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자꾸 재발하는 귀걸이 후유증 왜 그럴까?

자석치료 받은 1426건 분석으로 재발 위험인자 밝혀

올해 예비 대학생이 된 최○○양(여/20세)은 그동안 할 수 없어 대학교에 가면 꼭 해보고 싶었던 귀걸이를 했다. 귀걸이를 하고 난 후 처음에 진물이 나오고 염증이 있었지만 누구나 다 그런다는 친구들에 말에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귀걸이를 했던 부분이 부풀어 오르더니 지금은 혹처럼 자라나서 종합병원의 성형외과를 찾을 수밖에 없었다.  

보통 귀걸이 후유증이라고 하면 염증정도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구멍이 막혀 반복 시술을 하거나 귀걸이 무게로 의해 귓불이 찢어지는 등의 반복적인 외상으로 흉 덩어리=켈로이드가 발생하기 쉽다.

이렇게 발생한 켈로이드는 치료 후에도 재발의 가능성이 높아 완치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자신을 아름답게 꾸미려다 오히려 큰 혹이 생겨 마음에 큰 상처를 받는데다 자꾸 재발하여 몸과 마음 모두 홍역을 치룰 수 있다.

현재는 켈로이드의 재발 원인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호르몬의 영향과 염증에 의한 것이 원인이라 추측하고 있는 정도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성형외과 장충현교수팀은 세계적으로 가장 대규모의 켈로이드 연구를 통해 임상적 재발 위험인자를 밝혀냈다.

지난 2002년 1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약 7년 3개월 동안 귀 부분 켈로이드의 수술적 절제 후 강북삼성병원 성형외과 장충현 교수가 고안한 자석을 이용한 압력치료를 받은 88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자석을 이용한 압박치료란 자석 두 개를 귓불 양쪽에 붙여 상처 부위에 압박을 가해 켈로이드의 원인이 되는 콜라겐교합을 막아 켈로이드를 방지하는 치료법이다.

연구 결과 치료를 받은 사례는 총 1426건으로 수술 후 18개월 후 약 10%(143건)의 재발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이전에 켈로이드 치료 경험이 있었던 경우, 유병 기간(켈로이드가 생겨 치료하기 전까지 방치한 기간)이 길었던 경우, 체지방지수가 높은 경우 켈로이드 재발율이 높다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성형외과 장충현 교수는 “현재까지 보고된 켈로이드 연구 중에 가장 대규모 연구 사례로, 재발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명확하게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은 켈로이드 치료에 임상적 재발위험인자를 밝혀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켈로이드 재발로 인해 마음고생을 하는 환자들에게 조금이나마 재발을 막고 완벽한 치료를 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장충현교수는 “자석을 이용하여 켈로이드를 치료하는 방법은 치료법이 쉽고 효과도 좋아 환자분들이 많이 선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 성형외과 학회지 Plastic and Reconstrucive Surgery 2011년 8월호에 실렸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일반식품을 ‘먹는 위고비’, ‘식욕억제제’ 등으로 광고 하다 덜미.. 324억 원 상당 판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누리소통망(SNS) 등에서 일반식품을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비만치료제로 불법 광고하여 판매한 5개 업체 대표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유튜브 등 누리소통망(SNS)에서 인플루언서가 과·채가공품 등 일반식품을 비만 치료, 식욕억제 등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확인하고 정확한 위반 경위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 결과 피의자들은 인플루언서의 블로그,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일반식품을 ‘먹는 위고비(비만치료제)’, ‘식욕억제제’, ‘체지방 감소’ 등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처럼 부당 광고하고, 해당 광고에 판매사이트가 연결되도록 링크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2024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324억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의자들은 개인 SNS에 특정 제품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노려 인플루언서에게 ‘한 달에 7kg 감량’, ‘초강력 식욕억제’ 등 광고 키워드를 전달하고 해당 키워드를 활용해 자신의 체험 후기인 것처럼 영상 등을 제작하여 게시하도록 하는 수법으로 불법 광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