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학술·좌담회,심포지엄

암젠코리아, ‘골전이 고형암: 골격계 합병증 예방 치료’ 심포지엄 성료

지난 3일,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1 대한종양내과학회 국제학술대회(Kor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이하, KSMO)에서 골격계 합병증 예방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한 ‘골전이 고형암: 골격계 합병증 예방 치료’ 심포지엄을 성료했다.


심포지엄에서는 ‘골전이 고형암에서 골 표적치료제(Bone Targeted Agent)를 통한 최적의 골 건강 관리’를 주제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안진희 교수(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가 ‘골전이성 유방암의 다학제적 치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최윤지 교수(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종양혈액내과)가 ‘전립선암의 뼈 건강 관리’를 발표했다. 두 교수는 각각 골전이 유방암, 전립선암 환자를 중심으로 골격계 합병증이 환자의 생존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골격계 합병증 예방 치료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엑스지바®(성분명: 데노수맙)의 주요 치료상의 혜택을 조명했다.


이 날 좌장을 맡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경희 교수(영남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는 “암 진단과 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고형암 생존 기간이 연장되면서, 항암 치료와 더불어 환자의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치료에 대한 고민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특히 골격계 합병증은 골전이 고형암 환자에서 매우 흔한 삶의 질 저하 요인이므로4 적극적인 예방 치료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더 긴 생존 기간을 이끌어낼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생존율과 직결되는 골격계 합병증, 예방 치료 중요성 높아져
먼저 연자로 나선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안진희 교수는 “암 환자들에게 가장 흔한 전이 부위가 뼈이고 골전이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약 65~75%를 차지할 만큼 가장 흔하다”고 전하며, 유방암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골전이'의 치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암이 뼈로 전이된 상태인 골전이는 병리학적 골절, 척수 압박 등의 골격계 합병증을 유발하고 결국 통증, 신체적 자유의 박탈, 삶의 질 저하로 이어져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끼친다.3


안진희 교수는 “골전이 치료의 목표는 전이암 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을 늦추고 골전이로 인한 골격계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수술이나 방사선치료와 같은 국소적인 치료방법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엑스지바®와 같은 골격계 합병증 예방 치료제를 사용하면 골전이로 인한 골격계 합병증의 발생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통증의 악화를 지연시켜 마약성 진통제 사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유방암 골전이 환자 2,046명을 대상으로 골격계 합병증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엑스지바® 군과 졸레드론산 군을 직접 비교한 3상 임상연구에서, 엑스지바® 군은 졸레드론산 군 대비 첫 번째 골격계 합병증 발생을 18% 지연시켰다(HR 0.82; 95% CI, 0.71 to 0.95; P=0.01, superiority). 특히 엑스지바® 군은 시간이 지날수록 일관된 효과가 확인됐으며, 본 연구에서 첫 번째 골격계 합병증 발생 기간이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았다. 졸레드론산 군의 중앙값은 26.4개월이었다.


국내외 가이드라인, 증상과 상관 없이 골전이 소견 시 골격계 합병증 예방 ‘강력 권고’
두 번째 발표를 맡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최윤지 교수는 골전이가 빈번하게 호발 하는 또 다른 고형암 중 하나인 전립선암을 중심으로 골격계 합병증 예방 치료의 중요성을 소개했다. 최 교수는 전립선암 치료가 항암 치료와 골격계 합병증 예방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는 통합적인 전략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최윤지 교수는 “골전이 전립선암 환자는 통증 여부와 상관없이 골격계 합병증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이 소견을 발견한 즉시 항암 치료에 예방 치료를 추가해 최대한 환자의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골격계 합병증의 예방 치료는 최근 국내외 가이드라인에서 주요하게 권고되고 있다. 지난 해 미국비뇨기학회(AUA)는 전립선암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 골격계 합병증의 영향을 인지하고 가이드라인에서 데노수맙 등의 골격계 예방 치료 권고 레벨을 Grade C에서 Grade B로 변경했다.


 특히 지난해 유럽비뇨기학회(EAU) 가이드라인에서는 골격계 합병증 치료제를 강력 권고했을 뿐만 아니라, 엑스지바®가 졸레드론산 대비 골격계 합병증 예방과 지연 효과에서 우월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음을 직접 명시했다. 이 외에도 지난해 발표된 유럽임상종양학회(ESMO) 가이드라인과 국내 전이성 전립선암 치료 지침에서도 증상과 관계없이 골격계 예방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배너
배너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이니스트에스티-대원제약,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 개최...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관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23일 이니스트에스티, 대원제약과 함께 ‘제약바이오 오픈하우스’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오픈하우스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생산 현장을 직접 체험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오전 10시 충북 오송에 위치한 이니스트에스티 원료의약품 공장에서, 오후 1시에는 충북 진천에 위치한 대원제약 공장에서 각각 진행됐다. 협회는 참석자들에게 ‘제21대 대선 제약바이오 10대 정책 제안’과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을 위한 K-Pharma의 극복과제(KPBMA Brief)’를 소개하고 산업계의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오송 이니스트에스티 공장은 항생제 생산 시설로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원료의약품 cGMP 생산시설이다. 현장에는 한쌍수 이니스트에스티 사장이 직접 나와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를 맞이했다. 참석자들은 원료공급 안정화와 원료산업 활성화, 불순물 관리와 관련해 많은 질문을 던지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한 참석자는 “원료 자급화를 비롯한 의약품 공급망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국내 생산인프라에 대한 관심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