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SD(대표이사 김 알버트)는 9월 11일부터 9월 13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9회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국제학술대회(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BMT, ICBMT 2025)에서 자사의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이하 CMV) 감염 및 질환 예방 약제 '프레비미스(성분명 레테르모비르)'의 200일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호주 피터 맥캘럼 암센터(Peter Mac) 및 로열 멜버른 병원(Royal Melbourne Hospital) 국립 암 감염 센터의 미셸 용(Michelle Yong) 교수가 연자로 나섰다. 미셸 용 교수는 동종조혈모세포 이식수술(Hematopoietic stem-cell transplantation, 이하 HSCT) 시행 환자에서 CMV 감염 예방의 임상적 중요성과 함께 프레비미스 200일 연장 투여 효과에 대한 리얼월드 연구와 3상 임상연구 결과를 공유했다.
프레비미스를 1차 예방제(primary prophylaxis)로 사용한 HSCT 시행 환자 7,104명 대상 리얼월드 메타분석 결과, 프레비미스 투여군은 이식 후 100일 및 200일 시점에서 CMV 재활성화(pOR=0.13 및 0.24, p<0.05),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CMV 감염(Clinically significant CMV infection; csCMVi)(pOR=0.09 및 0.19, p<0.05), CMV 질환(pOR=0.31 및 0.35, p<0.05)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식 200일 이후에는 전체 사망 위험(pOR=0.73, P<.01)과 비재발 사망 위험(pOR=0.65, p=0.01)이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프레비미스 200일 연장 투여의 유효성 및 안전성은 3상 임상 연구를 통해서도 입증된 바 있다. 218명의 CMV 양성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HSCT 후 100일부터 최대 200일까지 CMV 예방을 위해 프레비미스를 연장 투여한 결과, 프레비미스 투여군의 CMV 감염 발생률은 3%로, 위약군의 19%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treatment difference −16·1% [95% CI −25·8 to −6·5]; p=0·0005).2 치료 과정에서 약물 독성으로 인한 중단이나 용량 감소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안전성 프로파일은 위약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
미셸 용 교수는 “HSCT 환자에서 CMV 관리 부담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임상적으로 큰 의미가 있으며, 프레비미스는 투여 기간을 200일까지 연장했을 때 뚜렷한 CMV 예방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1,2”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고위험군 환자에서 입증된 예방 효과는 프레비미스의 임상적 가치를 잘 보여주는 결과이며, 주요 국제 가이드라인에서도 프레비미스의 처방을 권고하고 있다 , , ,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