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와 레저.신간

경복궁을 보는 새로운 시각, 경복궁 생각' 전시 개최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과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이 운영하는 ‘국가유산채널’이 7월 2일부터 7월 7일까지 경복궁에서 『경복궁 생각』 전시를 개최한다.

‘국가유산채널’은 유튜브 채널(youtube.com/koreanheritage)과 누리집(www.k-heritage.tv)으로 국가유산과 관련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보급하고 있다. 국가유산채널의 유튜브 구독자 수는 174만 4천여 명에 이르며, 대표 콘텐츠는 국가무형유산 ASMR, 국가유산 발굴스토리 등의 시리즈이다. 국가유산채널은 복권기금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경복궁 생각』 전시는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 공간에서 우리 국가유산을 알리고자 기획되었다. 우리나라 대표 국가유산인 경복궁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고, 듣고, 생각하며 국가유산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를 담았다.

전시는 크리에이티브 그룹 ‘아워 레이보(Our Labour)’에서 기획하였으며, 최인선 아트디렉터가 총감독을 맡았다.

전시는 근정전, 경회루, 향원정, 교태전, 영제교 등 경복궁의 주요 공간을 배경으로 한다. ‘보는 유산’에서 ‘생각하는 유산’으로의 전환을 주제로 구성되며, 경복궁의 창살 문양을 모티브로 제작한 ‘동심원(同心圓)’ 다섯 작품에 경복궁 곳곳의 역사적인 이야기를 담았다.

▲ ‘영제교 동심원’은 경복궁의 시작과 북악산, 인왕산의 상징성을 보여준다. ▲ ‘근정전 동심원’은 박석과 회랑, 예와 법을 중시한 ‘조선’을 표현했다. ▲ ‘경회루 동심원’은 경회루의 그림자를 통해 당시 연회와 외교 이야기를 담아냈다. ▲ ‘향원정 동심원’은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서울의 풍경을 담아내었으며, ▲ ‘교태전 동심원’은 탄생의 신비를 의미한다.

이와 함께, 경복궁 생과방에서는 국가유산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담은 ‘국가유산채널’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관람객들은 영상을 보며 쉼과 사색을 즐길 수 있다.

한편, 이번 전시는 케이팝 가수 슈퍼주니어 ‘예성’이 오디오 가이드로 참여하였다. 관람객들은 동심원(同心圓) 작품을 예성의 목소리와 함께 둘러보며 감상할 수 있다.

국가유산채널은 앞으로도 온⸱오프라인을 넘어 다양한 국가유산 콘텐츠를 제작·보급하여, 국가유산의 가치를 국내외에 알리고 국민과의 공감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가슴이 조여오거나 답답한 증상이 10분 이상 지속되고 호흡곤란 동반 ‘심근경색증’,환절기에 환자 급증...왜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며 가을이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에는 혈관이 급격히 수축하면서 심혈관계에 큰 부담이 가해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실제로 심근경색증 환자는 가을부터 늘기 시작해 겨울철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심근경색증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막히면서 심장 근육 일부가 괴사하는 질환이다. 협심증처럼 혈관이 점차 좁아져 흉통을 유발하는 경우와 다르게, 심근경색증은 혈류가 급격히 차단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심근경색증 환자는 2020년 12만2231명에서 2024년 14만3310명으로 4년 새 약 17% 증가했다. 환자 수의 증가는 고령 인구 확대,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같은 만성질환의 확산,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변재호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심혈관질환은 국내 사망 원인 2위,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로 알려질 정도로 치명적인 질환”이라며 “겉으로 증상이 없다가도 갑자기 악화해 급성 심장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증상은 극심한 가슴 통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