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MKA),발전 방안 필요

문정림 의원,연수 효과 향상 및 지속을 위한 의료기술 술기 교육센터 등 시설과 예산 지원해야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비례대표)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보산진)으로부터 제출받은 2014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7년부터 보산진이 외국 의료인력에게 우리나라의 선진의료지식과 기술을 연수·교육하고자 실시하고 있는「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MKA, Medical Korea Academy)」이 외국인 환자 유치와 지원국에 대한 한국의료 영향력 강화 등의 성과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의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발전 방안을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문정림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7년 5개국 16명을 시작으로, 2014년까지 총 20개국 253명의 외국 의료진이「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MKA, Medical Korea Academy)」를 통해 연수를 받았고, 지난 7년간 꾸준한 증가 추세(2011년 33명 → 2014년 41명)에 있다[표1].

1] 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 국적별 연수생 수
 

년도 연수 참가국인원합계
일본중국몽골

인도스리랑카캄보디아라오스사우디러시아
우즈벡키르기앙골라필리핀인니

네팔모로코우크라이나
2007134 2 6             16
(5개국)
16
2008 65  2 2   2 1      18
(6개국)
18
2009 742  10 355         36
(7개국)
36
20101 543     14         17
(5개국)
34
2 323     25 2       17
(6개국)
20111 141     45 1       16
(6개국)
33
2 312     244        17
(6개국)
20121 331     134  2     17
(8개국)
35
2 26       22  22    18
(6개국)
20131   1     175        14
(4개국)
40
2 421  1  231        14
(7개국)
3 3 2     151        12
(5개국)
20141 4       34   121   15
(6개국)
41
2 5       512 1    11126
(7개국)
합 계144351622172327471931541111253
20 개국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2] 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 참여 상위 5개국 국적별 연수생 수
 

 카작 중국몽골러시아우즈벡
2007~20133837351918
201444 3 
합계4241352218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의 연수를 받은 외국의료진은 한국의 의료기술을 현지에서 활용하는 한편, 국내연수기관의 환자유치 네트워크를 통해 현지 환자들을 한국 의료기관으로 추천하여 외국인 환자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통계로도 확인되었다. 연수생 참여가 가장 많은 카자흐스탄, 중국, 몽골,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등 5개 국은 모두 외국인 환자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상위 6개 국가에 해당했다[표2][그림1].


 
문정림 의원은 “「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의 효과가 입증된 만큼,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해당국가 환자유치 성과·사례 조사, 국내 의료 우수성 홍보, 연수생 및 수료생 DB 구축을 통한 네트워크 강화 등「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지원국을 한국의 선진 의료기술·체계에 편입시킬 수 있도록 의료기술 술기센터 시설과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정림 의원은 “「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을 기반으로 해외환자 유치 등 한국 의료관광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보산원을 비롯한 범부처간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카자흐스탄, 러시아, 중국 등 환자 증가율이 높은 국가를 해외한자유치 활성화지원사업 전략국가로 선정하고, 해당국의 증가율 추이 및 의료관광 경쟁국 여부 등을 고려하여 외국인 의료인력 연수사업」을 실시하고, 정부차원의 보건의료 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연수후보자 추천, 후속·연계사업 등을 협의하라”고 제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금연보조제 구매 시, 허위·과대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의약품·의약외품 표시 확인 후 구입해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5월 31일 ‘세계 금연의 날’을 계기로 금연을 계획하고 있는 흡연자들을 위해 금연보조제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주의사항을 안내한다고 밝혔다. 금연보조제는 금연을 보조할 수 있는 금연보조 의약외품(흡연욕구저하제품, 흡연습관개선제품)과 의약품 등으로 분류되며 각 제품의 종류별 특성, 올바른 사용법 및 주의사항 등은 다음과 같다 금연보조 의약외품은 니코틴이 함유되지 않은 것(연초[잎담배] 함유 제품 제외)으로, 담배의 흡연욕구를 저하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흡연욕구저하제’와 담배와 유사한 형태로 공기를 흡입하여 흡연 습관 개선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흡연습관개선보조제’로 구분된다. 금연보조 의약품은 체내 니코틴 농도가 낮아지면서 나타나는 흡연욕구와 갈망, 불안·초조, 우울 등 니코틴 금단증상을 완화하여 금연에 도움을 준다. 담배를 대신해 니코틴을 공급하여 흡연 욕구와 금단증상을 줄일 수 있는 일반의약품(주성분: 니코틴)과 니코틴 의존성을 완화해 흡연량을 감소시키는 전문의약품(주성분: 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으로 구분된다. 의약외품 금연보조제는 흡연욕구를 참기 힘들거나 흡연습관 개선이 필요할 때 불을 붙이지 않고 담배 피우듯이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