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6℃
  • 구름많음강릉 11.4℃
  • 연무서울 11.1℃
  • 구름많음대전 9.1℃
  • 구름많음대구 8.4℃
  • 구름많음울산 11.0℃
  • 맑음광주 10.8℃
  • 구름많음부산 13.1℃
  • 맑음고창 13.1℃
  • 흐림제주 15.8℃
  • 구름조금강화 11.2℃
  • 맑음보은 5.3℃
  • 맑음금산 7.4℃
  • 구름많음강진군 8.0℃
  • 구름많음경주시 8.5℃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 폭식증’ 환자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많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 폭식증(F50.2∼50.3)’ 에 대한 2008∼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폭식증의 전체 진료인원은 2008년 1,501명에서 2013년 1,796명으로 연평균 3.7% 증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폭식증 진료인원은 2013년 기준 남성이 112명, 여성이 1,684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명, %)

<2008~2013년 연도별 ‘ 폭식증’ 진료현황>
구 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연평균 증가율‘08년 대비 ‘13년
폭식증전체1,5011,4831,6071,8181,9921,7963.719.7
남성67688510312311210.867.2
여성1,4341,4151,5221,7151,8691,6843.317.4

폭식증의 연령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으로 20∼30대가 진료인원의 70.6%를 차지하였다.

여성의 경우 20∼30대가 여성 진료인원의 71.0%를 차지하였고, 이 중 20대가 44.9%를 차지하였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진료인원이 많지 않지만 여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0∼30대가 남성 진료인원의 65.2%를 차지하고 있다.

2013년 성별·연령대별 ‘ 폭식증’ 진료인원 - 첨부파일 참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 폭식증’ 진료인원중 20대 여성이 많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20대 여성은 이제 막 경쟁사회에 뛰어든 사회초년병으로서 취업에 대한 고민이 심하고, 결혼과 같은 인생의 중대사를 결정해야 하는 시기이다. 게다가 미모와 날씬함을 강요하는 사회분위기로 인해 성형, 무리한 다이어트 등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크게 받기 때문에 진료인원 중 20대 여성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10대 중반 거식증으로 발생한 섭식장애 환자가 폭식증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2008∼2013년‘ 폭식증’ 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추이를 살펴보면‘ 폭식증’ 으로 인한 2013년 전체 진료비는 2008년 4억 3천만원에서 30.3% 증가한 5억 6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진료형태별로 살펴보면 2013년 기준 입원 진료가 전체 진료비의 30.3%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외래가 56.7%로 나타났으며, 약국 조제료 등은 전체 진료비의 13.0%를 차지했다.

                         <2008~2013년 진료형태별 ‘ 폭식증’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단위 : 만원, %)

 
구분200820092010201120122013연평균 증가율
전체43,71045,94749,87162,07461,60756,9565.4
입원17,290 (39.6)19,765 (43.0)18,595 (37.3)23,068 (37.2)19,288 (31.3)17,234 (30.3)-0.1
외래20,234 (46.3)20,437 (44.5)24,645 (49.4)30,237 (48.7)34,783 (56.5)32,339 (56.7)9.8
약국6,186 (14.2)5,744 (12.5)6,631 (13.3)8,768 (14.1)7,536 (12.2)7,382 (13.0)3.6

주: ( )는 전체 진료비 대비 각 진료형태별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폭식증’ 질환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폭식증’ 의 정의

끼니를 걸러 배가 많이 고픈 상태에서 몰아먹는 것을 흔히 과식이라고 하지만, 폭식은 일정한 시간(ex. 2시간) 안에 다른 사람들이 먹는 것에 비해 뚜렷하게 많은 음식을 먹으면서 음식이 조절되지 않는 느낌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폭식 후 체중증가를 막기 위해 구토하거나 설사약 등을 사용하는 부적절한 보상행동(구토, 설사제 사용, 지나친 운동 등)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행동이 3개월 동안 평균적으로 1주에 2회 이상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자신의 체중과 체형에 대하여 과도하게 집착하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 폭식증’ 의 원인

심리적으로는 낮은 자존감이나 자신감의 부족, 자신에 대한 불확실성의 문제를 음식과 체중이라는 외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것이 원인이다.

생물학적으로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이상, 세로토닌,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적 이상, 렙틴과 그렐린과 같은 호르몬의 이상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으로는 날씬함을 강요하는 사회 분위기가 영향을 준다.

※ 거식증과 폭식증은 서로 바뀔 수 있는 식이장애, 서로 다른 장애가 아님. 예를 들어 음식을 제한하다가(거식증) 한계에 다다르면 폭식하고 구토하는 폭식증으로 바뀔 수 있음

‘ 폭식증’ 의 증상

음식에 대한 조절이 어려움

충동조절장애를 동반

반복적인 폭식

폭식에 수반되는 보상행동(구토, 설사제 사용, 지나친 운동 등)

체중증가에 대한 공포

폭식 후 우울감, 죄책감

몰래 음식을 먹거나 매우 빨리 음식을 먹음

자기평가가 체중에 좌우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지나치게 신경을 씀

작은 구토는 역류성 식도염을 동반하거나 치아손상을 발생할 수 있으며 설사제 등의 약물 남용과 구토는 전해질 불균형을 일으킴

‘ 폭식증’ 의 치료방법

기본적으로 외래 치료가 가능하나, 폭식을 조절하지 못하고, 약물을 남용하거나, 잦은 구토 자살사고 등으로 전해질 불균형 등의 내과적 문제가 함께 생기는 경우 입원치료가 필요하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교정하기 위한 행동 인지적 요법과 항우울제 등을 포함한 약물치료가 도움이 된다.

‘ 폭식’ 의 예방 및 관리요령

자기 자존감의 회복과 체중 변화를 예민하게 생각하지 말고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루 세 번, 균형 잡힌 식단을, 다른 사람과 같이 open된 장소에서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연례점검회의 개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서, 국제백신연구소의 ‘25년 성과와 ’26년 주요 계획을 공유하고, 백신 연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폐암 사망 없는 사회’ 실현 전국 활동 강화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19일 대구광역시 동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IAT) 1층 대강당에서 ‘폐암제로 기업강연’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강연은 흡연 외 폐암의 다양한 위험요인을 알리고,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폐암제로 기업강연은 한국아스트라제네카를 비롯해 글로벌 폐암 치료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협력기구 ‘폐암 전문가 협의체(Lung Ambition Alliance, LAA)’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4년 부터 현재까지 삼성전자, 한국가스기술공사를 비롯해 총 19개 기업 및 기관에서 약 1,400여명을 대상으로 기업강연을 시행했으며, 폐암 인식 제고와 조기검진 참여 독려를 통해 대국민 폐 건강 증진에 기여해 오고 있다. 이날 강연에는 영남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안준홍 교수가 연자로 참여했으며,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임직원을 비롯해 대구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임직원과 취약계층 및 시민 등 약 300명이 참석했다. 강연에서는 ▲폐암 조기검진의 중요성 ▲비흡연 폐암의 위험성 및 위험 요인 ▲국가폐암검진 현황 및 한계 ▲저선량 흉부 CT등을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