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청소년과 젊은 층에서 발생하는 여드름의 치료에 있어서 녹차 잎의 추출물인 폴리페놀의 주요 성분인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 가 매우 큰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국내 연구진이 시행한 실험실 연구 및 임상 시험을 통해서 입증되어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여드름은 정서적으로 예민한 청소년 및 청년 시기에 발생하여 환자들에게 큰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 뿐 아니라 적절하게 치료하지 못하면 얼굴에 영구히 흉터를 남긴다. 이러한 여드름의 발생 원인은 크게 피지의 과다한 분비, 모낭 각질의 과각화(보충설명),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 세균, 염증의 네 가지로 구분하는데 현재 여러 약제가 여드름 치료에 쓰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 약제들은 임상 효과와 동시에 다양한 부작용을 동반하여 환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데 예를 들어 레티노이드 도포제는 화끈거리고 타는 듯한 느낌의 자극을, 항생제 도포제는 항생제 저항성을 유발한다. 경구 레티노이드제는 가임기 여성에서 기형아 출산의 위험성과 함께, 간기능 이상, 지질 대사 이상 등을 자주 일으킨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인 새로운 약제의 개발은 여드름을 연구하는 피부 과학자에게는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이다.
녹차의 주성분인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 성분은 의학의 여러 분야에서 항암, 항염증, 항균 작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왔고 최근에는 지질 합성에 관여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서대헌 교수팀은 EGCG 의 특성이 여드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실험적, 임상적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였다. 그 결과 EGCG 성분이 여드름의 거의 모든 병인에 대해서 상당한 치료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실험실 연구에서 SEB-1 피지 세포주에 EGCG를 주입하였더니 지질 합성에 주로 관여하는 SREBP -1 인자의 합성이 억제되어 세포 내 지질 합성이 55%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지 세포의 자멸사도 관찰되어 EGCG가 피지 세포의 지질 합성과 증식을 동시에 억제함이 밝혀졌다. 이는 여드름뿐 아니라 심각한 지성 피부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도포 약제가 현재까지 거의 없었음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여드름의 주원인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세균은 피지세포로부터 각종 염증성 물질을 분비 시키는데 EGCG는 이를 50-95% 감소시키는 것이 증명되어, 여드름 관련 염증 반응이 억제됨을 시사하였다. EGCG는 또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세균 자체에 대해서도 95% 이상의 강한 살균 작용을 가짐이 밝혀졌다. 이외에도 모낭 각질의 과각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인터루킨 1-알파 (IL-1α) 의 분비 역시 80%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어 EGCG 는 여드름의 4대 주요 발병 요인 모두를 억제함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실험 연구를 토대로 연구팀은 35명의 여드름 환자를 대상으로 한쪽 뺨에는 EGCG를 포함한 약제를, 다른 뺨에는 기제만 포함된 위약을 하루에 2회 여드름 부위에 바르게 한 후 8주 동안 임상 관찰 및 피부조직 검사 등을 통해 여드름 상태를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