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흐림동두천 5.5℃
  • 맑음강릉 11.4℃
  • 구름많음서울 7.7℃
  • 박무대전 2.9℃
  • 구름많음대구 5.4℃
  • 흐림울산 10.2℃
  • 구름조금광주 5.4℃
  • 흐림부산 11.8℃
  • 맑음고창 3.4℃
  • 구름많음제주 13.6℃
  • 맑음강화 6.3℃
  • 맑음보은 0.0℃
  • 맑음금산 0.6℃
  • 구름많음강진군 4.9℃
  • 구름많음경주시 11.3℃
  • 흐림거제 9.5℃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알코올성 정신장애 환자 갈수록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 분석결과, 남성이 여성 보다 빠르게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5년간(2007~2011년) ‘알코올성 정신장애(F1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7년 6만6,196명에서 2011년 7만8,357명으로 1만2,161명이 늘어 연평균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07년 5만3,767명에서 2011년 6만3,859명으로 연평균 4.4%로 증가하였고, 여성은 2007년 1만2,429명에서 2011년 1만4,498명으로 연평균 3.9% 증가하여 남성의 증가율이 여성보다 높았다. 또한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은 2011년 기준 남성이 여성보다 4.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2007년 223명에서 2011년 257명으로, 여성은 2007년 52명에서 2011년 59명으로 모두 1.2배 가량 증가하였다.

2011년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알코올성 정신질환’ 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50대(316명) > 60대(310명) > 40대(239명) 순(順)이다.

이중 남성은 60대(583명) > 50대(545명) > 70대(473명) 순(順)이며, 여성은 40대(97명) > 50대(87명) > 30대(78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2007년 대비 2011년 증가율(인구 10만명당)을 살펴보면 20대 미만에서 증가폭이 두드러졌고, 30대 남성에서는 소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정신장애’로 인한 총진료비는 2007년 1,190억원에서 2011년 1,905억원으로 연평균 12.5% 증가하였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연평균 12.8%, 여성의 경우에는 연평균 10.0% 증가하였다. 또한, 2011년 기준 남성의 진료비는 여성에 비해 8.9배 많았다.

최근 5년간 ‘알코올성 정신장애’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를 살펴보면 2007년 179만8천원에서 2011년 243만1천원으로 약 1.4배 증가하였고, 남성의 진료비는 여성보다 약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을 기준으로 환자 1인당 진료비를 살펴보면 남성은 인구 10만명당 50대와 60대의 진료환자수가 많았으나 환자 1인당 평균진료비는 60대(3,544천원), 70대(3,519천원) 順(순)으로 많았고, 여성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40대, 50대 진료환자수가 많았으나, 환자 1인당 평균 진료비는 70대(2,300천원), 60대(1,968천원)順(순)으로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병욱 교수는 ‘알코올성 정신장애’ 질환의 치료법 및 예방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알코올성 정신장애’란?

- 과도한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여 내성이나 의존이 생기는 ‘알코올 사용장애’와 알코올로 인하여 인지기능이나 기분, 수면, 정신병적 증상 등이 생기는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를 알코올성 정신장애라 한다.

 
❍ ‘알코올성 정신장애’의 증상 및 합병증의 종류

- ‘알코올 사용장애’는 알코올 의존, 알코올 남용이 있으며,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는 알코올 금단, 알코올 금단 섬망, 알코올 유도성 기억장애, 알코올 유도성 치매, 망상이나 환각을 동반한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 알코올 유도성 기분 장애, 알코올 유도성 불안장애, 알코올 유도성 수면장애 등이 있다.

 
❍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주폭*’과 ‘알코올성 정신장애’의 관계

- 알코올은 뇌가 평소에 억압하고 있는 분노나 감정의 통제를 풀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술로 인해 긴장이 풀릴 때 공격적, 반사회적 행동이 나오는 것은 술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충동 조절의 어려움을 반영한다. 따라서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주폭’은 알코올성 정신 장애라기보다는 충동 조절 장애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알코올 유도성 정신 장애일 경우에는 만성적 음주로 인한 뇌의 변화를 동반하며 술을 마시지 않을 때에도 기분이나 불안, 충동 조절의 어려움들이 일관되게 나타난다.

* 주폭(酒暴) : 만취상태에서 상습적으로 상가, 주택가 등에서 인근 주민 등 선량한 시민들에게 폭력과 협박을 가하는 사회적 위해범

 
❍ ‘알코올성 정신장애’ 60대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

- 알코올성 정신장애는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알코올 사용 장애와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를 포함한다. 특히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는 만성적 음주로 인해 기억장애, 정신장애, 기분장애, 불안장애 등이 생기는 것이므로 수십 년 음주를 해 온 60대에서 젊은층 보다 더 많이 나타난다. 또한, 알코올 사용장애의 경우, 사회 경제적 활동을 하지 않게 되고 노년기의 정신적 위기를 맞게 되는 60대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 ‘알코올성 정신장애 ’의 치료법

- 알코올성 정신장애의 치료에는 개입, 해독, 재활의 3단계가 있고, 입원, 외래 치료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항갈망제 등 알코올에 대한 약물치료, 정신사회적 치료가 필요하고, 인지행동치료, 정신치료, 가족치료, 집단치료, 행동치료, 동기강화치료, 사회기술훈련 등도 필요하다. 치료 시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함은 물론이다. 재활은 환자에게 단주에 대한 동기를 고취시켜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다. 알코올로 인한 정신과적 장애는 각 증상에 따라 치료한다.

 

❍ ‘알코올성 정신장애 ’ 예방법

- 예방을 위해서, 음주에 대해 관대한 사회문화적 분위기가 바뀌어야 하고, 과도한 음주의 폐해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이 있어야 한다. 특히, 알코올성 정신장애가 질환이라는 인식을 고취시키고 조기 교육을 통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종근당홀딩스,ESG 문화계까지..2025 메세나대상 ‘문화공헌상’ 수상 종근당홀딩스(대표 최희남)는 11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5 메세나대상’에서 ‘문화공헌상’을 수상했다. 한국메세나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메세나대상은 1999년부터 국내 기업 중 문화예술 분야 발전에 헌신한 기업을 뽑아 매해 시상하는 행사다. 종근당홀딩스는 한국 화단을 이끌어갈 유망 신진작가를 발굴·후원하고 문화소외 계층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여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종근당홀딩스는 2012년부터 '종근당 예술지상'을 운영하여 매년 유망 회화작가 3명을 선정해 3년간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42명의 작가를 배출했으며, 선정 작가들은 후원 마지막 해에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2011년부터는 '오페라 희망이야기'를 통해 대학병원과 소아병동을 찾아 클래식과 오페라 공연을 선보이며 환자와 가족들에게 음악으로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종근당홀딩스 최희남 대표는 "예술은 사람을 위로하고 사회를 바꾸는 힘"이라며 "’Better Life Through Better Medicine’이라는 제약기업 종근당의 사명을 바탕으로 예술이 가진 공감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허리 통증, 단순 근육통 아닐 수 있어…디스크로 악화되는 경고 신호? 현대인의 생활방식은 점점 척추에 부담을 주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장시간 앉아서 일하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늘고, 운동 부족과 잘못된 자세가 더해지면서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처음에는 단순 근육통으로 여기기 쉽지만, 방치할 경우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가 진행돼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으로 악화될 수 있다.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하는 추간판이 손상돼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오면서 신경근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염증과 압박이 더해지면 요통뿐 아니라 다리로 내려가는 방사통, 감각 이상, 근력 저하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 추간판은 나이가 들수록 수분이 줄고 탄력이 떨어지면서 퇴행성 변화를 겪는다. 이로 인해 외부 압력에 쉽게 손상되고,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자극한다. 유전적 요인, 비만, 흡연도 퇴행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흡연은 추간판 내 혈류를 감소시켜 영양 공급을 방해하고, 체중 증가는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높인다. 젊은 층이라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앉거나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들면 추간판에 부담이 누적돼 탈출 위험이 커진다. 대표적인 증상은 요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