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비바 시스템즈, 클라우드 기반 CRM 소프트웨어 세미나 개최

제약 및 생명과학 산업에 특화된 클라우드 제공하는 비바

굴지의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업체인 비바 시스템즈(Veeva Systems)는 성공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한 것을 기념하여 2014년 10월 16일 오후4시 서울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클라우드 기반 CRM 소프트웨어에 관한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클라우드 시스템이 지닌 고유의 민첩성과 유연성,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다양한 채널로 고객 및 영업관리를 최적화하는 방안에 초점을 맞춰 진행될 예정이다. 먼저 특별 초청 연사인 법무법인 율촌의 이석준 변호사가 최근 리베이트 관련 규제 동향과 컴플라이언스의 중요성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고, 뒤이어 비바 시스템즈 아시아 및 남미 지역 총 책임자인 더그 에첼(Doug Etzel) 이 규제가 심한 제약 및 생명과학 산업에 특화되어 디자인된 클라우드 솔루션의 빠른 도입 추세에 대해 설명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비바 CRM솔루션의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시행사례도 공유될 예정이다.

알렉스 패리스(Alex Paris) 비바 시스템즈 아태 지역 총 책임자는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한국 기업들은 이에 발맞춰 빠르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당국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규약 준수도 확실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기업들은 비바 CRM을 이용하여 고객들에게 다양한 경로로 규약에 맞는 적절한 정보를 때맞춰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영업 전략과 고객과의 관계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비바 CRM은 고객 정보, 멀티채널 상호작용, 규약에 맞는 콘텐츠를 하나로 통합한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인 비바 커머셜 클라우드(Commercial Cloud)의 일부이다. 클라우드 상에서 매끄럽게 상호 운용되는 비바 CRM, 비바 네트워크 고객 마스터(Network Customer Master)와 규제된 콘텐츠 관리를 위한 비바 볼트(Vault )를 이용하면 기업들은 규약을 지키면서 모든 채널에 걸쳐 개인화된 고객 경험을 선보일 수 있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제약사 및 생명과학 기업의 영업∙마케팅 관련 부서 팀장과 임원들을 위한 소규모의 특별 행사로 기획되었다. 세미나 참가나 세미나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주)휴커뮤니케이션즈 윤지영씨에게 전화(02-783-9078) 또는 이메일(jiyoung@whewcomms.com)로 문의하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방사선 피폭사고 대응 모의훈련 실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5일 가상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사고 재난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방사선 관련 시설에서의 피폭사고 발생을 가정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대응 절차를 정립함으로써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방사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현장훈련의 단점인 공간 제약, 높은 비용, 인력 소모, 일회성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가상 병원 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했다. 플랫폼은 실제 병원 구조와 부서 위치, 환자 흐름 등을 삼차원(3D) 기반으로 디지털 공간에 구현하고, 방사선 피폭사고 발생 시 환자 이동, 진료, 보고 등의 절차를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부서의 동시 접속 및 협업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의훈련이 가능하다. 훈련은 ▲방사성동위원소 노출(핵의학과) ▲방사선발생장치 이상(진단검사의학과 혈액조사기실) ▲방사선 방어 기구 미착용(응급CT 검사실)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참여 부서는 상황 전파, 초기 조치, 원내외 보고, 오염 확산 방지, 재난환자 분류‧진료‧이송 등 정해진 절차에 따랐다. 훈련은 결과 공유 및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