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이상 초고령자의 외과 수술 성공 이야기를 종종 접하게 된다. 최근 일본에서는 109세 여성이 맹장 수술을 성공리에 받았다. 한국인 평균 기대수명이 남성 76세, 여성 83세로 100세 시대에 가까워짐에 따라 안전한 수술적 치료가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 남성 1위암, 여성 4위암인 위암은 75세 이상의 고령층에서도 많이 발병하고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해지고 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외과 위암 연구팀(류창학, 손병호, 이성열)은 1999년부터 2009년까지 강북삼성병원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65세 이상 470명을 대상으로 75세 이상과 미만으로 구분하여 75세 이상 조기 위암 환자의 수술 안정성을 밝혔다.
또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위암 복강경 수술을 받은 133명과 개복수술 환자를 비교한 결과 두 수술의 예후가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위암 1기, 2기, 3기초기 수술 후 5년 생존율은 75세 전후로 차이가 별로 없었다. 3기후기, 4기에서 75세 미만의 생존율은 23%인 반면 75세 이후 생존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초기 위암 수술의 경우에는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에서도 75세 전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최소 부위 절개로 수술하는 복강경은 개복에 비해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퇴원이 빠르고, 흉터가 작아 미용효과가 뛰어나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의 장점은 고령자 수술에서 더욱 크게 부각 될 수 있다.
류창학교수는 “건강한 100세로 가는 첩경은 75세 이후에도 정기적 검사로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손병호교수는 “복강경 수술의 발전으로 고난이도 수술을 많이 대체하고 있다”며, “고령 위암 환자의 복강경 수술은 안전하면서도 좋은 예후를 보이고 있어 권장 할 만한 수술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