병원, 울산대병원

2013

10개소 (100병상)

75억원

부천순천향병원, 아주대병원, 강원대병원, 건양대병원, 전북대병원, 현대여성아동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 삼성창원병원

2014

9개소 (50병상)

75억원

동국대일산병원, 분당차병원, 광주기독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동아대병원, 부산대병원, 부산성모병원, 해운대백병원, 좋은문화병원

2015

9개소 (50병상)

75억원

성빈센트병원, 의정부성모병원, 을지대병원, 전주예수병원, 고신대복음병원

2016

10개소 (50병상)

75억원

일산병원, 한양대학교구리병원, 동탄성심병원, 인천성모병원, 일신기독병원, 창원경상대병원, 경북대병원

* 병상확충예산 : 1개소(10병상)15억원

* 2010년부터 운영비 지원


고위험 신생아 치료는 첨단장비와 전문인력을 필요로 하여 의료기관들이 경영 적자를 이유로 신생아중환자실 설치ㆍ운영을 기피하였고, 권역별로 병상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업 실시 전인 2006년 당시 전국 신생아중환자실 병상은 필요 병상 수(1,700병상)에 비해 약 500병상이 부족한 1,271병상에 불과한 상황이었다.


이를 계기로 보건복지부는 2008년부터 신생아집중치료센터 지원사업을 진행하였고, 이후 변화된 양상은 다음과 같다.


 < 1. 신생아중환자실 내 시설ㆍ장비 확충 >

※ 미숙아 입원 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병상 수, 총 인공호흡기 수, 근무 소아과 전공의 수,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 수, 신생아중환자실 내 수술 가능 여부 등

  • (운영병상 증가) 2011년 1,299병상 → 2015년 1,716병상(417병상↑)
    - 출생아 1,000명당 3.9병상으로, 전체 필요병상 수 적정량에 도달
  • (인공호흡기 수) 2011년 947대 → 2015년 1,334대(387대↑)
  • (인큐베이터 수) 2011년 1357대 → 2015년 1621대(264대↑)
  • (저체온치료 기계구비율) 2011년 14% → 2015년 48%(34%p↑)
    - 저체온치료를 받은 환자 수와 비율은 2011년 24명(7%) → 2015년 111명(30%)

< 2. 신생아집중치료센터 지원사업 기간 동안 사망률ㆍ생존률 변화 >

  • (신생아사망률 감소) 출생아 1,000명 당 2007년 2.1명 → 2015년 1.7명
  • (영아사망률 감소) 출생아 1,000명당 2017년 3.6명 → 2015년 2.7명
  • (미숙아생존률 증가) 1.5㎏ 미만 2007년 83.2% → 2015년 87.9%, 1㎏ 미만 2007년 62.7% → 2015년 72.8%

다만, 여전히 예비 병상이 필요하고, 증가하는 병상의 속도에 비해 의료 인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생아 집중치료 필요 병상 수는 적정량(출생아 1,000명당 3.9병상)에 도달하였으나, 갑작스러운 원내 출생 고위험신생아나 타 병원에서 전원을 받기 위한 10%의 예비병상이 필요함을 고려할 때에는 여전히 전체 169병상(출생아 1,000명당 4.3병상)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지역 간 편차가 심해, 이 또한 개선이 필요하다.

* 신생아집중치료실(출생아 1,000명당): 서울 7.1 vs 전남ㆍ경북 0.7

병원 당 근무 전공의 수(2011년 1.81명 → 2015년 2.39명), 근무 전문의 수(2011년 1.70명 → 2015년 2.07명)은 감소하지 않았으나, 병상 당 간호사 수는 전국 평균 2011년 1.18명에서 2015년 1.04명으로 감소하여, 충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 부산ㆍ광주ㆍ경기ㆍ강원ㆍ충북ㆍ전북ㆍ제주 지역은 평균 1:1 미만


보건복지부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신생아집중치료 인프라 확충 지원사업과 지속적인 보험수가 인상( 2013년 신생아중환자실 관련 수가 100% 인상, 2016년 고위험 분만가산 신설, 신생아실 입원료 개선, 신생아중환자실 간호관리료 차등제 개편 등) 등이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특히 지원사업 이후 2010년까지 감소하던 신생아중환자실 운영 병상수가 2011년 이후 417병상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지원 대상지역이 아닌 서울지역에서도 132병상이 증가한 것을 볼 때 정부 지원이 병원 정책 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향후 보건복지부는  연구를 토대로 예비병상을 감안하여 신생아집중치료실을 확대하고,“고위험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와 연계 체계를 갖추어 산모ㆍ신생아 전원 조정 기능을 강화하여 종합적인 관리를 할 예정임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 WHO 밀폐인증 획득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이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밀폐인증을 획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한국의 폴리오 필수시설(LG화학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에 대한 WHO의 밀폐인증 획득은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안전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 취급은 물론 향후 발생 가능한 위해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 백신 개발·생산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성과 위해관리 역량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세계폴리오박멸계획(GPEI)을 1988년부터 수립하고, 폴리오(소아마비) 박멸을 위해 국가별 광범위한 백신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폴리오필수시설은 세계보건기구로부터 2026년까지 밀폐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WHO 밀폐인증은 폴리오바이러스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밀폐시설 기준과 위해관리 체계를 평가하는 절차로, WHO 지침인 ‘글로벌행동계획 제4판, GAPIV’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생물위해 관리체계, 교육‧훈련, 보안, 물리적 밀폐, 비상대응계획 등 생물안전·생물보안 전 영역에 걸쳐 구성된 총 14가지 세부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폴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 개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센터장 이언숙)는 10월 20일 ‘언제 호스피스에 가면 좋을까요?’를 주제로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존엄한 죽음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교직원 6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임종 직전 △암 진단 직후 △항암치료가 더는 가능하지 않을 때 △통증 조절이 어렵고 의식이 흐려질 때 등 네 가지 상황 중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는 호스피스 이용에는 ‘정답’이 없지만, 가능한 한 이른 시점에서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항암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을 때 호스피스 입원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언숙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은 “예전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심을 가지지만, 여전히 막연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환자와 가족, 교직원 모두가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존엄한 삶의 마무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