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9월 28일(목) 오전 11시, 인천국제공항에서 진행된 해외감염병 예방 홍보 캠페인을 통해 추석연휴(‘17.9월30일~10월9일)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캠페인에 참여한 정 본부장은 “해외여행을 가실 분은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에서 여행지 감염병 발생정보를 확인하고, 여행 중 감염병 예방수칙을 꼭 지켜줄 것을 강조하였다.
해외유입 감염병 사례는 2010년 이후 매년 400명 이상 신고되었고, 2015년 491명에서 2016년 541명으로 10.2% 증가하였다. 올해는 9월 25일 기준378명으로 전년 동기간(440건) 대비 14.1% 감소하였다.
해외유입 감염병은 뎅기열, 말라리아,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 모기매개 감염병과 콜레라,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등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 있으며, 중동지역과 중국에서는 각각 메르스 및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의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해외유입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유입국가별 신고 현황
(단위 : 명)
감염병명 | 국가명 | 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콜레라 | 계 | 7 | 3 | 0 | 3 | 0 | 0 | 1 |
인도 | 4 | 1 | 0 | 3 | 0 | 0 | 0 | |
필리핀 | 3 | 2 | 0 | 0 | 0 | 0 | 1 | |
장티푸스 | 계 | 124 | 31 | 22 | 14 | 22 | 23 | 12 |
인도 | 26 | 6 | 6 | 5 | 5 | 3 | 1 | |
필리핀 | 20 | 9 | 0 | 1 | 4 | 4 | 2 | |
인도네시아 | 16 | 3 | 8 | 3 | 0 | 1 | 1 | |
라오스 | 11 | 0 | 1 | 0 | 2 | 1 | 7 | |
기타 | 51 | 13 | 7 | 5 | 11 | 14 | 1 | |
파라티푸스 | 계 | 109 | 33 | 30 | 18 | 7 | 13 | 8 |
인도 | 40 | 17 | 13 | 4 | 2 | 2 | 2 | |
인도네시아 | 13 | 2 | 4 | 5 | 1 | 1 | 0 | |
캄보디아 | 13 | 0 | 2 | 5 | 1 | 3 | 2 | |
방글라데시 | 11 | 5 | 2 | 2 | 0 | 2 | 0 | |
기타 | 32 | 9 | 9 | 2 | 3 | 5 | 4 | |
세균성이질 | 계 | 300 | 107 | 42 | 65 | 38 | 25 | 23 |
캄보디아 | 78 | 30 | 11 | 28 | 6 | 1 | 2 | |
인도 | 74 | 31 | 15 | 15 | 7 | 4 | 2 | |
필리핀 | 41 | 15 | 5 | 4 | 10 | 5 | 2 | |
베트남 | 31 | 5 | 4 | 11 | 3 | 1 | 7 | |
인도네시아 | 20 | 10 | 4 | 1 | 2 | 2 | 1 | |
중국 | 14 | 8 | 0 | 2 | 1 | 2 | 1 | |
기타 | 42 | 8 | 3 | 4 | 9 | 10 | 8 |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계 | 19 | 5 | 3 | 3 | 5 | 1 | 2 |
중국 | 4 | 3 | 0 | 1 | 0 | 0 | 0 | |
태국 | 4 | 1 | 1 | 0 | 1 | 1 | 0 | |
캄보디아 | 3 | 1 | 1 | 0 | 0 | 0 | 1 | |
기타 | 8 | 0 | 1 | 2 | 4 | 0 | 1 | |
A형간염 | 계 | 130 | 22 | 18 | 18 | 21 | 25 | 26 |
필리핀 | 25 | 5 | 6 | 2 | 4 | 6 | 2 | |
인도 | 17 | 3 | 4 | 4 | 3 | 3 | 0 | |
중국 | 14 | 6 | 0 | 1 | 3 | 2 | 2 | |
캄보디아 | 11 | 1 | 1 | 2 | 1 | 5 | 1 | |
기타 | 63 | 7 | 7 | 9 | 10 | 9 | 21 |
특히 연휴기간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남아시아 지역은 수인성․식품매개 및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이 지속되므로 여행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여행 전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확인하고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하고, 임신 중 지카 바이러스 감염 시 소두증 신생아 출산 가능성이 있으므로, 임신부나 임신 계획이 있는 사람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였다.
또한, 해외여행 중 질병관리본부에서 지정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경우, 입국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작성하여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귀가 후 발열, 설사 또는 호흡기 증상 등 감염병 증상이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연락하여 상담을 받거나 의료기관을 방문할 경우에는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