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와 레저.신간

2025 IFSC 서울 스포츠클라이밍 & 파라클라이밍 세계선수권대회 얀야 간브렛 1위 영예

사단법인 대한산악연맹(회장 조좌진)은 '2025 IFSC 서울 스포츠클라이밍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볼더 결승전에서 얀야 간브렛이 금메달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슬로베니아의 스포츠클라이밍 스타 얀야 간브렛(Janja Garnbret)은 볼더 결승에서 99.5점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실력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간브렛은 리드 금메달에 이어 볼더 종목까지 제패하며 2관왕에 올랐다. 이번 결승에서는 프랑스의 오리엔 베르톤(Oriane Bertone)이 85.0점으로 2위, 미국의 멜리나 코스탄자(Melina Costanza)가 59.8점으로 3위에 올라 각각 값진 메달을 획득했다.

얀야 간브렛은 세계 최정상급 클라이머로서 다시 한번 압도적인 기량을 입증하며 대회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했다. 완벽에 가까운 퍼포먼스는 관중들의 큰 환호를 이끌어냈으며, 이번 서울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리드에 이어 볼더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대회 2관왕에 올랐다. 간브렛은 이번 우승으로 4번째 볼더 금메달이자,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통산 10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편, 대한민국의 서채현 선수는 예선에서 94.7점을 기록하며 전체 17위로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준결승에서는 44.8점을 기록하며 아쉽게도 결승에는 오르지 못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통증으로 시작되는 무릎 관절염 ..쪼그려 앉기, 무거운 물건 들기, 장시간 운전 등 피하고 '이것' 하면 도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인 무릎은 체중을 직접 지탱하고, 보행과 같은 기본 동작을 담당한다. 그러나 노화, 과체중, 반복적인 외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점차 손상되고 만성 염증이 발생하면서 무릎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릎 관절염은 대표적인 퇴행성 관절 질환으로, 중장년층에서 가장 흔하며 최근 고령화로 인해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무릎 관절염의 가장 뚜렷한 증상은 통증이다. 초기에는 보행이나 활동 시에만 통증이 나타나지만, 진행되면 휴식 시에도 지속되고 심한 경우 수면 장애를 일으킨다. 또한 무릎이 붓거나 관절 내에 삼출액이 차고, 움직일 때 마찰음(crepitus)이 들리기도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관절 변형과 하지의 O자형 변형(genu varum)으로 보행 패턴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기온이 낮거나 비가 오는 날씨에는 관절 주변 근육과 인대가 수축해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가 흔하다. 무릎 관절염은 단순한 통증 질환이 아니다. 통증으로 활동을 줄이면 근력이 약화되고 체중 증가와 체력 저하, 나아가 우울감까지 동반해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따라서 적절한 운동은 무릎 관절염 관리의 핵심이다. 규칙적인 운동은 관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