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제약협회, 신약 개발을 위한 국제공동기술개발 프로젝트 설명회 개최

지식경제부 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선정 글로벌산학협력형

한국제약협회는 지식경제부가 지원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선정한 글로벌산학협력형 신약개발을 위한 해외 프로젝트 설명회를 오는13일 (화) 오후 1시에 한국제약협회 강당에서 개최한다.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은 산업기술의 개방‧융합‧글로벌화 추세에 발맞추어 해외 우수 R&D 기관과의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지식경제부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을 통해 실시하고 있는 글로벌산학협력형 사업이다.

신약개발 프로젝트에 최종 선정될 경우 연 5억씩 3년간 지식경제부의 지원을 받아 기술개발사업을 계속해 진행할 수 있으며, 해외연구기관으로 선정된 영국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교와 함께 제품개발 및 유럽시장 진출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신약개발을 위환 국제공동기술개발 프로젝트 설명회는 글로벌산학협력형 사업파트너로 선정된 영국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교와 함께 한국제약협회가 회원사의 해외진출을 돕기위해 마련되었다.

영국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교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프로젝트의 개요 및 진행단계, 향후 진행 방향 등을 설명하고 사업에 관심 있는 국내 기업과 현지 프로젝트 담당자 간 논의를 통해 공동연구를 수행 할 국내 기업을 모색하고자 한다.

설명회는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 박미근 박사의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 소개와 함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문수연 박사가 글로벌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주한영국대사관 과학기술과 Gareth Davies와 스코틀랜드 국제개발청 Howard Jang가 영국 중앙정부 및 스코틀랜드 지방 정부 지원에 대하여 소개를하게 된다.

이어서 신약개발을 ▲ Drug-Eluting Stent For High Risk Patients ▲ Selectively Enhancing Nitric Oxide Activity in Damaged Blood Vessels - Therapeutic potential in atherosclerosis, diabetes and pulmonary hypertension ▲ Real time Metabolic Flux Modelling in Biopharmaceutical Bioprocessing ▲ Marine Symbionts and Terrestrial Endophytes For Industrial Biotechnology of Novel Antibiotics ▲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a New Class of Antibiotics 등 5개의 프로젝트가 소개된다.

관심있는 회원사나 영국 및 유럽진출을 희망하는 회원사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교의 기술력과 시장사업화능력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공동연구가 진행되어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하고있다.

참석은 사전 신청해야 하며, 신청방법은 한국제약협회 홈페이지(www.kpma.or.kr) > 알림마당 > 행사정보(국내) > 해당 세미나 제목 클릭 > 세미나 신청하기로 하면 된다. 사전신청접수 마감일은 3월 8일(목)까지이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한국제약협회 바이오의약품정책팀(022-582-7983)으로 문의하면 된다.

 

<첨부> 프로젝트 설명회 일정표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6종 제·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원장 강석연)은 「디지털의료제품법」 하위규정 시행에 따라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1종을 제정하고 5종을 5월 7일 개정했다고 밝혔다. 주요내용은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특성을 반영한 허가신청서, 첨부서류 등 작성 방법을 안내하고, 인공지능·가상융합기술 등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에 대해 ▲제품 분류 판단기준과 흐름도 정비 ▲기술별 제품 사례 안내 ▲허가 제출자료의 범위 정비 및 작성방법 예시 등이다. 붙임 가이드라인 제·개정 주요 내용 구분 제목 목적 주요사항 제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허가 심사 가이드리인 독립형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의 허가·심사 시 기술문서·첨부자료 작성방법 등 제시 ①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관련 형태적·기능적 특성에 따른 안내 ② 독립형 소프트웨어 신청서 작성방법 및 예시, 성능평가 지표(AUC,민·특이도) 등 제시 ③ 「디지털의료제품 허가·인증·신고 심사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첨부서류 안내 개정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 심사 가이드리인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허가·심사 시 기술문서·첨부자료 작성방법 등 제시 기존 내장형·독립형 소프트웨어 관련 포괄적 내용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여럿이 자는 환경에서도, ‘내 숨소리’로 ..."수면 상태 분석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인영 · 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 연구팀이 에이슬립 홍준기 CTO 연구팀과 공동으로 ‘여럿이 함께 수면하는 환경에서도 각 개인의 숨소리를 분리해 개인별 수면 단계를 정확히 구분’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의 질과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표준검사다. 하지만 여러 센서를 부착해야하는 불편함, 높은 비용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반복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웨어러블 기기와 수면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주목 받고 있지만 그 정확도는 아직 수면다원검사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수면 분석 기술들은 대부분 혼자 수면하는 환경을 기준으로 설계돼있어 실제처럼 두 명 이상 수면하는 경우에는 숨소리, 뒤척임, 코골이 등 타인의 소음으로 인해 개인별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숨소리만으로 수면 단계(▲깨어있음 ▲렘(REM)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 공동 수면 상황에서도 개인마다의 수면 단계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성인 44쌍(총 88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