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적절한 명칭인가 ?

2014 대한척추통증학회 전문가 토론회

대한척추통증학회가 주최하는 2014년도 춘계 학술대회에서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적절한 명칭인가?”라는 주제의 전문가 토론회가 2014년 04월 20일(일요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개최되었다.

대한척추통증학회는 척추 통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최신 치료법을 공유하기 위한 세계 유일의 척추통증 전문 학회로 올해로 24차 학술대회를 맞이했다.

 “Failed Back Surgery Syndrome”은 척추 수술 후 통증이 지속되는 질환을 일컫는 용어로, 한글로 “척추수술 실패 증후군”, “척추수술 후 증후군”, “척추수술 후 통증 증후군” 등으로 번역되어 현재까지 용어가 통일되어 사용되지 않고, 또한 “실패”라는 단어가 주는 의미로 인하여 의료진의 과실이 연상되게 하여 환자 및 의료진 양측에 불필요한 오해를 유발하여 혼란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번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척추 수술 후 통증이 지속되는 이른바 “Failed Back Surgery Syndrome”에 대하여 신경외과/정형외과/마취통증의학과/영상의학과 전문가를 비롯하여 의료전문 변호사가 참석하여 의학적 측면 및 법률적 측면, 사회적 측면에서 토론을 벌였다.

한양의대 심재철 교수와 우리들 병원 최건 원장을 좌장으로 모시고 진행된 이번 토론회에서는 문성환 교수 (연세의대), 강창호 교수(고려의대), 김경훈 교수(부산의대), 손병철 교수(가톨릭 의대), 이경권 의료전문 변호사(법무법인 LK 파트너스)가 토론에 참여하였다.

토론 결과, 수술 후 통증의 원인이 매우 다양하므로 “Failed” 라는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환자 및 의료진의 해석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의 개정이 필요함에 동의하였다. 우선적으로 의료진들이 이 진단명사용을 자제함과 동시에 대한척추통증학회를 위시하여 대한척추외과학회,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등 유관 단체의 전문의들이 task force team 과 같은 개정위원회의 구성을 합의하였다.

이번 자리는 그 동안 문제로 지적되어 오고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척추수술 실패증후군”이라는 진단명에 대해 개정의 필요성 및 대 정부, 대 국민 설득작업의 필요성을 합의한 최초의 모임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높다 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일반식품을 ‘먹는 위고비’, ‘식욕억제제’ 등으로 광고 하다 덜미.. 324억 원 상당 판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누리소통망(SNS) 등에서 일반식품을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비만치료제로 불법 광고하여 판매한 5개 업체 대표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유튜브 등 누리소통망(SNS)에서 인플루언서가 과·채가공품 등 일반식품을 비만 치료, 식욕억제 등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확인하고 정확한 위반 경위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 결과 피의자들은 인플루언서의 블로그,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일반식품을 ‘먹는 위고비(비만치료제)’, ‘식욕억제제’, ‘체지방 감소’ 등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처럼 부당 광고하고, 해당 광고에 판매사이트가 연결되도록 링크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2024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324억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의자들은 개인 SNS에 특정 제품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노려 인플루언서에게 ‘한 달에 7kg 감량’, ‘초강력 식욕억제’ 등 광고 키워드를 전달하고 해당 키워드를 활용해 자신의 체험 후기인 것처럼 영상 등을 제작하여 게시하도록 하는 수법으로 불법 광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