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해외소식

중국 의료 기기 시장... "미화 1790억 달러 돌파"

제90회 중국 국제의료기기박람회,오는 10월 선전서 개최

제90회 중국 국제의료기기박람회(China International Medical Equipment Fair, CMEF)가 2024년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선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150개국 이상에서 20만 명 이상이 참석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는 이 전시회는 최첨단 기술의 글로벌 쇼케이스로서 4천 개 이상의 기업이 최신 의료 장비를 전시할 예정이다. 중국일보(China Daily)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의료기기 시장은 2023년 시가총액이 1조 2700억 위안(미화 1790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CMEF는 40년 이상 국제 교류, 국경 간 무역, 다양한 협력을 위한 글로벌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사명을 굳건히 지켜왔다. CMEF는 10개의 전시관을 통해 업계 전반에 걸친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중국은 진화하는 의료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기술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뤄냈다.

휴대용 의료기기, 응급처치 효율성에 기여 세계경제포럼은 기후 위기로 인해 2050년까지 사망자가 145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극단적인 기상 이변이 증가함에 따라 응급 처치의 중요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높아졌다. 이에 중국 기업들은 현장 구조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보다 편리한 의료 기기를 개발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응급 전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DR) 시스템은 무게가 23kg에 불과하고 전원 공급 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X선 촬영 및 진단이 가능하다.

로봇 기술 발전으로 의료 정확도 향상

지능형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로봇 공학은 의료 분야에도 진출했다. 중국에서는 내시경 수술 로봇이 20개 이상의 병원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300건 이상의 수술을 지원했다. 이 제품은 3D 고화질 비전 시스템, 유연한 다자유도 로봇 팔 및 획기적인 그립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술 로봇은 수십 곳의 병원에서 임상 훈련과 시험 연구를 거쳤으며 60개 이상의 원격 수술에서 100%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

사물 인터넷(IoT) 통합으로 환자 경험 향상

IoT는 의료 서비스 효율성과 환자 경험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첨단 의료 영상 IT 솔루션은 여러 영상 촬영 장비와 의료 기관을 원활하게 연결한다. 이 솔루션의 주목할 만한 실현 사례 중 하나는 중국 남서부 국경에 위치한 선전 바오안 인민 병원(Shenzhen Baoan People's Hospital)과 자유 인민 병원(Zayu People's Hospital) 간의 협업에서 볼 수 있다. 3000km의 거리를 극복한 이 솔루션을 통해 외딴 지역 주민들이 의료 상담을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이 최고 수준의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올해 CMEF는 글로벌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해 위톡 글로벌 스테이지(WeTalk Global Stage)를 출범했다. 이탈리아 의료 생태계에 대해 이탈리아 총영사관이 주최한 애프터 이벤트에는 거의 100명이 참석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제90차 CMEF에서도 계속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칼럼/서울 집중 뇌전증지원예산..."지방의료 살려야" 2024년 12월말 뇌전증지원센터의 정부지원은 중단되었고, 2기 센터 공모가 지연되면서 뇌전증도움전화가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예상되는 혼란과 피해를 막기 위하여 홍승봉센터장은 뇌전증도움전화를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자비로 내용을 더 향상시켜서 운영하고 있었다. 그동안 단 한번 연락도 없다가 9월 초에 갑자기 지난 5년간 사용하고 많은 노력과 사랑으로 이룩한 뇌전증도움전화 번호와 홈페이지를 보건복지부와 2기 센터의 강한 반납 요청으로 뇌전증도움전화를 새롭게 1670-1142로 변경하였다. 죄송하다거나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 없었다. 예의도 염치도 배려도 없었다. 1기와 2기 뇌전증지원센터는 센터장, 구성원, 내용, 정책 등이 다르다. 선배, 스승의 노력과 업적을 양해나 상의도 없이 아래 직원들을 시켜서 가져갔다. 2019년 뇌전증지원예산 확보와 1기 센터 운영에 전혀 기여하지 않은 사람이다. 필자는 이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와 모멸감을 느꼈지만 전국 뇌전증 환자들을 위하여 1기 뇌전증지원센터를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하였고 이제 서울에 뇌전증지원센터 2개(1호, 2호)가 운영하게 되었다. 새로운 명칭의 국제뇌전증협회 공인 뇌전증지원센터(홍승봉센터장, 1호)는 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