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 힐링캠프 개최

“난 혼자가 아니란 걸 알았어요. 함께 웃고 떠들 수 있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데요.”

10살인 혜진이는 또래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태어날 때부터 신장이 좋지 않아 생후 30개월부터 혈액 투석을 했다. 다행이 7살 때 신장을 이식 받았지만, ‘학교 집 병원’ 생활이 반복되다 보니 주변에 친구도 많이 없다.

14일 경기도 이천 자연나라 캠핑장. 100여명의 아이와 어른들이 한 곳에 모였다.

이날은 혜진이와 같이 어릴 때 장기를 이식 받은 아이와 가족들을 위한 희망캠프가 열린 날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가 신장 또는 간을 이식을 받은 아이와 가족에게 올바른 의학정보를 전달하고, 의료진과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했다.   

희망캠프에는 이식혈관외과 하종원, 민상일 교수, 소아청소년과 강희경, 최현진 교수 등 장기이식센터 의료진이 함께 했다.

캠프 첫날, 중학교 2학년 때 신장이식을 받고 건강하게 지내는 오승목 씨(29세, 직장인)가 평생 먹는 면역억제제를 한 번도 거르지 않고 먹는 방법, 해외여행을 갈 때 면역억제제를 준비하는 방법 등 구체적인 노하우와 경험담을 애기했다.

아이들은 명랑운동회, 곡식미로, 모래체험 등 야외 체육활동을 하며 몸을 튼튼히 하고, 비젼 멘토링을 통해 자기의 꿈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저녁에는 캠프파이어와 레크리에이션 시간이 마련되어 아이들과 가족, 의료진이 더욱 친밀하고 돈독한 시간을 가졌다.
 
다음날, 참가자들은 기상미션을 하며 푸짐한 상품을 받았고, 캠프장 숲길을 산책하며 푸른 자연의 기운을 느꼈다.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은 장미영 영양사의 건강한 식생활 강의와 송상희 코디네이터의 O/X 퀴즈는 아이들에게 건강정보를 복습하는 시간을 갖게 했다.

한 참가자는 “의사가 아닌 한 아이의 부모 입장에서 소통하고 공감해 주셔서 너무 좋았다. 특히 병원에서 다 묻지 못한 다양한 궁금증을 잘 들어주고 해결해줘서 많은 도움이 됐다” 며 의료진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이식혈관외과 하종원 교수는 "장기이식 후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환자, 보호자와 의료진이 함께 최선을 다해야 한다. 희망캠프는 아이들과 가족들이 의료진과 함께 자연과 문화를 즐기면서 함께하는 유익한 시간 이었다"고 말했다.

장기이식센터장 안규리 교수는 "우리 아이들이 희망캠프를 통해 좀 더 밝고 긍정적인 미래를 기대하며 성장하기를 기대 한다"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국내 최초로 1969년 신장이식, 1988년 간이식을 성공한 이래, 우리나라 장기이식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특히 서울대병원은 국내 소아 신장이식 환자의 절반 이상을 이식한 만큼, 우수성과 성공률을 인정받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