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인(P] 함유 식품첨가물 안전정보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인산염은 전세계적으로 안전성이 인정된 품목이며, 우리나라 국민의 인(P)섭취량 조사 결과 안전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인삼염의 종류와 사용실태
인(P)은 필수 무기질 성분으로 인산염의 형태로 사람, 동․식물 등 모든 생물체에 천연 성분으로 존재하며, 식품 중 단백질이 높은 식품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식품 원료에 천연으로 존재하는 인(P)과 식품첨가물로 사용된 인산염의 인은 체내 대사과정이 동일하다.
   

우리나라에서 식품첨가물로 지정된 인산염은 인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칼슘염 등 27 품목이며, 유화제, 산도조절제, 영양강화제 등의 용도로 식품의 제조․가공 과정에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인산염 사용실태를 보면, 빵류, 기타가공품, 복합조미식품 순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사용하는 종류는 폴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제일인산칼슘 등 이다.

인(P) 섭취는 안전한 수준
식품첨가물 인산염은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에서 안전성이 확인된 품목이다. 
 

우리나라 국민은 주로 백미, 우유 등을 통하여 하루 평균 1,193mg/day의 인(P)을 섭취하고 있으며, 이는 인(P)의 인체안전기준인 1일 최대섭취한계량(MTDI)  70mg/kg·bw/day(체중 60kg 성인 기준 4,200mg)의 28%로 안전한 수준이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인(P)을 섭취하는 주요 식품은 백미(264.9mg), 우유(71.2mg), 돼지고기(50.2mg), 달걀(41.6mg), 김치(39.8mg) 순으로 이들 5품목이 하루 평균 인 섭취량의 약 40%를 차지하여 식품첨가물인 인산염 보다는 일반 농·축산물을 통해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약처는 인산염의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소비자의 인식 전환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서 다양한 대국민 홍보 및 교육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품첨가물 관련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식품첨가물정보방(http://www.mfds.go.kr/fa)]에서 확인 가능하다.

 

 

인(P) 함유 식품첨가물에 대해 알아봅시다

Q1. 인(P)이란 무엇인가요?
 ☞ 인은 원자번호가 15이고 원소기호는 P(Phosphorous)로 표시하며, 상온에서 고체상태로 존재하는 비금속 물질입니다. 인은 생명체에 필수적인 원소로 동물의 뼈와 치아, 세포막의 인지질, 아데노신삼인산(ATP), 핵산(DNA, RNA)의 구성원소이고,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원으로 사용됩니다.

 

 

< 인체에서 인(P)의

역할 >

 

 

 

존재

형태

○ 인(P)은 인체에서 칼슘 다음으로 많은 무기질로 성인남자 체내에 약 700g 정도 함유(85% 뼈와 치아, 15%는 세포내․외액에 존재)

무기 인의 50% 정도는 혈액내에서 인산이온으로 존재, 50%는 단백질 등과 결합한 형태로 존재

※ 인은 신생아 체중의 0.5%, 성인 체중의 0.65~1.1%를 차지

※ 골격은 칼슘 38%, 인(P) 54%, 기타 8%로 구성 됨

역할

○ 체액의 완충제 역할을 수행

수소이온의 배설을 도와 체액의 산도 유지 등 인체의 항상성 유지 역할

고에너지 인산결합 형태로 존재하고 인지질로서 생체막의 구성성분

흡수

○ 주로 무기인의 형태로 흡수

인의 흡수는 인의 형태, pH의 영향을 받음

※ 인(P) 흡수율 : 성인 60~70%, 영아 모유 85~90%(우유 65~70%)

배설

○ 주로 신장에서 일어나며 혈청의 무기인산은 사구체에서 여과되고 근위 세뇨관에서 재흡수 됨

○ 섭취량, 흡수량이 많거나 혈청농도가 놓을수록 배설량은 증가

※ 부갑상선 항진증, 산독증일 경우 배설량이 증가하고 기아상태나 영양불량 상태에서는 배설량이 감소

출처 : 2010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한국영양학회)

Q2. 인산염은 무엇인가요?
 ☞ 지각에 존재하는 인광석을 건식법, 습식법 등의 방법으로 화학반응 및 정제과정을 통해서 인산(H3PO4)을 제조하고, 인산은 식품에서 산도조절제 등 기능의 식품첨가물로 사용됩니다.
 

 ☞ 인산에 염(Ca, Na, K, NH4)을 가하여 인산염을 생산하는데 동·식물 등에도 인산염(phosphate)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Q3. 식품첨가물인 인산염의 안전성은?
 ☞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 유럽식품안전청(EFSA) 등 국제적으로 식품첨가물로서 안전성이 확인된 품목입니다.
 

 ☞ 인산염의 인체안전기준치는 영양성분인 인(P)으로서 MTDI*를 70mg/ kg·bw/day로 평가되어 있습니다.
     * 1일최대섭취한계량(Maximum tolerable daily intake) : 영양성분인 무기질 등과 같이 축적성이 없는 물질에 적용되는 값으로, 식품 중에 존재하여 인체 노출되는 물질의 한계량을 의미함
 

 ☞ 즉, 체중이 60kg인 성인이 매일 평생 동안 4,200mg의 인을 섭취해도 건강상의 위해는 나타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Q4. 식품첨가물인 인산염의 종류는?
 ☞ 국내 식품첨가물로 지정·고시된 인산염은 인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칼슘염 등으로 27품목으로 인산염 종류에 따라 인을 10~29% 함유하고 있으며, 각 특성에 따라 식품의 제조․가공 시 사용되고 있습니다.    

* Codex 28품목, EU에는 24품목의 인산염이 식품첨가물로 지정

 

Q5. 인(P)은 식품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성분인지?
 ☞ 인은 인산염(phosphate)의 형태로 사람, 동·식물 등 모든 생물체에 천연 성분으로 존재하는 필수 무기질 성분입니다.
 

 ☞ 식품 중에는 인산염이온 형태로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특히 단백질 함량이 높은 식품에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참고자료 3>
    

 * 식품 중 인 함유량(단위 : mg/100g, EFSA '06년)    

유가공품

식육류

어류

곡류

100∼900

200

200

100∼300


Q6. 식품원료에 천연으로 존재하는 인(P)과 식품첨가물 인산염의 인은 차이점이 있는지?
 ☞ 식품원료에 천연으로 존재하는 인과 식품첨가물로 사용된 인산염의 인은 체내 대사과정은 동일하나, 인산염의 결합물질에 따른 흡수율의 차이가 있습니다.
 

 ☞ 식물에 함유된 인은 체내 대사가 어려운 피틴산(phytic acid)과 결합되어 있어 흡수율이 낮으며, 동물 유래 인과 식품첨가물 인산염의 경우, 가수분해를 통해 인이 분리되어 쉽게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출처 : 2010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한국영양학회)
 
Q7. 식품에 인산염을 사용하는 이유 및 사용현황은?
 ☞ 식품에 인산염을 사용하는 이유는 인산염이 금속이온과 착염을 형성하고, pH 안정을 위한 완충작용을 하고, 유화 안전성을 높이고, 보수력 증가와 흡수력을 촉진시키는 등의 다양한 기능이 있어서 식품의 맛, 향, 색 등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 인산염은 빵류, 복합조미식품, 기타가공품 순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종류는 폴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인산염은 다양한 식품에 산도조절, 영양강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통 중인 식품에는 일반적으로 0.1~1.6% 수준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Q8. 우리나라 국민의 인 섭취수준은 안전한가요?
 ☞ 우리국민이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인의 양은 하루 평균 1,193mg으로 주요 식품원은 백미(264.9mg), 우유(71.2mg), 돼지고기(50.2mg), 달걀(41.6mg), 김치(39.8mg) 순으로 이들 5품목이 하루 인 섭취량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참고자료 2>
     * 출처 :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이는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 위원회에서 설정한 인의 1일최대섭취한계량(MTDI)의 28%(성인 60kg 기준) 섭취하고 있어 안전한 수준입니다.
 

 ☞ 참고로, 유럽식품안전청(EFSA, ‘06)에 의하면, 성인의 경우, 일반적인 식이를 통해 섭취되는 인의 양은 하루 1,110∼1,570mg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Q9. 식약처의 향후 계획은?
 ☞ 식품첨가물인 인산염류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하여 올바른 인산염 사용과 관련하여 현장 맞춤형 홍보․교육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또한, 식품첨가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개선을 위해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신속 정확한 정보제공 및 교육․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2011년 인 섭취량의 주요 기여식품

순위

식품명

섭취량(mg/day)

기여도(%)

1

백미

264.9

22.2

2

우유

71.2

6.0

3

돼지고기

50.2

4.2

4

달걀

41.6

3.5

5

김치,배추김치

39.8

3.3

6

닭고기

31.5

2.6

7

쇠고기

31.4

2.6

8

멸치

30.5

2.6

9

두부

29.6

2.5

10

대두

20.8

1.7

11

커피

18.6

1.6

12

찹쌀

16.7

1.4

13

오징어

16.7

1.4

14

15.4

1.3

15

현미

15.1

1.3

16

라면

14.5

1.2

17

13.6

1.1

18

감자

12.5

1.0

19

보리

12.0

1.0

20

고등어

11.6

1.0

21

맥주

11.2

0.9

22

간장

10.6

0.9

23

명태/동태

9.9

0.8

24

돼지고기가공품,햄

9.6

0.8

25

된장

9.2

0.8

26

요구르트, 호상

9.2

0.8

27

다랑어

8.6

0.7

28

국수

7.8

0.7

29

양파

7.8

0.7

30

오이

7.6

0.6

※ 출처 :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중 인(P) 함량

연번

품명

인(mg/100g)

연번

품명

인(mg/100g)

1

치즈(가공치즈)

844

44

팽이버섯

75

2

치즈(파마산)

729

45

깻잎

72

3

쥐눈이콩

631

46

석이버섯

57

4

대두(노란)

620

47

느타리버섯

54

5

대두(흑태)

576

48

열무

48

6

치즈(모짜렐라)

416

49

떡(찹쌀)

46

7

작두콩(도두)

353

50

애호박

44

8

홍차티백

320

51

배추(봄동)

40

9

현미(쌀)

225

52

배추(얼갈이)

40

10

현미녹차티백

220

53

당근

38

11

닭고기(가슴살)

203

54

단호박

37

12

돼지고기(갈비)

196

55

토마토케첩

36

13

닭고기(다리)

184

56

양배추

35

14

쇠고기(우둔)

180

57

송이버섯

34

15

쇠고기(안심)

175

58

파프리카

32

16

쇠고기(등심)

172

59

호박

30

17

커피원두(볶은것)

168

60

양파

30

18

돼지고기(목살)

163

61

딸기

30

19

완두

161

62

포도(캠벌얼리)

29

20

쇠고기(양지)

158

63

알타리

28

21

쇠고기(사태)

156

64

포고버섯

28

22

재래간장

155

65

요구르트(액상)

28

23

돼지고기(등심)

152

66

양상추

27

24

백미(쌀)

151

67

고추

26

25

양조간장

146

68

키위

26

26

된장

142

69

배추

25

27

돼지고기(삼겹살)

132

70

적상추

25

28

카레가루

132

71

서양호박

24

29

보리

127

72

한라봉

24

30

쇠고기(채끝)

111

73

23

31

쇠고기(갈비)

110

74

돼지고기(안심)

22

32

닭고기(살코기)

110

75

버터

22

33

치즈(자연치즈)

103

76

오렌지

20

34

양송이버섯

102

77

바나나

18

35

고추장

102

78

맥주

18

36

아이스크림(딸기)

100

79

마가린

13

37

강낭콩

97

80

수박

12

38

우유(저지방)

95

81

11

39

우유(탈지)

95

82

감귤(조생)

11

40

닭고기(날개)

89

83

사과

10

41

우유(보통)

89

84

콜라

10

42

요구르트(호상)

87

85

사이다

1

43

아이스크림(바닐라)

78

 

 

 

※ 출처 : 국가표준 식품성분표(농촌진흥청)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학교·유치원 급식시설 및 식재료 공급업체 13곳, 식품위생법 위반 행정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가을 학기 식중독 예방을 위해 학교·유치원 집단급식소, 식재료 공급업체 및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 어린이 기호 식품 조리·판매업소 등 38,509곳을 집중 점검한 결과,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15곳을 적발하고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어린이·청소년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17개 지방자치단체, 시·도 교육청과 함께 8월 22일부터 9월 18일까지 실시하고, 조리식품과 조리기구 등의 식중독균 오염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수거·검사도 실시했다. -학교·유치원 집단급식소 및 식재료 공급업체 위반 내역 점검 결과 주요 위반 내용은 ▲소비기한 경과 제품 보관(9건) ▲원료보관실 청결 미흡 등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3건) ▲보존식 미보관(2건) ▲건강진단 미실시(1건)이다. 이번에 적발된 집단급식소 등은 6개월 이내에 다시 점검하고,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는 전담관리원*이 상시로 점검하여 개선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위반 내역 아울러 조리식품·기구 등 1,183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조리식품 2건에서 대장균과 바실루스 세레우스가 초과 검출되어 해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종근당, ‘더마그램 피디알엔크림’, ‘더마그램 연질캡슐’ 출시..."피부 치료 솔루션 라인업 확대" 주목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24일 피부 질환 치료 일반의약품 ‘더마그램(Dermagram)’의 신제품 ‘더마그램 피디알엔 크림’과 ‘더마그램 연질캡슐’을 출시(사진)했다. ‘더마그램 피디알엔 크림’은 피부 조직 재생 성분인 PDRN(Polydeoxyribonucleotide)을 주성분으로 한 크림 제형의 일반의약품이다. 피부 및 결합조직의 영양부족으로 인한 상처와 궤양이 생기기 쉬운 부위에 영양을 공급해준다. 특허 받은 Prism-Technology 공법을 적용한 저분자 PDRN을 사용해 입자를 균일화하고 피부 투과율을 높였으며, 덱스판테놀을 더해 손상된 피부 장벽을 빠르게 회복하도록 설계됐다. 10g과 30g 두 가지 용량으로 출시됐으며, 스테로이드·인공향료·항생제·색소를 첨가하지 않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30g 제품에는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에어리스 펌프 용기를 적용해 위생성과 사용 편의성을 강화했다. ‘더마그램 연질캡슐’은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인 L-시스틴을 주성분으로 한 경구용 의약품으로 여드름 및 각질 질환의 보조 치료에 효과적이다. 임상시험에서 복용 2주 후 면포(화이트헤드, 블랙헤드)·구진(붉은 여드름) 감소 및 색소 침착 완화 효과가 확인됐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젊을 때 심혈관 건강 관리....중년 이후 심뇌혈관·신장질환 위험 낮춘다 젊은 성인기의 누적된 심혈관 건강 관리가 중년기의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호규 교수, 하경화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지종현 교수 연구팀은 30대에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심혈관 건강 상태를 유지한 경우, 중년 이후 심뇌혈관질환이나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최대 70% 이상 낮출 수 있다고 24일 밝혔다.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과 만성콩팥병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공통된 위험인자를 갖고 있다. 이 위험인자들은 젊은 성인기부터 누적돼 중년기 이후 질병 발생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장기적인 질병 예방을 위해서는 조기 단계에서 위험인자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연구들은 심혈관 건강 수준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유지될 때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으나, 대부분 중년 이후의 건강 상태에만 초점을 맞춰 왔다. 젊은 시기의 심혈관 건강이 중년 이후 질병 발생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은 충분히 규명되지 못했으며, 대부분 단기 시점의 심혈관 건강만을 평가해 장기간 누적된 심혈관 건강 상태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